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조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43번째 줄: 143번째 줄:
 
또 《여지승람(輿地勝覽)》을 살펴보니 이르기를, ‘부(府)의 동남(東南) 13리(里)에 흑석리가 있으니 바로 '''우리 환조(桓祖)의 옛날 저택으로 태조 대왕(太祖大王)이 탄생한 곳이다'''. 정통(正統) 계해년에 고 상신 정인지(鄭麟趾)가 태조의 수용(晬容)을 준원전(濬源殿) 터의 서쪽 수백 보 지점에 봉안(奉安)하였다.’고 하였는데,
 
또 《여지승람(輿地勝覽)》을 살펴보니 이르기를, ‘부(府)의 동남(東南) 13리(里)에 흑석리가 있으니 바로 '''우리 환조(桓祖)의 옛날 저택으로 태조 대왕(太祖大王)이 탄생한 곳이다'''. 정통(正統) 계해년에 고 상신 정인지(鄭麟趾)가 태조의 수용(晬容)을 준원전(濬源殿) 터의 서쪽 수백 보 지점에 봉안(奉安)하였다.’고 하였는데,
  
'''어태(御胎)를 처음 봉(封)한 곳이 있었기 때문'''에 여기에다 전(殿)을 세워서 어진(御眞)을 봉안하였으니, 이는 그 당시 경창 옹주(慶昌翁主)가 본 바입니다.
+
'''어태(御胎)를 처음 봉(封)한 곳이 있었기 때문'''에 여기에다 전(殿)을 세워서 어진(御眞)을 봉안하였으니, 이는 그 당시 경창 옹주(慶昌翁主)가 본 바입니다.
 
   
 
   
 
咸鏡道 永興幼學趙東彬等上書言 : 臣等謹按健元陵誌文曰, ‘至元元年乙亥十月十一日己未, 誕降于永興 黑石里私第,’ 又按《輿地勝覽》曰, ‘府東南十三里, 有黑石里, '''卽我桓祖舊邸, 太祖大王誕生之地。''' 至于正統癸亥, 故相鄭麟趾奉安太祖晬容於濬源殿基之西數百步’ 云, '''有御胎初封處''', 故於斯焉建殿而奉御眞, 此則其時慶昌翁主之所見也。|출처=『영조실록』83권, 영조 31년(1755) 1월 4일 무인(戊寅) 2번째 기사}}
 
咸鏡道 永興幼學趙東彬等上書言 : 臣等謹按健元陵誌文曰, ‘至元元年乙亥十月十一日己未, 誕降于永興 黑石里私第,’ 又按《輿地勝覽》曰, ‘府東南十三里, 有黑石里, '''卽我桓祖舊邸, 太祖大王誕生之地。''' 至于正統癸亥, 故相鄭麟趾奉安太祖晬容於濬源殿基之西數百步’ 云, '''有御胎初封處''', 故於斯焉建殿而奉御眞, 此則其時慶昌翁主之所見也。|출처=『영조실록』83권, 영조 31년(1755) 1월 4일 무인(戊寅) 2번째 기사}}
 +
  
 
====『정조실록』18권, 정조 8년(1784) 9월 15일 정묘(丁卯) 1번째 기사====
 
====『정조실록』18권, 정조 8년(1784) 9월 15일 정묘(丁卯) 1번째 기사====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