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종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태실조사카드
 
{{태실조사카드
|사진=OGPC_Myeongjong_Taeshil_pano01.JPG
+
|사진=
 
|사진출처=충남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태봉산의 명종대왕태실
 
|사진출처=충남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태봉산의 명종대왕태실
 
|식별자=PC011
 
|식별자=PC011
26번째 줄: 26번째 줄:
 
|이안 연월일=1929.05 <small>추정</small>
 
|이안 연월일=1929.05 <small>추정</small>
 
|이안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 좌표(위도)=37°66'45.61"N,
+
|이안지 좌표(위도)=37°39'52.9"N
|이안지 좌표(경도)=126°86'06.29"E
+
|이안지 좌표(경도)=126°51'38.0"E
 
|지문=皇明嘉靖十三年,五月二十二日,寅時生,王男大君椿齡阿只氏胎,嘉靖十七年,二月二十日,卯時藏
 
|지문=皇明嘉靖十三年,五月二十二日,寅時生,王男大君椿齡阿只氏胎,嘉靖十七年,二月二十日,卯時藏
 
|지문 찬자=조선 예조(禮曹)
 
|지문 찬자=조선 예조(禮曹)
39번째 줄: 39번째 줄:
 
}}
 
}}
  
=='''내용'''==
+
=='''정의'''==
조선 제13대 국왕 명종의 태실이다.
+
조선의 11대 왕인 중종(中宗)과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尹氏)의 2남이며, 조선의 12대 왕인 인종(仁宗)의 동생인 조선 13대 왕 명종의 안태지(安胎地).
 
 
한 태실에 비석이 세 기()인 것이 특징이다. 안태비는 명종이 태어난 직후 세워진 것이며, 명종 즉위 후 세운 가봉비가 풍화로 인해 부식되자 1711년(숙종 37) 새로이 비석을 마련한 것이다.
 
 
숙종 때 비석을 마련하는 과정은 《승정원일기》에 자세하다. 이 때 비석만 새로 새우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석물도 수개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 선조 태실과 현종 태실도 함께 개수(改修)하였는데 예조 당상과 낭청 각 1인과 감역관을 파견해 일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비석의 글씨는 승문원 관원을 차출하여 보냈다. 이 때 감역으로 참여했던 오수현(吳遂顯)은 태실 수개가 끝난 뒤 그 공로를 인정받아 승륙(陞六)이 이루어졌다.
 
 
 
명종 태실은 지난 2018년 보물 제1976호로 지정되었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
124번째 줄: 118번째 줄:
 
宣祖乙亥瑞山奸民欲害其宰, 打破明宗胎封石欄。|출처=『연려실기술』별집(別集) 2권, 「사전전고(祀典典故)」장태조(藏胎條)}}
 
宣祖乙亥瑞山奸民欲害其宰, 打破明宗胎封石欄。|출처=『연려실기술』별집(別集) 2권, 「사전전고(祀典典故)」장태조(藏胎條)}}
  
===호산록===
 
====『호산록(湖山錄)』<ref>1619년(광해군 11) 한여현(韓汝賢)이 편찬한 충청도 서산군(현재의 서산시) 읍지. 2권 2책. 필사본. 개인소장. 고경명(高敬命)이 서산군수로 부임하여 편찬하게 하여 뒤에 완성된 사찬읍지(私撰邑誌)로서 충청도 지역에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읍지이다. 이 책은 임진왜란을 겪은 뒤 지방 사회의 모습을 충실히 전해 주는 읍지로서 의의가 크다. 17세기 초 지방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정치 질서의 문란, 향촌의 미풍양속(鄕風)의 붕괴와 좌목(座目) 다툼 등 향촌 사회의 동요, 소금굽기·목장·해상물의 진상 등에서 심각하게 나타났던 관리들의 민폐, 국방의 허술함 등을 지방 사족(士族)의 입장에서 생생하게 기록하였다.</ref>「산천(山川)」====
 
{{Blockquote| 태봉은 문수사(文殊寺) 좌쪽 어깨 편에 있으니 명종대왕(明宗大王)의 태를 묻은 곳이다. 봉우리 위에다 또 태사(胎寺) 세 칸(三間)을 지었으며 봉우리 아래에는 태지기(胎直) 10여 호가 살면서 벌목도 금지하고 산불도 금지한다.
 
 
胎峰在文殊寺在肩, 明宗大王胎入藏, 峰頂又作胎寺三間, 峰之下胎直十餘家, 禁伐禁火。|출처=『호산록(湖山錄)』「산천(山川)」}}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135번째 줄: 124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파노라마===
 
===파노라마===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11/PC01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스틸샷 갤러리===
 
===스틸샷 갤러리===
 
<gallery>
 
<gallery>
File:SSNPC_Myeongjong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명종 태실 전면
 
File:SSNPC_Myeongjong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명종 태실 후면
 
File:OGPC_Myeongjong_san_pano.JPG|서산 태봉산 전경
 
File:OGPC_Myeongjong_entry_board03.JPG|서산 태봉산 명종 태실 초안지 안내판
 
File:OGPC_Myeongjong_Taeshil_board.JPG|서산 태봉산 명종 태실 초안지 표석
 
File:OGPC_Myeongjong_Taeshil_pano02.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전경-1
 
File:OGPC_Myeongjong_Taeshil_pano03.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전경-2
 
File:OGPC_Myeongjong_JungDongseok02.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중앙태석
 
File:OGPC_Myeongjong_Nanganseok.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난간석
 
File:OGPC_Myeongjong_Nanganseok01.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동자석
 
File:OGPC_Myeongjong_biseok_pano01.JPG|서산 태봉산 명종 태실비 전경
 
File:OGPC_Myeongjong_biseok_pano02.JPG|서산 태봉산 명종 태실비 후경
 
File:OGPC_Myeongjong_Gabongbi_Front.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비신 전면
 
File:OGPC_Myeongjong_Gabongbi_back.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비신 후면
 
File:OGPC_Myeongjong_Gabongbi_Yisu_back.JPG|서산 태봉산 가봉태실 이수
 
File:OGPC_Myeongjong_Gabongbi_turtle_base01.JPG|서산 태봉산 가봉태실 귀부 전면
 
File:OGPC_Myeongjong_princebi_Front.JPG|서산 태봉산 가봉태실 주상전하태실비 전면
 
File:OGPC_Myeongjong_princebi_back.JPG|서산 태봉산 가봉태실 주상전하태실비 후면
 
File:OGPC_Myeongjong_Dagunbi_Front.JPG|서산 태봉산 대군춘령아기씨태실비 전면
 
File:OGPC_Myeongjong_Dagunbi_side.JPG|서산 태봉산 대군춘령아기씨태실비 후면
 
 
</gallery>
 
</gallery>
 +
<!--
 +
===가상현실===
 +
====현재의 묘역====
 +
*가상현실 예시 : 충주 억정사지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7/Eokje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gallery mode="slideshow">
+
====초장 추정지====
File:SSNPC_Myeongjong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명종 태실 전면
+
*가상현실 예시 : 용인 서봉사지
File:SSNPC_Myeongjong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명종 태실 후면
+
<html>
File:OGPC_Myeongjong_san_pano.JPG|서산 태봉산 전경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6/Seb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File:OGPC_Myeongjong_entry_board03.JPG|서산 태봉산 명종 태실 초안지 안내판
+
</html>
File:OGPC_Myeongjong_Taeshil_board.JPG|서산 태봉산 명종 태실 초안지 표석
+
-->
File:OGPC_Myeongjong_Taeshil_pano02.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전경-1
 
File:OGPC_Myeongjong_Taeshil_pano03.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전경-2
 
File:OGPC_Myeongjong_JungDongseok02.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중앙태석
 
File:OGPC_Myeongjong_Nanganseok.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난간석
 
File:OGPC_Myeongjong_Nanganseok01.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동자석
 
File:OGPC_Myeongjong_biseok_pano01.JPG|서산 태봉산 명종 태실비 전경
 
File:OGPC_Myeongjong_biseok_pano02.JPG|서산 태봉산 명종 태실비 후경
 
File:OGPC_Myeongjong_Gabongbi_Front.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비신 전면
 
File:OGPC_Myeongjong_Gabongbi_back.JPG|서산 태봉산 명종 가봉태실 비신 후면
 
File:OGPC_Myeongjong_Gabongbi_Yisu_back.JPG|서산 태봉산 가봉태실 이수
 
File:OGPC_Myeongjong_Gabongbi_turtle_base01.JPG|서산 태봉산 가봉태실 귀부 전면
 
File:OGPC_Myeongjong_princebi_Front.JPG|서산 태봉산 가봉태실 주상전하태실비 전면
 
File:OGPC_Myeongjong_princebi_back.JPG|서산 태봉산 가봉태실 주상전하태실비 후면
 
File:OGPC_Myeongjong_Dagunbi_Front.JPG|서산 태봉산 대군춘령아기씨태실비 전면
 
File:OGPC_Myeongjong_Dagunbi_side.JPG|서산 태봉산 대군춘령아기씨태실비 후면
 
</gallery>
 
  
 
=='''전자지도'''==
 
=='''전자지도'''==
208번째 줄: 164번째 줄:
 
var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 지도를 표시할 div  
 
var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 지도를 표시할 div  
 
     mapOption = {  
 
     mapOption = {  
         center: new daum.maps.LatLng(36.779200, 126.578703), // 지도의 중심좌표
+
         center: new daum.maps.LatLng(36.613575, 127.042739), // 지도의 중심좌표
         level: 4// 지도의 확대 레벨
+
         level: 12// 지도의 확대 레벨
 
     };
 
     };
  
256번째 줄: 212번째 줄: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11/PC011.htm" target="_blank">' +
+
     '  <a href="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6/Sebongsaji.htm" target="_blank">' +
     '    <span class="title">명종 태실 초안지</span>' +
+
     '    <span class="title">명종태실 안태지</span>' +
 
     '  </a>' +
 
     '  </a>' +
 
     '</div>';
 
     '</div>';
290번째 줄: 246번째 줄: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의 태실』,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의 태실』,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충남역사문화연구원,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정밀실측 및 심화연구』, 서산시, 2015.
 
  
 
3.논문
 
3.논문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