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선공주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5번째 줄: 15번째 줄:
 
|피안자 생년월일=1660
 
|피안자 생년월일=1660
 
|피안자 몰년월일=1673.08.02
 
|피안자 몰년월일=1673.08.02
|안태 연월일=1660.02.17
+
|안태 연월일=1660
 
|안태지 기록=미상
 
|안태지 기록=미상
 
|안태지 기록1=
 
|안태지 기록1=
39번째 줄: 39번째 줄:
 
}}
 
}}
  
=='''내용'''==
+
=='''정의'''==
현종과 명성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공주이다. 신안위(新安尉) 맹만택(孟萬澤)과 정혼했으나 요절해 끝내 가례(嘉禮)를 올리지 못했다.
+
조선의 18대 왕인 현종(顯宗)과 명성왕후(明聖王后) 김씨(金氏)의 장녀이며, 신안위(新安尉) 맹만택(孟萬澤)과 정혼했으나 요절해 끝내 혼인하지 못한 명선공주의 안태지.
 
 
1599년(현종 즉위) 11월에 태어나 이듬해 2월 안태가 이루어졌다. 1600년 고모들의 안태 논의가 있는 것과 비교할 때 이른 시기에 태실이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명선공주의 태실을 조성하는 책임을 진 안태사는 홍처윤(洪處尹)으로 임명하였으며, 태실비의 글씨는 승문원 박사 권양(權讓)이 담당하였다. 현종 때 조성한 공주들의 태실은 다른 시기에 비해 비교적 그 내용이 상세하다. 아마 왕실 가족 구성에서 왕자군의 비중이 낮아지며 나타난 현상이 아닌가 생각된다.
 
 
 
현재 태실지에는 당시 태실의 흔적으로 추측되는 인위적인 구덩이가 존재한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54번째 줄: 48번째 줄:
 
===스틸샷 갤러리===
 
===스틸샷 갤러리===
 
<gallery>
 
<gallery>
File:SSNPC_MyeongSun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명선공주 태실 전면
+
File:SSNPC_MyeongSun01.JPG|서삼릉 태실 명선공주 태실 전경
File:SSNPC_MyeongSun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명선공주 태실 후면  
+
File:SSNPC_MyeongSun02.JPG|서삼릉 태실 명선공주 태실 후면  
 
File:OGPC_MyeongSun_san_pano01.JPG|보령 미산면 남심리 태봉산 전경
 
File:OGPC_MyeongSun_san_pano01.JPG|보령 미산면 남심리 태봉산 전경
 
File:OGPC_MyeongSun_san_pano02.JPG|보령 미산면 남심리 태봉마을 쪽에서 바라본 태봉산 우측
 
File:OGPC_MyeongSun_san_pano02.JPG|보령 미산면 남심리 태봉마을 쪽에서 바라본 태봉산 우측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1.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남측 ①
+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1.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남측 ①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2.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남측 ②
+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2.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남측 ②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3.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우측 ①
+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3.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우측 ①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4.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우측 ②
+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4.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우측 ②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5.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북측 ①
+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5.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북측 ①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6.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북측 ②
+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6.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북측 ②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7.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좌측 ①
+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7.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좌측 ①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8.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좌측 ②
+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8.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좌측 ②
 
</gallery>
 
</gallery>
 +
<!--
  
<gallery mode="slideshow">
+
====현재의 묘역====
File:SSNPC_MyeongSun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명선공주 태실 전면
+
*가상현실 예시 : 충주 억정사지
File:SSNPC_MyeongSun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명선공주 태실 후면
+
<html>
File:OGPC_MyeongSun_san_pano01.JPG|보령 미산면 남심리 태봉산 전경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7/Eokje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File:OGPC_MyeongSun_san_pano02.JPG|보령 미산면 남심리 태봉마을 쪽에서 바라본 태봉산 우측
+
</html>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1.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남측 ①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2.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남측 ②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3.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우측 ①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4.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우측 ②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5.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북측 ①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6.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북측 ②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7.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좌측 ①
 
File:OGPC_MyeongSun_Tashil_site08.JPG|보령 남심리 명선공주 태실 초안지 좌측 ②
 
</gallery>
 
  
 +
====초장 추정지====
 +
*가상현실 예시 : 용인 서봉사지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6/Seb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파노라마===
 
===파노라마===
 
<html>
 
<html>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