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종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태실조사카드
 
{{태실조사카드
|사진=OGPC_Sukjong_Sky_View.jpg
+
|사진=OGPC_Sukjong_Tashil_pano.JPG
|사진출처=충남 공주시 태봉동 태봉산의 숙종대왕 태실 터 공중 전경
+
|사진출처=충남 공주시 태봉동 태봉산의 숙종대왕 태실 터
 
|식별자=PC013
 
|식별자=PC013
 
|분류=국왕 태실
 
|분류=국왕 태실
20번째 줄: 20번째 줄:
 
|안태지 기록2=
 
|안태지 기록2=
 
|안태지 기록3=
 
|안태지 기록3=
|안태지 좌표(위도)=36°41'11.4"N  
+
|안태지 좌표(위도)=36°41'10.88"N
|안태지 좌표(경도)=127°09'56.56"E
+
|안태지 좌표(경도)=127°09'66.08"E
 
|안태지 주소=충청남도 공주시 태봉동 태봉산
 
|안태지 주소=충청남도 공주시 태봉동 태봉산
|문화재 지정여부=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1호
+
|문화재 지정여부=미지정
|이안 연월일=1930.05 <small>『태봉』</small>
+
|이안 연월일=1929.05 <small>추정</small>
 
|이안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 좌표(위도)=37°66'45.61"N,
+
|이안지 좌표(위도)=37°39'52.9"N
|이안지 좌표(경도)=126°86'06.29"E
+
|이안지 좌표(경도)=126°51'38.0"E
 
|지문=辛丑年八月十五日卯時生,元子阿只氏胎,順治十八年,十二月二十五日,乙時藏
 
|지문=辛丑年八月十五日卯時生,元子阿只氏胎,順治十八年,十二月二十五日,乙時藏
 
|지문 찬자=조선 예조(禮曹)
 
|지문 찬자=조선 예조(禮曹)
33번째 줄: 33번째 줄:
 
|석물=태실 터 인근 계곡에 태실 석재 유구 확인
 
|석물=태실 터 인근 계곡에 태실 석재 유구 확인
 
|유물1=공주 숙종대왕 태실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1호)
 
|유물1=공주 숙종대왕 태실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1호)
|유물2=『숙묘조태실석난간조배의궤(肅廟朝胎室石欄干造排儀軌)』 <small>병인양요로 소실</small>
+
|유물2=『숙묘조태실석난간조배의궤(肅廟朝胎室石欄干造排儀軌)』 <small>파리국립도서관 소장</small>
 
|유물3=
 
|유물3=
 
|태항아리=숙종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태항아리=숙종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39번째 줄: 39번째 줄:
 
}}
 
}}
  
=='''내용'''==
+
=='''정의'''==
조선 제19대 국왕 숙종의 태실이다.
+
조선 18대 왕 현종(顯宗)과 명성왕후(明聖王后) 김씨(金氏)의 장남인 조선 19대 왕 숙종의 안태지(安胎地).
 
 
1661년(현종 2) 태실지를 선정할 때 공주‧청주‧춘천이 거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공주로 낙점되었다. 이 때 안태사는 여이재(呂爾載), 종사관은 송시철(宋時喆)이 맡았으며, 안태비의 글씨는 승문원 정자 박상형(朴尙馨)이 썼다.
 
 
 
숙종은 즉위 후 아버지 현종의 태실을 가봉하면서 자신의 태실도 함께 가봉하려 하였으나 흉년으로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후 1683년(숙종 9)에 이르러 태실 가봉이 이루어졌다.
 
 
 
원래 태실이 위치했던 자리에는 분묘가 조성되어 있으며, 숙종의 안태비와 가봉비, 사방석 등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인근 골짜기에 첨석을 비롯하여 다수의 태실 석물이 남아있어 신속한 수습이 요구된다. 숙종태실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1호로 지정되어있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
96번째 줄: 90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파노라마===
 
===파노라마===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13/PC01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스틸샷 갤러리===
 
===스틸샷 갤러리===
 
<gallery>
 
<gallery>
File:SSNPC_Sukjong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숙종 태실 전면
 
File:SSNPC_Sukjong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숙종 태실 후면
 
File:OGPC_Sukjong_san_pano.JPG|공주 태봉산 전경
 
File:OGPC_Sukjong_board.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안내판
 
File:OGPC_Sukjong_Tashil_pano.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전경
 
File:OGPC_Sukjong_Tashil_site.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분묘
 
File:OGPC_Sukjong_Gabongbi_Front02.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주상전하태실비 전면
 
File:OGPC_Sukjong_Gabongbi_bisin.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주상전하태실비 비신 전면
 
File:OGPC_Sukjong_Gabongbi_turtle_base_right.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귀부 전면
 
File:OGPC_Sukjong_Gabongbi_turtle_base_back.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귀부 후면
 
File:OGPC_Sukjong_Gabongbi_Yisu.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이수 후면
 
File:OGPC_Sukjong_princebi_Front.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원자아기씨태실비 전면
 
File:OGPC_Sukjong_princebi_back.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원자아기씨태실비 후면
 
File:OGPC_Sukjong_Tashil_stone01.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사방석 유구
 
File:OGPC_Sukjong_Tashil_stone02.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전석 유구-1
 
File:OGPC_Sukjong_Tashil_stone03.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전석 유구-2
 
File:OGPC_Sukjong_Tashil_stone05.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전석 유구-3
 
 
</gallery>
 
</gallery>
 +
<!--
 +
===가상현실===
 +
====현재의 묘역====
 +
*가상현실 예시 : 충주 억정사지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7/Eokje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gallery mode="slideshow">
+
====초장 추정지====
File:SSNPC_Sukjong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숙종 태실 전면
+
*가상현실 예시 : 용인 서봉사지
File:SSNPC_Sukjong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숙종 태실 후면
+
<html>
File:OGPC_Sukjong_san_pano.JPG|공주 태봉산 전경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6/Seb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File:OGPC_Sukjong_board.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안내판
+
</html>
File:OGPC_Sukjong_Tashil_pano.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전경
+
-->
File:OGPC_Sukjong_Tashil_site.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분묘
 
File:OGPC_Sukjong_Gabongbi_Front02.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주상전하태실비 전면
 
File:OGPC_Sukjong_Gabongbi_bisin.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주상전하태실비 비신 전면
 
File:OGPC_Sukjong_Gabongbi_turtle_base_right.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귀부 전면
 
File:OGPC_Sukjong_Gabongbi_turtle_base_back.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귀부 후면
 
File:OGPC_Sukjong_Gabongbi_Yisu.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이수 후면
 
File:OGPC_Sukjong_princebi_Front.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원자아기씨태실비 전면
 
File:OGPC_Sukjong_princebi_back.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원자아기씨태실비 후면
 
File:OGPC_Sukjong_Tashil_stone01.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사방석 유구
 
File:OGPC_Sukjong_Tashil_stone02.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전석 유구-1
 
File:OGPC_Sukjong_Tashil_stone03.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전석 유구-2
 
File:OGPC_Sukjong_Tashil_stone05.JPG|공주 태봉산 숙종 태실 초안지 전석 유구-3
 
</gallery>
 
  
 
=='''전자지도'''==
 
=='''전자지도'''==
163번째 줄: 130번째 줄:
 
var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 지도를 표시할 div  
 
var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 지도를 표시할 div  
 
     mapOption = {  
 
     mapOption = {  
         center: new daum.maps.LatLng(36.41114, 127.09656), // 지도의 중심좌표
+
         center: new daum.maps.LatLng(36.411088, 127.096608), // 지도의 중심좌표
         level: 4// 지도의 확대 레벨
+
         level: 12// 지도의 확대 레벨
 
     };
 
     };
  
198번째 줄: 165번째 줄:
 
// 마커의 이미지정보를 가지고 있는 마커이미지를 생성합니다
 
// 마커의 이미지정보를 가지고 있는 마커이미지를 생성합니다
 
var markerImage = new daum.maps.MarkerImage(imageSrc, imageSize, imageOption),
 
var markerImage = new daum.maps.MarkerImage(imageSrc, imageSize, imageOption),
     markerPosition = new daum.maps.LatLng(36.41114, 127.09656); // 마커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markerPosition = new daum.maps.LatLng(36.411088, 127.096608); // 마커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마커를 생성합니다
 
// 마커를 생성합니다
211번째 줄: 178번째 줄: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13/PC013.htm" target="_blank">' +
+
     '  <a href="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6/Sebongsaji.htm" target="_blank">' +
     '    <span class="title">숙종 태실 초안지</span>' +
+
     '    <span class="title">숙종태실 안태지</span>' +
 
     '  </a>' +
 
     '  </a>' +
 
     '</div>';
 
     '</div>';
  
 
// 커스텀 오버레이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커스텀 오버레이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var position = new daum.maps.LatLng(36.41114, 127.09656);   
+
var position = new daum.maps.LatLng(36.411088, 127.096608);   
  
 
//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합니다
 
//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합니다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