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조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9번째 줄: 39번째 줄:
 
}}
 
}}
  
=='''내용'''==
+
=='''정의'''==
조선 제1대 국왕 태조의 태실이다. 함경도 영흥에 있었던 안태지는 조성시점이 명확하지 않다. 태조는 1392년 7월 17일 국왕으로 즉위 한 뒤 정당 문학(政堂文學) 권중화(權仲和)를 태실증고사(胎室證考使)로 삼아 안태(安胎) 할 땅을 잡게 하였다. 권중화는 이듬해 전라도 진동현으로 안태지로 선정하고 산수형세도(山水形勢圖)를 올렸고, 1월 7일 태조의 태실을 안치한 뒤 진동현을 진주부(珍州府)로 승격하였다.
+
조선의 개국군주이자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인 [[태조(太祖)]]의 안태지(安胎地).
 
 
1413년(태종 13) 9월 온행을 하던 태종은 진주(珍州) 원산(猿山)에서 태조의 태실에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다, 이후 태실에서는 3년에 한 번 태실안위제(胎室安慰祭)를 지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태실에서 이루어진 제사는 이후 세종의 명령으로 구례(舊例)를 상고하게 하여 폐지되었다.
 
 
 
태실에서 지내는 제사는 폐지되었지만 관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봉심을 통해 수리가 필요한 부분이 발견되면 해당 도의 감사(監司)와 관상감, 선공감의 제조가 함께 수리를 했다. 다만 경제사정으로 보수 시점을 미루기도 하였다. 태조 태실의 경우 1687년(숙종 13) 태조 태실의 석물에 문제가 발견되었으나 호남지역 기근으로 이듬해 가을로 보수 시점이 미루어졌다. 그러나 이듬해 가을에도 인조 계비 장렬왕후의 국상이 발생하여 다시 다음해 봄에 개수를 하였다. 이후 1725년(영조 1) 태조태실의 보수 사실이 확인된다.
 
 
 
일본제국이 대한제국을 병합한 이후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는 이유를 들어 1929년부터 각지에 흩어져있던 조선의 국왕과 세자, 대군과 군, 공주와 옹주 등 왕실의 태를 일괄로 서삼릉 능역 으로 이전하였다. 현재 태조 가봉 태실의 초안지는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이나 원 위치에는 분묘가 조성되어 있고, 석물들은 추부터널 옆으로 자리를 옮겨 보존되고 있다. 태조 태실 석물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1호로 지정되었다.
 
  
 
=='''태실 터 현황'''==
 
=='''태실 터 현황'''==
325번째 줄: 319번째 줄:
  
 
國初, 圖寫太祖睟容二本, 分奉于慶基殿濬源殿, 兩本最久也。 濬源殿基址, 本沮洳之池, 無學見桓祖曰, 孕貴子, 某日我當來。 乙亥十月十一日復來, 見太祖誕生, '''取其胎缸藏于池, 名之曰瑤樂。''' 太祖四歲有詩曰, 瑤樂池中舊日龍, 變化將爲沛澤龍者, 是也。 後塡其池, 建濬源殿。|출처=『임하필기』 제31권 「순일편(旬一編)」}}
 
國初, 圖寫太祖睟容二本, 分奉于慶基殿濬源殿, 兩本最久也。 濬源殿基址, 本沮洳之池, 無學見桓祖曰, 孕貴子, 某日我當來。 乙亥十月十一日復來, 見太祖誕生, '''取其胎缸藏于池, 名之曰瑤樂。''' 太祖四歲有詩曰, 瑤樂池中舊日龍, 變化將爲沛澤龍者, 是也。 後塡其池, 建濬源殿。|출처=『임하필기』 제31권 「순일편(旬一編)」}}
 
 
===북도능전지===
 
====『북도능전지』, 「준원전(濬源殿) - 고실(故實)」====
 
{{Blockquote|《준원전(濬源殿) - 고실(故實)》
 
 
初僧無學住薪寺【在殿基西南五里許】一日望氣來告桓祖曰, 公將生貴子及至。 太祖誕生時來, 納米藿酱三種曰, 王者必生須善保養云。 殿基舊有龍淵, '''太祖誕降初藏御胎, 於淵中後填其淵【本殿錄曰, 填淵時, 胎缸則移奉, 於全羅道珍山郡萬仞山】'''。 |출처=『북도능전지』, 「준원전(濬源殿) - 고실(故實)」}}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458번째 줄: 445번째 줄: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01/PC001.htm" target="_blank">' +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02/PC002.htm" target="_blank">' +
 
     '    <span class="title">태조 태실 초안지</span>' +
 
     '    <span class="title">태조 태실 초안지</span>' +
 
     '  </a>' +
 
     '  </a>' +
488번째 줄: 475번째 줄:
 
*오건(吳健), 『덕계집(德溪集)』, 1827, 국립중앙도서관 및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오건(吳健), 『덕계집(德溪集)』, 1827, 국립중앙도서관 및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정경운(鄭慶雲), 『고대일록(孤臺日錄)』, 1592 ~ 1609,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정경운(鄭慶雲), 『고대일록(孤臺日錄)』, 1592 ~ 1609,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위창조(魏昌祖), 『북도능전지北道陵殿誌)』, 175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2.단행본
*금산군지편찬위원회, 『금산군지』, 금산군지편찬위원회, 1987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문화재청, 『서삼릉 유적현황 자료집』, 문화재청, 2003.
 
*이규상, 『한국의 태실』, 청원문화원, 2005.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실의 안태와 태실 관련 의궤』, 민속원, 2006.
 
*김득환, 『조선의 세계적인 문화유산 태실』, 책읽는사람들, 2016.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태실 관련 자료집 1 - 역사서 및 문집 소재 태실 관련 기록 집성』, 2017.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태실 관련 자료집 2 - 태실 관련 등록 및 의궤 집성』, 2017.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태실 관련 자료집 3 - 태실 관련 등록 및 기사 집성』, 2017.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도록
+
3.논문
 
 
*이주환, 이진훈, 조원교 공저, 『조선의 태실 1』,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국립고궁박물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왕실 아기씨의 탄생 : 나라의 복을 담은 태항아리』, 예맥, 2018.
 
 
 
4.논문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홍성익, 「조선시대 태실의 역사고고학적 연구 」, 『영남학』27, 2015.
 
*유기원, 김기주, 「조선 태조대왕 태실의 형식과 특성」, 『건축역사연구』26, 2017.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