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소공주 묘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8번째 줄: 108번째 줄:
  
 
====『성종실록』47권, 성종 5년(1474) 9월 19일 신미(辛未) 5번째 기사====
 
====『성종실록』47권, 성종 5년(1474) 9월 19일 신미(辛未) 5번째 기사====
{{Blockquote|영응 대군(永膺大君)의 묘(墓)에 단청한 정자각(丁字閣) 3간(間)이 있고, 연창위(延昌尉) 묘에는 단청한 제청(祭廳)이 한 칸이 있으며, 의산위(宜山尉) 묘, 성녕 대군(誠寧大君) 묘, 정소 공주(貞昭公主) 묘에는 모두 석양(石羊)·석호(石虎) 각각 둘씩이 있고, 여흥 부원군(驪興府院君) 민제(閔霽)의 묘에는 석양 4, 석로 2, 익안 대군(益安大君)의 묘에는 석양 1, 석호 1, 정안 공주(貞安公主) 묘에는 석양 2, 양렬공(襄烈公) 이지란(李之蘭)의 묘에는 석실(石室)이 있고 또 석양·석호가 있으니, 그 의물(儀物)의 제도가 참람함이 막심합니다. 청컨대 소재한 각 고을로 하여금 철거하게 하소서. 또 석상(石床)과 석인(石人)은 정한 제도가 없으니, 청컨대 금후로는 대군(大君)의 석상은 영조척(營造尺)을 써서 길이 7척, 너비 4척으로 하고, 석인은 길이 6척으로 하며, 1품에서 2품까지는 석상은 길이 6척 5촌, 너비 3척 7촌 5분, 석인은 길이 5척 5촌으로 하고, 3품에서 6품까지는 석상은 길이 6척, 너비 3척 5촌, 석인은 길이 5척으로 하며, 7품 이하와 생원(生員)·진사(進士)·유음 자제(有蔭子弟)는 석상은 길이 5척 5촌, 너비 3척, 석인은 길이 4척 5촌으로 정식을 삼되 만일 법을 어기는 자가 있으면 중하게 논죄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르고, 이지란의 석실은 철거하지 말도록 명하였다
+
{{Blockquote|영응 대군(永膺大君)의 묘(墓)에 단청한 정자각(丁字閣) 3간(間)이 있고, 연창위(延昌尉) 묘에는 단청한 제청(祭廳)이 한 칸이 있으며, 의산위(宜山尉) 묘, 성녕 대군(誠寧大君) 묘, 정소 공주(貞昭公主) 묘에는 모두 석양(石羊)·석호(石虎) 각각 둘씩이 있고, 여흥 부원군(驪興府院君) 민제(閔霽)의 묘에는 석양 4, 석로 2, 익안 대군(益安大君)의 묘에는 석양 1, 석호 1, 정안 공주(貞安公主) 묘에는 석양 2, 양렬공(襄烈公) 이지란(李之蘭)의 묘에는 석실(石室)이 있고 또 석양·석호가 있으니, 그 의물(儀物)의 제도가 참람함이 막심합니다. 청컨대 소재한 각 고을로 하여금 철거하게 하소서. 또 석상(石床)과 석인(石人)은 정한 제도가 없으니, 청컨대 금후로는 대군(大君)의 석상은 영조척(營造尺)을 써서 길이 7척, 너비 4척으로 하고, 석인은 길이 6척으로 하며, 1품에서 2품까지는 석상은 길이 6척 5촌, 너비 3척 7촌 5분, 석인은 길이 5척 5촌으로 하고, 3품에서 6품까지는 석상은 길이 6척, 너비 3척 5촌, 석인은 길이 5척으로 하며, 7품 이하와 생원(生員)·진사(進士)·유음 자제(有蔭子弟)는 석상은 길이 5척 5촌, 너비 3척, 석인은 길이 4척 5촌으로 정식을 삼되 만일 법을 어기는 자가 있으면 중하게 논죄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르고, 이지란의 석실은 철거하지 말도록 명하였다(禮曹啓: "永膺大君墓有丹靑丁字閣三間, 延昌尉墓有丹靑祭廳一間, 宜山尉墓、誠寧大君墓、貞昭公主墓竝有石羊、石虎各二, 驪興府院君 閔霽墓有石羊四、石虎二, 益安大君墓有石羊一、石虎一, 定安公主墓有石羊二, 襄烈公李之蘭墓有石室又有石羊、石虎, 其儀物制度, 僭擬莫甚。 請令所在邑撤去。 且石床、石人無定制, 請今後大君石床用營造尺, 長七尺廣四尺, 石人長六尺, 一品至二品, 石床長六尺五寸廣三尺七寸五分, 石人長五尺五寸, 三品至六品, 石床長六尺廣三尺五寸, 石人長五尺, 七品以下及生員、進士ㆍ有蔭子弟, 石床長五尺五寸廣三尺, 石人長四尺五寸, 以爲定式, 如有違法者重論。" 從之, 命李之蘭石室勿撤去).|출처=[http://sillok.history.go.kr/id/kia_10509019_005 『성종실록』47권, 성종 5년(1474) 9월 19일 신미(辛未) 5번째 기사]}}
 
 
禮曹啓: "永膺大君墓有丹靑丁字閣三間, 延昌尉墓有丹靑祭廳一間, 宜山尉墓、誠寧大君墓、貞昭公主墓竝有石羊、石虎各二, 驪興府院君 閔霽墓有石羊四、石虎二, 益安大君墓有石羊一、石虎一, 定安公主墓有石羊二, 襄烈公李之蘭墓有石室又有石羊、石虎, 其儀物制度, 僭擬莫甚。 請令所在邑撤去。 且石床、石人無定制, 請今後大君石床用營造尺, 長七尺廣四尺, 石人長六尺, 一品至二品, 石床長六尺五寸廣三尺七寸五分, 石人長五尺五寸, 三品至六品, 石床長六尺廣三尺五寸, 石人長五尺, 七品以下及生員、進士ㆍ有蔭子弟, 石床長五尺五寸廣三尺, 石人長四尺五寸, 以爲定式, 如有違法者重論。" 從之, 命李之蘭石室勿撤去.|출처=[http://sillok.history.go.kr/id/kia_10509019_005 『성종실록』47권, 성종 5년(1474) 9월 19일 신미(辛未) 5번째 기사]}}
 
  
 
====『고종실록』9권, 고종 9년(1872) 3월 8일 임진(壬辰) 2번째 기사====
 
====『고종실록』9권, 고종 9년(1872) 3월 8일 임진(壬辰) 2번째 기사====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