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 자 수장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4번째 줄: 44번째 줄:
 
견성군은 태지에 5월 5일에 태어난 것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왕자 수장은 봉안군일 가능성이 크다. 혹은 기록되지 않은 제3의 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봉안군이라 가정하면 이는 성종과 귀인 정씨의 소생으로 안양군과는 동복형제가 된다.
 
견성군은 태지에 5월 5일에 태어난 것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왕자 수장은 봉안군일 가능성이 크다. 혹은 기록되지 않은 제3의 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봉안군이라 가정하면 이는 성종과 귀인 정씨의 소생으로 안양군과는 동복형제가 된다.
  
태실의 위치는 정확하게 비정하기는 힘들지만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펴낸 《조선의 태실》의 내용과 현장 답사를 통해 확인한 바, 제3062 부대 내의 대공초소로 보인다. 추후 관련한 사료에 근거한 위치 고증이 필요하다.
+
태실의 위치는 정확하게 비정하기는 힘들지만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펴낸 《조선의 태실 ②》의 내용과 현장 답사를 통해 확인한 바, 제3062 부대 내의 대공초소로 보인다. 추후 관련한 사료에 근거한 위치 고증이 필요하다.
 
 
=='''상세'''==
 
성종 왕자 수장(壽長)의 태실은 이왕직에 의해 전국의 태실이 서삼릉으로 이안되는 과정에서 그 정확한 위치를 잃어버렸다.
 
 
 
다만 태실이 소재했던 내각리의 주민들의 증언에 의하면 서삼릉으로 이안되면서 훼손된 두 태봉을 언급하고 있어 둘 중 하나가 수장의 태실이 있었음을 추정할 따름이다.<ref>두 태봉의 소재지에 대해 한 장소는 선조의 후궁 인빈 김씨(仁嬪金氏)의 묘소 순강원(順康園)의 좌강(左岡)이고 다른 하나는 제3062부대 내의 배나무골에 자리 잡고 있다는 증언이다. 이 두 태봉 가운데 하나가 바로 왕자 수장의 태실이 있던 곳으로 각각의 주소지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150-2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산34-1로 추정된다. 이주환, 이진훈, 조원교 공저, 『朝鮮의 胎室 Ⅱ』,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165쪽.</ref>
 
 
 
『왕자수장태지석』을 통해 그 출생년도가 1482년임을 확인할 수 있다.<ref>『王子壽長胎誌石』, 1482, 皇明成化十八年二月二十三日辰時生 王子壽長胎 成化十八年六月二十三日巳時藏.</ref> 성종의 자녀 가운데 1482년에 출생한 왕자는 숙용 정씨(淑容鄭氏) 소생의 봉안군(鳳安君)과 숙의 홍씨(淑儀洪氏) 소생의 견성군(甄城君)이 확인된다.
 
 
 
숙용 정씨는 2남 1녀를 낳은 것으로 기록 되어 있으며,<ref>『成宗實錄』 14년(1483) 6월 12일 계유, 淑容鄭氏生二男一女.</ref><ref>위의 책, 誌文, 淑容鄭氏生二男一女 曰㤚 安陽君 娶知事具壽永女 曰㦀 鳳安君 娶贈左贊成趙紀女 女幼.</ref> 안양군(安陽君), 봉안군, 정혜옹주(靜惠翁主)가 그 소생이다.
 
 
 
봉안군은 『선릉왕자십사파합보(宣陵王子十四派合譜)』에 ‘成化壬寅九月二十九日生’으로 기록되어있다.<ref>『宣陵王子十四派合譜』, 1912, 鳳安君.</ref> 『왕자수장태지석』과 그 출생월일이 다르게 기록되어 있어 봉안군의 출생월일을 기록한 『선릉왕자십사파합보』의 오기(誤記)이거나 수장과 봉안군이 별개의 인물일 가능성도 상정할 필요가 있다.<ref>이주환, 이진훈, 조원교 공저, 위의 책(1999), 같은 쪽.</ref> 만약 『선릉왕자십사파합보』의 오기가 확실하다면 수장은 봉안군과 동일한 인물로 비정할 수 있다.<ref>김만중, 「강릉 모전리 貞福胎室碑와 성종의 子女에 대하여」, 『博物館誌』, 제7호, 강원대학교 박물관, 2000, 141쪽.</ref>
 
 
 
숙용 홍씨는 7남 3녀를 낳은 것으로 기록 되어 있으며,<ref>『成宗實錄』, 誌文, 淑容 洪氏生七男三女 曰惠淑翁主 下嫁高原尉 申沆 曰𢢝 完原君 娶贈左贊成崔河臨女 曰恬 檜山君 娶奉事安邦彦女 曰惇 甄城君 娶參奉申友灝女 餘幼.</ref> 혜숙옹주(惠淑翁主), 완원군(完原君), 회산군(檜山君), 견성군, 정순옹주(靜順翁主), 익양군(益陽君), 경명군(景明君), 운천군(雲川君), 양원군(楊原君), 정숙옹주(靜淑翁主)가 그 소생이다.
 
 
 
견성군은 아명이 수정(壽禎)으로 전국의 태실이 이왕직에 의해 서삼릉으로 이안되는 과정에서 그의 태실 또한 함께 옮겨졌다. 또 태지석을 통해 그의 출생년도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어<ref>『王子壽禎胎誌石』, 1486, 皇明成化十八年五月初五日寅時生 王子壽禎胎成化二十二年九月初一日卯時藏.</ref> 견성군은 수장과 별개의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수장 태실의 파빌리온은 태봉으로 추정되는 두 태봉의 중간 지점인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165-54에서 촬영하였으며 향후 조사를 위한 참조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
73번째 줄: 56번째 줄:
 
|출처=『조선의 태실』2권, 「28.壽長 (추정 鳳安君)]}}
 
|출처=『조선의 태실』2권, 「28.壽長 (추정 鳳安君)]}}
  
=='''계보도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NetworkGraph | title=수장_계보도.lst}}
 
  
=='''스틸샷 갤러리'''==
+
=='''시각자료'''==
 
<gallery>
 
<gallery>
 
File:SSNPC027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수장 태실 전면
 
File:SSNPC027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수장 태실 전면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