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종 왕세자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태실조사카드
 
{{태실조사카드
|사진=OGPC047_001.jpg
+
|사진=OGPC_YongJoon_Front_View01.JPG
|사진출처=강원 영월군 주천면 신일리의 철종왕세자 태실 초안지 공중 전경
+
|사진출처=강원 영월군 주천면 신일리의 철종왕세자 태실 전경
 
|식별자=PC047
 
|식별자=PC047
 
|분류=왕자공주 태실
 
|분류=왕자공주 태실
15번째 줄: 15번째 줄:
 
|피안자 생년월일=1858.11.22
 
|피안자 생년월일=1858.11.22
 
|피안자 몰년월일=1859.05.25
 
|피안자 몰년월일=1859.05.25
|안태 연월일=1859.02.25  
+
|안태 연월일=1589.02.25  
|안태지 기록=강원도(江原道) 원주부(原州府) 주천면(酒泉面) 복결산하(伏結山下) 임좌지원(壬坐之原) <small>『승정원일기』</small>
+
|안태지 기록=강원도(江原道) 원주부(原州府) 주천면(酒泉面) 복결산하(伏結山下) 임좌지원(壬坐之原) <small>『승정원일기』>/small>
 
|안태지 기록1=
 
|안태지 기록1=
 
|안태지 기록2=
 
|안태지 기록2=
39번째 줄: 39번째 줄:
 
}}
 
}}
  
=='''내용'''==
+
=='''정의'''==
철종과 철인왕후의 원자인 융준(隆俊)의 태실이다.
+
조선의 25대 왕 철종과 철인왕후 김씨 소생으로, 철종의 적장남인 원자 이융준의 안태지(安胎地).
 
 
이 태실은 철종의 태실로 오해를 받기도 하였다. 지금도 현지 안내판에는 철종의 태실로 설명하고 있다.
 
 
 
철종 원자의 태실 대상지로 충청도 음성현, 회인현, 강원도 원주부 주천면 등이 거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강원도 원주의 주천 복길산으로 낙점되었다. 태실 조성의 책임을 맡은 안태사(安胎使)는 김병교(金炳喬)였다.
 
 
 
이 때 조성된 태실은 순조 태실 조성의 예를 따라 옹석(甕石)과 개석(蓋石)만 쓰였다. 태봉 아래 금표비가 남아있으며, 태실지에는 태석함 상부가 일부 노출되어있다.
 
 
 
=='''상세'''==
 
철종(哲宗)의 원자 융준(隆俊) 태실 초안지는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신일리 산356에 소재하며 숙종 태실, 또는 철종의 태실로 와전되어 현재도 안내판 등에 철종 태실로 잘못 알려지고 있다.<ref>철종 태실지라는 오기(誤記)는 江原鄕土史硏究會, 『寧越郡誌』, 영월군, 1992, 877쪽; 엄흥용, 『영월 땅이름의 뿌리를 찾아서』, 영월군, 1995, 389쪽에 확인되며 한림대학교박물관에서는 숙종 태실지로 오기하고 있다. 翰林大學校博物館, 『寧越郡의 歷史와 文化遺蹟』, 영월군, 1995, 344 ~ 345쪽.</ref>
 
 
 
철종은 즉위 이전 종친에 해당하나 봉군(封君)의 대상이 아니었기에 태실 조성의 가능성이 낮으며 『철종실록』과 『승정원일기』 등에서도 가봉이나 태실 조성 등의 논의가 등장하지 않다. 또한 해당 태실지에는 가봉 태실 석물의 부재가 확인되지 않는 점 등을 보아 철종 태실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초안지는 현재 술샘공원이 조성되어 망산으로 오르는 등산로와 등산로 입구의 선정비군(善政碑群)이 전시되어있으며 등산로 좌측에 태실 금표(禁表)가 확인된다. 금표 뒷면에는 ‘咸豊九年二月日’이 새겨져있다. 이를 통해 금표의 입비연월은 1859년 2월로 확인되며 융준 태실 조성 당시 기록된 『원자아기씨안태등록』의 편년월일인 1859년 2월 25일과 일치하는 것을 볼 때<ref>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안태등록』, 민속원, 2007, 75쪽.</ref> 이 태실지가 철종 태실이 아니라는 점은 더욱 명확해진다. 태봉산 정상부에는 태함의 함개가 지면에 노출된 상태이며 함개의 지름은 75cm이다.
 
 
 
원자 융준은 철종과 철인왕후(哲仁王后)의 소생으로 1858년 10월 17일에 탄생하였다.<ref>『承政院日記』 철종 9년(1858) 10월 17일 기미. 元子誕降後 大殿 大王大妃殿 王大妃殿 中宮殿 藥房口傳問安 答曰 知道.</ref> 태지석에는 1851년 출생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철종의 왕자 가운데 1851년생 왕자는 확인되지 않으며 숙의 방씨(淑儀方氏) 소생의 왕녀가 해당년도에 태어났기에 이왕직에서 태지석을 제작할 당시 융준과 왕녀의 생년을 착각한데서 발생한 오기로 판단된다.<ref>『王子阿只氏胎誌石』, 1929, 咸豊元年辛亥生 王子阿只氏胎 咸豊元年辛亥二月 藏于寧越郡兩邊面 昭和四年 月 日移藏.</ref>
 
 
 
융준 태실의 초안지는 강원도 원부 주천면(酒泉面) 복결산(伏結山) 아래 임좌지원(壬坐之原)으로<ref>『承政院日記』 철종 9년(1858) 10월 24일 병인. 又以觀象監領事 提調意啓曰 今此元子阿只氏胎封 依例擧行 而取考本監所在謄錄 則其中坐向吉利地 只是忠淸道陰城縣五里外防築洞未坐之原 懷仁縣北二十七里子坐之原  江原道原州府酒泉面伏結山下壬坐之原三處 而入錄已爲年久 難保無頉 依舊例發送本監相土官 更加看審後 備望以入 待稟下以爲涓吉之地 何如 傳曰 允; 같은 책(1858) 11월 21일 임진. 李正鉉 以觀象監領事提調意啓曰 元子阿只氏胎封吉利地 忠淸道陰城縣五里外防築洞未坐之原 懷仁縣北二十七里子坐之原 江原道原州府酒泉面伏結山下壬坐之原三處 依舊例發送本監相土官 更加看審之意 已爲草記蒙允矣 卽者本監地理學訓噵金錫熙下去看審 則三處俱爲可合 而原州府壬坐之原 比之兩處 尤爲吉利云 依例備望以入之意 敢啓 傳曰 知道; 같은 책(1858) 11월 22일 계사. 趙寅燮 以觀象監領事提調意啓曰 元子阿只氏藏胎吉地 江原道原州府酒泉面伏結山下壬坐丙向 受點矣 吉地旣爲完定 安胎吉日時 令日官推擇以入 何如 傳曰 允.</ref> 태지석에 기술된 양변면(兩邊面)이라는 지명이 1931년 주천면으로 다시 환원된 사실을 상기할 때 앞서 이왕직이 융준을 1851년으로 기록한 것은 오기임이 명확해진다.
 
 
 
융준은 태어난 지 6개월만인 1859년 4월 23일 조졸하였으며<ref>위의 책(1859) 4월 23일 계해. 傳于尹秉鼎曰 今日辰時 元子卒逝.</ref> 철종의 명으로 국상(國喪)이 진행된 사실은 확인되나<ref>위의 책(1859) 4월 24일 계사. 以司謁口傳下敎曰 今日元子喪 行兵判 訓將 當陪往 命召仍佩往來 兼察置之.</ref> 장지(葬地)는 확인되지 않는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
184번째 줄: 165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태실 지식 관계망===
 
===태실 지식 관계망===
===계보도 지식관계망===
+
{{NetworkGraph | title=철종_왕세자_태실.lst}}
{{NetworkGraph | title=철종_왕세자_계보도.lst}}
+
 
  
 
=='''시각자료'''==
 
=='''시각자료'''==
 
===파노라마===
 
===파노라마===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47/PC04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스틸샷 갤러리===
 
===스틸샷 갤러리===
 
<gallery>
 
File:SSNPC047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철종 왕세자 태실 전면
 
File:SSNPC047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철종 왕세자 태실 후면
 
File:OGPC047_001.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공중 전경
 
File:OGPC047_002.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태봉산 전경
 
File:OGPC047_003.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진입로
 
File:OGPC047_004.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전경
 
File:OGPC047_005.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태석함 상부 노출부
 
File:OGPC047_006.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안내판
 
File:OGPC047_007.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금표비 전면
 
File:OGPC047_008.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금표비 후면
 
File:OGPC047_009.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금표비 안내표석
 
</gallery>
 
 
<gallery mode="slideshow">
 
File:SSNPC047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철종 왕세자 태실 전면
 
File:SSNPC047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철종 왕세자 태실 후면
 
File:OGPC047_001.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공중 전경
 
File:OGPC047_002.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태봉산 전경
 
File:OGPC047_003.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진입로
 
File:OGPC047_004.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전경
 
File:OGPC047_005.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태석함 상부 노출부
 
File:OGPC047_006.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안내판
 
File:OGPC047_007.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금표비 전면
 
File:OGPC047_008.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금표비 후면
 
File:OGPC047_009.jpg|영월 신일리 철종 왕세자 태실 초안지 금표비 안내표석
 
</gallery>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