"덕흥대원군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samneung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잔글
42번째 줄: 42번째 줄:
 
조선의 11대 왕인 중종(中宗)과 창빈(昌嬪) 안씨(安氏)의 3남이며, 조선 14대 왕 선조(宣祖)의 사친(私親)으로 조선 최초로 대원군(大院君)의 작위를 추숭받은 덕흥대원군의 태실지 관련 정보 페이지.
 
조선의 11대 왕인 중종(中宗)과 창빈(昌嬪) 안씨(安氏)의 3남이며, 조선 14대 왕 선조(宣祖)의 사친(私親)으로 조선 최초로 대원군(大院君)의 작위를 추숭받은 덕흥대원군의 태실지 관련 정보 페이지.
  
=='''태실 터 위치정보'''==
+
=='''태실 터 현황'''==
 
덕흥대원군 태실 터는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 1-2에 위치하며 인근에는 미삭리저수지와 민가 한 채가 자리하고 있다. 현재 태실 터가 위치한 태봉산은 중턱까지 분묘 수 기가 자리하고 있으며, 정상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분묘 뒷편으로 수풀을 헤치고 나아가 능선을 따라 올라가는 방법 밖에 없어 접근하기 매우 힘든 상황이다.  
 
덕흥대원군 태실 터는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 1-2에 위치하며 인근에는 미삭리저수지와 민가 한 채가 자리하고 있다. 현재 태실 터가 위치한 태봉산은 중턱까지 분묘 수 기가 자리하고 있으며, 정상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분묘 뒷편으로 수풀을 헤치고 나아가 능선을 따라 올라가는 방법 밖에 없어 접근하기 매우 힘든 상황이다.  
  

2019년 11월 1일 (금) 19:51 판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덕흥대원군 태실(德興大院君 胎室)
충남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덕흥대원군 태실 터 전경
식별자 PC034
분류 왕자공주 태실
한글명 덕흥대원군 태실
한자명 德興大院君 胎室
영문명 Placenta Chamber of Grand Internal Prince Deokheung
피안자 명칭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피안자 이칭 이초(李岹)·이환수(李歡壽)·자(字) 경앙(景仰)
피안자 부 중종(中宗)
피안자 모 창빈(昌嬪) 안씨(安氏)
피안자 생년월일 1530.03.05
피안자 몰년월일 1559.05.09
안태 연월일 1530.07.16
안태지 기록 충남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안태지 좌표(위도) 36°20'16.2N
안태지 좌표(경도) 127°46'05.4"E
안태지 주소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 1-2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안 연월일 1929
이안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 좌표(위도) 37°39'52.9"N
이안지 좌표(경도) 126°51'38.0"E
지문 皇明嘉靖九年,三月初五日午時生,王男歡壽阿只氏胎,嘉靖九年,七月十六日,卯時藏
지문 찬자 조선 예조(禮曹)
지문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석물 덕흥대원군 태석함 및 아기씨태실비금산역사문화박물관 소장
태항아리 덕흥대원군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태항아리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정의

조선의 11대 왕인 중종(中宗)과 창빈(昌嬪) 안씨(安氏)의 3남이며, 조선 14대 왕 선조(宣祖)의 사친(私親)으로 조선 최초로 대원군(大院君)의 작위를 추숭받은 덕흥대원군의 태실지 관련 정보 페이지.

태실 터 현황

덕흥대원군 태실 터는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 1-2에 위치하며 인근에는 미삭리저수지와 민가 한 채가 자리하고 있다. 현재 태실 터가 위치한 태봉산은 중턱까지 분묘 수 기가 자리하고 있으며, 정상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분묘 뒷편으로 수풀을 헤치고 나아가 능선을 따라 올라가는 방법 밖에 없어 접근하기 매우 힘든 상황이다.

정상부 역시 연고를 알 수 없는 분묘 1기가 자리하고 있으며 해당 분묘가 본래 덕흥대원군 태실 터로 추정된다.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갤러리

전자지도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이규상 편, 『한국의 태실』, 청원문화원, 2005.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김일근, 「언간의 연구-자료의 고증·분석과 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학술지』13, 건국대학교 학술연구원, 1972.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1.디지털콘텐츠

  • 디지털김천문화대전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