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정공주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사진=OGPC_SookJeong_Front_View.JPG
 
|사진=OGPC_SookJeong_Front_View.JPG
 
|사진출처=강원 원주 흥업면 운산 숙휘공주·숙정공주 태실 전경
 
|사진출처=강원 원주 흥업면 운산 숙휘공주·숙정공주 태실 전경
|식별자=PC038
+
|식별자=PC040
 
|분류=왕자공주 태실
 
|분류=왕자공주 태실
 
|한글명=숙정공주 태실
 
|한글명=숙정공주 태실
39번째 줄: 39번째 줄:
 
}}
 
}}
  
=='''내용'''==
+
=='''정의'''==
효종과 인선왕후 사이의 소생이다.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에게 하가했다.
+
조선의 17대 왕인 효종(孝宗)인선왕후(仁宣王后) 장씨(張氏)의 5녀이며,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과 혼인한 숙정공주의 안태지(安胎地).
 
 
효종의 다른 여러 공주들과 함께 안태의 논의가 있었다. 1660년(현종 1) 3월 18일 처음 태봉 조성에 대한 내용이 보이는데 왕자군과 동일하게 삼망(三望) 중 한 곳을 낙점하고 있다. 다만 출생한 해에 따라 조성 시점을 달리 잡고 있다. 숙정공주의 경우 숙휘공주와 함께 태실이 조성되었다.
 
 
 
태실지에는 인성군 태실과 같이 봉분이 있고 앞에 각각 공주의 태실비가 세워져 있다. 태실 옆 복원기가 있는데 내용을 살펴보면 1993년에 복원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완벽한 복원인지는 의문이다.
 
 
 
인근 골짜기를 살펴보면 태실의 것으로 보이는 석물들이 흩어져 있다. 빠른 시일에 지표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상세'''==
 
숙정공주(淑靜公主) 태실 초안지는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대안3리 1974-1에 소재한다.
 
 
 
대안리 태실(大安里胎室), 운산태실(雲山胎室) 등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언니인 숙휘공주(淑徽公主)와 함께 쌍태실(雙胎室)로 조성되었다.
 
 
 
1929년 이왕직에 의해 태실이 서삼릉으로 이안되면서 본래의 경관이 훼손되었으나 1993년 11월 금물산 클럽이라는 민간단체가 흩어져 있던 태함과 함개, 아기태실비 등을 수습해 지금과 같이 복원하였다.<ref>홍성익, 「江原地域 胎室에 관한 硏究」, 『江原文化史硏究』, 제3권, 1998, 강원향토문화연구회, 72쪽.</ref> 인근 골짜기를 살펴보면 태실 석물로 추정되는 돌이 흩어져 있어 지표조사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기태실비는 비수와 비신 상부가 절단되어 유실된 것을 새로 만들어 결합하였으며 명문이 새겨져있다. 명문의 앞면은 ‘淑靜公主阿只氏胎室’이며 뒷면 우측에는 ‘康熙元年十一月二十五日巳時立’이라 새겨져 아기태실비의 건립년도가 1662년 11월 25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뒷면 우측에는 ‘咸豊五年三月十七日六代孫基鎬’라는 명문이 각자되었는데 1855년 3월 17일에 숙정공주의 6대손 정기호(鄭基鎬)라는<ref>숙정공주는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에게 하가하였으므로 ‘六代孫基鎬’는 정기호(鄭基鎬)라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ref> 사실만이 명시되어 이것이 아기태실비의 수개(修改)나 개건(改建)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명확하지 않다.<ref>江原鄕土文化硏究會, 『原州의 歷史와 文化遺蹟』, 원주시, 1997, 640쪽; 김성찬, 「原州 胎室考」, 『原州얼』, 제6호, 원주문화원부설 원주얼심기협의회, 1996, 101쪽; 홍성익, 위의 논문(1998), 75쪽.</ref>
 
 
 
숙정공주는 효종과 인선왕후(仁宣王后)의 5왕녀로 태지석에 의하면 1646년 11월 초7일 해시(亥時)에 태어났으며 1662년 11월 25일 사시(巳時)에 안태했다.<ref>『淑靜公主胎誌石』, 1662, 丙戌年十一月初七日亥時誕生 淑靜公主阿只氏胎 康熙元年十一月二十五日巳時藏.</ref> 정태화(鄭太和)의 아들인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에게 하가(下嫁)하였으며 1668년 5월 5일 24세의 일기로 사망했다.<ref>『顯宗改修實錄』 9년(1668) 5월 5일 임인. 淑靜公主卒 公主 上之女弟也 下嫁東平尉 鄭載崙 至是 以疾卒 上震悼 停朝市三日.</ref>
 
  
 
=='''관련 기록'''==
 
=='''관련 기록'''==
67번째 줄: 48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gallery>
 
<gallery>
File:SSNPC_SookJeong_Front_View.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숙정공주 태실 전경
+
File:SSNPC_SookJeong_Front_View.JPG|서삼릉 태실 숙정공주 태실 전경
File:SSNPC_SookJeong_Back_View.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숙정공주 태실 후경
+
File:SSNPC_SookJeong_Back_View.JPG|서삼릉 태실 숙정공주 태실 후경
 
File:OGPC_SookJeong_San_View02.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봉산 전경
 
File:OGPC_SookJeong_San_View02.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봉산 전경
 
File:OGPC_SookJeong_San_View01.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봉산 근경
 
File:OGPC_SookJeong_San_View01.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봉산 근경
File:OGPC_SookJeong_Board.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초안지 안내판
+
File:OGPC_SookJeong_Board.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안내판
File:OGPC_SookJeong_Front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초안지 전경
+
File:OGPC_SookJeong_Front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전경
File:OGPC_SookJeong_Right_Side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초안지 우측 전경 ①
+
File:OGPC_SookJeong_Right_Side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우측 전경 ①
File:OGPC_SookJeong_Right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초안지 우측 전경 ②
+
File:OGPC_SookJeong_Right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우측 전경 ②
File:OGPC_SookJeong_Left_Side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초안지 좌측 전경
+
File:OGPC_SookJeong_Left_Side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좌측 전경
File:OGPC_SookJeong_Back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초안지 후경
+
File:OGPC_SookJeong_Back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후경
File:OGPC_SookJeong_Biseok_Front.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 전경
 
File:OGPC_SookJeong_Biseok_Back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 후경
 
File:OGPC_SookJeong_Biseok_Upper_Front.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 비수(碑首)의 연화문(蓮花紋) 전면
 
File:OGPC_SookJeong_Biseok_Upper_Back.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 비수의 연화문 후면
 
File:OGPC_SookJeong_Biseok_Upper_Right.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 비수의 연화문 우측
 
File:OGPC_SookJeong_Biseok_Epitaph.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 비신의 명문(銘文)
 
File:OGPC_SookJeong_Biseok_Entire_Stele_Front.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 좌대(座臺) 전면
 
File:OGPC_SookJeong_Biseok_Entire_Stele_Right.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 좌대 우측
 
File:OGPC_SookJeong_Memorial_Stone01.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복원 기념비 전경
 
File:OGPC_SookJeong_Memorial_Stone02.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복원 기념비 근경
 
</gallery>
 
 
 
<gallery mode="slideshow">
 
File:SSNPC_SookJeong_Front_View.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숙정공주 태실 전경
 
File:SSNPC_SookJeong_Back_View.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숙정공주 태실 후경
 
File:OGPC_SookJeong_San_View02.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봉산 전경
 
File:OGPC_SookJeong_San_View01.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봉산 근경
 
File:OGPC_SookJeong_Board.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초안지 안내판
 
File:OGPC_SookJeong_Front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초안지 전경
 
File:OGPC_SookJeong_Right_Side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초안지 우측 전경 ①
 
File:OGPC_SookJeong_Right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초안지 우측 전경 ②
 
File:OGPC_SookJeong_Left_Side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초안지 좌측 전경
 
File:OGPC_SookJeong_Back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초안지 후경
 
 
File:OGPC_SookJeong_Biseok_Front.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 전경
 
File:OGPC_SookJeong_Biseok_Front.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 전경
 
File:OGPC_SookJeong_Biseok_Back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 후경
 
File:OGPC_SookJeong_Biseok_Back_View.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 후경
111번째 줄: 69번째 줄:
 
File:OGPC_SookJeong_Memorial_Stone02.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복원 기념비 근경
 
File:OGPC_SookJeong_Memorial_Stone02.JPG|원주 흥업면 운산 숙정공주 태실 복원 기념비 근경
 
</gallery>
 
</gallery>
 +
<!--
 +
===가상현실===
 +
====현재의 묘역====
 +
*가상현실 예시 : 충주 억정사지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7/Eokje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초장 추정지====
 +
*가상현실 예시 : 용인 서봉사지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6/Seb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
===갤러리===
 
===파노라마===
 
===파노라마===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38/PC03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40/PC04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