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9번째 줄: 39번째 줄:
 
}}
 
}}
  
=='''내용'''==
+
=='''정의'''==
조선 제4대 국왕 세종의 태실이다.
+
조선의 3대 왕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 소생의 조선 4대 국왕, 세종(世宗)의 안태지(安胎地).
 
 
초안지는 알 수 없으나 즉위한 1418년 가봉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이 때 태실 가봉을 위해 도감(都監)을 설치했다. 태실 가봉을 위해 도감을 설치한 기록이 처음 보이는 사례이며, 앞 서 다른 국왕의 태실을 가봉할 때도 도감이 설치되었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정이오(鄭以吾)를 태실 증고사(胎室證考使)로 삼은지 약 두 달 만에 태실산도(胎室山圖)를 바쳤고 그대로 진주 곤명으로 결정지었다. 이 때 태실에 대한 제도가 갖추어진 것으로 보인다. 안태사(安胎使)로는 유정현(柳廷顯)을 천망하였으나 그가 형관(刑官)에 재임중이라는 이유로 한상경(韓尙敬)이 안태사로 새로이 임명되었다. 태실도감에서는 태실(胎室)에 시위(侍衛)하는 품관(品官) 8인과 수호(守護) 8인을 두기를 청하였고 상왕으로 있던 태종은 이를 따랐다. 또한 태실에 돌난간을 설치하면 지맥을 손상시킨다는 이유로 나무를 이용하여 난간을 만들게 했다. 혹 난간이 썩으면 고쳐서 다시 만들라고 했다. 여기에 더해 가봉처로 태를 봉안하는 절차도 갖추어졌다.
 
 
 
세종 태실은 정유재란(1597) 당시 도굴 당해 파손되었다. 이에 선조는 1601년(선조 34)에 다시 정비했다. 현재 전하는 석물의 대부분은 이 때 다시 갖추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태봉비는 숙종 때 마련하였으나 훼손된 것으로 보이며 영조 때 다시 마련되었다. 1734년(영조 10)에 세종·단종·예종·현종의 태봉에 비를 세우게 했다. 이 때 예조의 당상과 선공감역을 각각 1원을 보내 감독하게 했다. 태실이 위치했던 곳은 분묘가 들어서 있으며, 일부 석물은 태실의 것을 활용했을 가능성이 있어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다만 가봉비를 비롯하여 몇몇의 석물은 수습되어 인근 길 옆에 모아져있다. 유물들은 현재 경상남도 기념물 제30호로 지정되어있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
177번째 줄: 171번째 줄:
  
 
命除胎室安慰祭。 前此, 安胎後, 每三年一次行祭, 謂之胎室安慰祭。 至是, 禮曹令書雲觀稽舊例, 太祖、恭靖王安胎後, 竝不行安慰祭, 乃命罷之。|출처=『세종실록』13권, 세종 3년(1421) 10월 10일 기해(己亥) 5번째 기사}}
 
命除胎室安慰祭。 前此, 安胎後, 每三年一次行祭, 謂之胎室安慰祭。 至是, 禮曹令書雲觀稽舊例, 太祖、恭靖王安胎後, 竝不行安慰祭, 乃命罷之。|출처=『세종실록』13권, 세종 3년(1421) 10월 10일 기해(己亥) 5번째 기사}}
 
 
====『세종실록』150권, 「지리지」경상도(慶尙道) 진주목(晉州牧), 곤남군(昆南郡)====
 
{{Blockquote|본조(本朝) 금상(今上)이 즉위한 원년(元年) 기해에 어태(御胎)를 현(縣)에서 20리 북쪽 소곡산(所谷山)에 안치하고, 남해현(南海縣)을 곤명현(昆明縣)에 합쳐서 곤남군(昆南郡)으로 승격시켰다.
 
 
本朝今上卽位元年己亥, 安御胎于縣北二十里所谷山, 以南海縣合于昆明, 陞爲昆南郡。|출처=『지리지」경상도(慶尙道) 진주목(晉州牧), 곤남군(昆南郡)}}
 
  
  
629번째 줄: 617번째 줄: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04/PC004.htm" target="_blank">' +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02/PC002.htm" target="_blank">' +
 
     '    <span class="title">세종 태실 초안지</span>' +
 
     '    <span class="title">세종 태실 초안지</span>' +
 
     '  </a>' +
 
     '  </a>' +
656번째 줄: 644번째 줄: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조선 예조, 『세종대왕단종대왕태실표석수립시의궤(世宗大王端宗大王胎室表石竪立時儀軌)』,사천시청 소장.
+
*조선 예조, 『세종대왕단종대왕태실표석견립시의궤(世宗大王端宗大王胎室表石竪立時儀軌)』,사천시청 소장.
*조선 예조, 『세종대왕단종대왕태실수개의궤(世宗大王端宗大王胎室修改儀軌), 사천시청 소장.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