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군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2번째 줄: 42번째 줄:
 
숙종과 명빈박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인 연령군의 태실이다.  
 
숙종과 명빈박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인 연령군의 태실이다.  
  
연령군은 1699년(숙종 25) 6월 13일 창경궁 집복헌(集福軒)에서 태어났다.
+
연령군은 5살에 생모 명빈박씨가 죽어 봉군(封君)된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다.
  
연령군의 생모 명빈 박씨는 숙종의 승은을 입고도 10여 년간 상궁으로만 있고 후궁으로 봉작되지 못하다가 연령군을 회임하고 1698년 11월 4일 종4품 숙원(淑媛)에 봉작되었다. 이틀 뒤인 11월 6일 노산대군(魯山大君)을 단종(端宗)으로 추존하였는데, 이를 기념하여 1699년 10월 23일 종2품 숙의(淑儀)로 승품(陞品) 되었으며, 1701년(숙종 27) 3월 23일 종1품 귀인(貴人)으로, 1702년(숙종 28) 10월 18일 정1품 빈(嬪)으로 승품되었다. 1703년(숙종 29) 7월 15일 명빈 박씨가 사망하였다.
+
《태봉등록》에 태실 조성과 관련하여 대강의 기록이 있다. 연령군의 태실은 충청도 예산 동면 궐동으로 낙점하였다. 8월 26일 공사를 시작하고, 서울에서 태를 꺼내는 때는 9월 25일이었다. 그리고 마침내 태를 안치하는 때는 9월 29일이었는데 이는 태지석에 기록된 때와 같다.
  
같은 해 연령군은 5살의 나이로 봉군(封君)되었다. 예법에는 6세 이후 봉작하는 것이 관례이나 당시 생모인 명빈 박씨의 상을 주관하게 하기 위해 봉작한 것이다. 상중(喪中)에 봉작하는 것은 상복을 벗고 장복(章服)을 입어 의식을 행해야 하는데, 이는 예의에 어긋나는 일이라 하여 반대 여론이 있었으나, 숙종은 받아들이지 않고 연령군의 봉작을 행햇다. 아울러 종친부(宗親府) 유사당상(有司堂上)이 되어 종친부의 일을 관리하게 하였다.
+
태실지에는 별다른 석물은 확인되지 않으나 태실이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에 인위적인 큰 구덩이가 남아있다. 다만 연령군 태실비와 태석함은 충남대학교로 옮겨져 야외 전시 중이다.  
  
1707년(숙종 33) 2월 6일 저작(著作) 김동필(金東弼)의 딸과 가례를 올렸으며, 숙종은 연령군의 가례 때 백관에게 명하여 위요(衛繞)하도록 하였다. 연령군은 어린 나이에도 예를 행하는 모습에 부족함이 없었다고 한다.
+
석함은 잘 다듬어진 둥근 형태로 부분이 돌출되어 있다. 흥미로운 것은 태실비인데 이복형인 경종과 영조의 안태비와 형태가 닮아있어 비슷한 시기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719년(숙종 45) 10월 2일 2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시호를 효헌(孝憲)이라 하였다. 1718년(숙종 44) 형인 연잉군(훗날의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가 죽자 연령군은 “형님이 참으로 슬플 것이지만 나보다는 낫다. 나는 우리 어머니의 얼굴조차 기억하지 못한다.”라고 하였고 자신이 죽으면 어머니 옆에 묻히고 싶다고 하였는데, 그 뜻대로 되었다.
 
 
 
연령군의 묘는 명빈 박씨 묘와 함께 경기도 금천현(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에 있었다. 일제강점기 때 경성 토지구획 정리에 따라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으로 옮겨졌다. 연령군의 신도비는 그대로 남아 있다가 1967년 공릉동 육군사관학교로 옮겨졌다.
 
 
 
《태봉등록》에는 연령군 태실 조성과 관련하여 대강의 기록이 있다. 연령군의 태실은 충청도 예산 동면 궐동으로 낙점하였다. 8월 26일 공사를 시작하고, 서울에서 태를 꺼내는 때는 9월 25일이었다. 그리고 마침내 태를 안치하는 때는 9월 29일이었는데 이는 태지석에 기록된 때와 같다.
 
 
 
태실지에는 별다른 석물은 확인되지 않으나 태실이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에 인위적인 큰 구덩이가 남아있다. 인근 민가에는 연령군 태석함의 함신이 남아있으며, 태실비와 태석함의 덮개돌은 충남대학교로 옮겨져 야외 전시 중이다.
 
 
 
석함 덮개돌은 잘 다듬어진 둥근 형태로 부분이 돌출되어 있으며, 한 부분은 결락이 일어난 상태이다. 흥미로운 것은 태실비인데 이복형인 경종과 영조의 안태비와 형태가 닮아있어 비슷한 시기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5번째 줄: 195번째 줄: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예산군 편, 『예산군 태실조사 용역』, 예당기획, 2016.
 
  
 
3.논문
 
3.논문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