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묘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9번째 줄: 39번째 줄:
 
}}
 
}}
  
=='''내용'''==
+
=='''정의'''==
조선 9대 왕 성종의 계후이자 조선 10대 왕 연산군의 모후, 폐비 윤씨의 묘 이다. 폐비 윤씨의 아버지는 윤기견(尹起畎)이고, 어머니는 신평(申枰)의 딸이다.  
+
조선 9대 왕 성종의 계후이자 조선 10대 왕 연산군의 모후, 폐비 윤씨의 묘.
  
1473년(성종 4) 3월에 숙의(淑儀)에 봉해졌다가 1476년(성종 7) 8월 공혜왕후가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중궁(中宮)에 봉해졌다. 1476년(성종 7) 11월에 연산군을 출산하였으나, 1479년(성종 10) 6월 투기를 일삼고 왕의 얼굴에 손톱자국을 낸 일로 폐출되었다. 이후 1482년(성종 13) 8월에 사사되었다. 아들인 연산군이 왕위에 오른 뒤인 1504년(연산군 10) 5월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추숭되었으나, 중종반정으로 다시 폐위가 되었다.
 
 
한편 무덤의 경우 사사된 직후에는 ‘윤씨지묘(尹氏之墓)’라 명명하였다가 1497년(연산군 3) 4월 묘호(廟號)를 효사(孝思)라 하고, 묘호(墓號)를 회묘(懷墓)라 추봉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제헌왕후로 추숭되면서 무덤도 회릉(懷陵)으로 승격되었으나, 중종반정으로 다시 폐위되면서 회묘라 불렸다.
 
 
처음 경기 장단에 매장하였다가 이후 현재의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 일대로 이장하였다. 1969년 10월 서삼릉 경내로 이장하였다. 회묘로 불리지만, 능으로 유지되던 당시의 석물 배치 등을 보여준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