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종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5번째 줄: 125번째 줄:
  
 
===호산록===
 
===호산록===
====『호산록(湖山錄)』<ref>1619년(광해군 11) 한여현(韓汝賢)이 편찬한 충청도 서산군(현재의 서산시) 읍지. 2권 2책. 필사본. 개인소장. 고경명(高敬命)이 서산군수로 부임하여 편찬하게 하여 뒤에 완성된 사찬읍지(私撰邑誌)로서 충청도 지역에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읍지이다. 이 책은 임진왜란을 겪은 뒤 지방 사회의 모습을 충실히 전해 주는 읍지로서 의의가 크다. 17세기 초 지방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정치 질서의 문란, 향촌의 미풍양속(鄕風)의 붕괴와 좌목(座目) 다툼 등 향촌 사회의 동요, 소금굽기·목장·해상물의 진상 등에서 심각하게 나타났던 관리들의 민폐, 국방의 허술함 등을 지방 사족(士族)의 입장에서 생생하게 기록하였다.</ref>「산천(山川)」====
+
====『호산록』「산천(山川)」====
{{Blockquote| 태봉은 문수사(文殊寺) 좌쪽 어깨 편에 있으니 명종대왕(明宗大王)의 태를 묻은 곳이다. 봉우리 위에다 또 태사(胎寺) 세 칸(三間)을 지었으며 봉우리 아래에는 태지기(胎直) 10여 호가 살면서 벌목도 금지하고 산불도 금지한다.
+
{{Blockquote| 태봉은 문수사(文殊寺) 좌쪽 어깨 편에 있으니 명종대왕(明宗大王)의 태를 묻은 곳이다. 봉우리 위에다 또 태사(胎寺) 세 칸(三間)을 지었으며 봉우리 아래에는 태지기(胎直)10여 호가 살면서 벌목도 금지하고 산불도 금지한다.
 +
 
 +
胎峰在文殊寺在肩, 明宗大王胎入藏, 峰頂又作胎寺三間, 峰之下胎直十餘家, 禁伐禁火。|출처=『호산록』「산천(山川)」}}
  
胎峰在文殊寺在肩, 明宗大王胎入藏, 峰頂又作胎寺三間, 峰之下胎直十餘家, 禁伐禁火。|출처=『호산록(湖山錄)』「산천(山川)」}}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90번째 줄: 291번째 줄: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의 태실』,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의 태실』,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충남역사문화연구원,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정밀실측 및 심화연구』, 서산시, 2015.
 
  
 
3.논문
 
3.논문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