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류 노드 시각망

DHWIKI
210.119.32.76 (토론) 사용자의 2015년 10월 23일 (금) 17:53 판 (표류 노드 목록 : 사건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구 개요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조선시대 표류노드 시각망” 구축을 위한 것이다. 조선시대에 발생했던 표류사건에 관한 기록은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① 공식 기록으로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변례집요(邊例集要)』, 『표인영래등록(漂人領來謄錄)』, 『제주계록(濟州啓錄)』 등의 고문헌이 있다.
② 사적 기록이 담긴 표해록(漂海錄)에서는 개인의 표류 경험에 대한 생생한 견문을 고찰할 수 있다.
공적 기록과 사적 기록을 검토하여 표류 인물, 거주지, 출해(出海) 지역, 출해 목적, 표류 기간, 표착지(漂着地), 송환(送還) 시기 등의 맥락에 따른 사실 관계 정보를 추출하고, 시각적으로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학제 간의 응용은 물론이고 일반 대중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인문 지식 정보를 확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조선시대 표류노드의 시각망” 구축을 목표로 한다. 표류노드 시각망을 구축하기 위하여 크게 3가지 사항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한다.
첫째, 표류 사건이 기록된 문헌을 검토하여 표류 인물, 출해(出海) 지역, 목적, 표류 원인, 표류 기간, 표착지(漂着地), 송환(送還) 시기 등의 요소를 추출한다.
둘째, 표류민의 출해 지점과 표착지의 현장답사를 실시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영상자료를 구축한다.
셋째, 표류 관련 정보를 하이퍼텍스트 콘텐츠로 시각화하여 시각망을 구축한다.

연구 추진 전략 및 방법

본 연구는 4단계로 분화하여 요약해 볼 수 있다.
1단계에서는 조선시대 표류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는 공적 ․ 사적 기록을 대상으로 하여 표류 사건에 기록된 표류 인물, 출해 목적, 표류 원인, 표류 기간, 표착지, 송환 시기 등의 맥락에 따라 데이터를 추출한다.
2단계에서는 “표류노드 시각망” 구현에 필요한 기본 자료가 구축되면, 표류민의 출해 지점과 표착지 현장 답사를 실시하고, 표류노드 시각망의 적정 구현 모델에 관한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효율적인 학술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정의 기회를 갖는다.
3단계에서는 선행 과정을 통해 추출된 표류 관련 데이터와 구축된 이미지 자료를 구조화하여 전자지도 상에 시각화하여 나타낸다. 표류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를 관계성에 기반을 두고 네트워크화하여 시각적 콘텐츠로 재생산하는 것이다. 표류 인물의 나이, 성별, 관직 등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표류 경로, 표류 원인 및 출해 목적, 표착 기간, 표착지의 이미지나 영상, 표착지에서의 생활 및 교류 인물, 표류 기록 문헌 등 다양한 정보와 연계시켜서 하이퍼텍스트로 제공한다. 또한 표착지별로 표류민의 수를 다이어그램으로 보여주고, 해당 지역에 표류한 인물 정보를 비롯하여 표착 인물들의 표류 경로, 그 지역의 해류의 순환과 계절풍의 흐름 등을 연계시켜서 시각화한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조선시대 표류와 관련된 다양한 인문지식을 디지털 콘텐츠로 기획하게 된 과정과 구상 내용, 일련의 진행과정, 개발한 내용 등 학술활동 전반에 대한 결과물을 단행본으로 출판한다.

연구 수행 일정

2014. 12 / 1차 학술모임 : 사업 내용 공유 및 자료 자문
2015. 01 / 2차 학술모임 : 자료에 관한 자문회의
2015. 02 / 3차 학술모임 : 텍스트별 자료 정리 1
2015. 03 / 4차 학술모임 : 텍스트별 자료 정리 2
2015. 04 / 5차 학술모임 : 텍스트별 자료 정리 3
2015. 05 / 6차 학술모임 : 적정 구현 모델에 관한 자문
2015. 06 / 7차 학술모임 : 영상 데이터 확보 계획, 출장 1회
2015. 07 / 8차 학술모임 : 영상 데이터 확보, 출장 1회
2015. 08 / 9차 학술모임 : 디지털콘텐츠 시각망 구축 회의1, 출장 1회
2015. 09 /10차 학술모임 : 디지털콘텐츠 시각망 구축 회의2
2015. 10 /11차 학술모임 : 전자지도 작성 회의
2015. 11 /12차 학술모임 : 표류노드 시각망 구현 총괄 회의
2015. 12 /13차 학술모임 : 출판 교열 인쇄 정리

연구 결과 및 활용

본 연구 “조선시대 표류노드 시각망”의 결과물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 기여한다.
첫째, 전통 인문학의 대중화와 타 분야와의 연계성
둘째, 학문과 문화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원천소재 콘텐츠 제공.
셋째, 동아시아 교류에 관한 인문학 지식정보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새로운 시스템 개발의 견인.

참여 연구진

연구책임자

. 허경진

공동연구원

. 구지현 . 이수진

연구보조원

. 장안영 . 서소리

표류 노드 시각망 데이터

표류 노드 목록 : 사건별

번호 사건명 출처문헌 출항일 표착일 송환일 출해지 표착지 출해목적
E001 김태진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46.10.24 1846.10.28 1847.03.09 제주 화북포 제주 금리포 橘果末運
E002 김상로(金尙魯)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46.07.28 1846.08.28 1847.06.11 영암군 소안도 절강성(浙江省) 영파부(寧波府) 상산현 석포진(石浦鎭)
E003 문경록(文京祿)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48.01.21 1848.01.26 1848.11.11 제주 화북포 일본국 오도(五島) 행상차 출항
E004 김영록(金永祿)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48.01.21 1848.01.26 1848.11.11 행상
E005 안성훈(安成勳)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49.08.28 1849.09.27 1850.09.19(추정) 정의현 우미포 대청국 복건성 지방의 해방분처부
E006 한명완(韓明完)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0.02.20 1850.02.25 1850.11.20 우도 일본국 오도(五島) 해초를 베어서 돌아오다가
E007 문내경(文乃敬)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0.02.20 1850.02.25 1851.04.08 세화포 일본국 시라도 초석(草席) 운반
E008 임상일(任尙日)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49.08.12 1849.08.21 1851.04.16(추정) 신산포(新山浦) 유구국(琉球國) 학도(鶴島) 고기 낚시
E009 서진행(徐辰行)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0.08.23 1850.09.13(추정) 1851.07.13(추정) 대청국 절강성 서안현(瑞安縣) 고기 낚시
E010 이언진(李彦辰)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2.04.02 1853.03.17 일본국 오도(烏島) 고기 낚시
E011 고운학(高雲鶴)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2.09.07 1852.09.14 1853.05.27 협재포 대청국 복건성 복녕현(福寧縣) 공산도(公山島) 고기 낚시
E012 양명환(梁明煥)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2.09.21 1852.10.04 1853.02.04 변막리 일본국 살마도 옥구도(屋久島) 사기 그릇[砂器]을 운반
E013 이덕량(李德良)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3.12.12 1853.12.17 1855.02.29 영암군 소안도 제주 화북포
E014 김종언(金宗彦)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4.03.24 1854.03.28 1855.02.29 일본국 오도 사포(沙浦) 고기 낚시
E015 우광연(禹光連)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4.03.24 1854.04.01 1855.03.12(추정) 일본국 오도(五島) 고기낚시
E016 양서홍(梁瑞洪)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2.08.28 1852.10.14 1856.03.10 대청국 복건성 대만현(台灣縣) 미역 싣고 충청도 은진현 강경포로 향해가다가
E017 이자정(李子汀)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3.12.12 1854.01.10 1856.03.10 영암군 소안도 유구국 대도(大島)
E018 김응량(金應良)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5.07.10 1855.07.28 1856.03.10 대청국 팔탄사(八灘司) 황하구(黃下口) 미역 실으려고
E019 이득광(李得光)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5.8.14 1855.9.19 1856.6.19 보산현(寶山縣) 관할의 송강포(松江浦) 商業
E020 고봉익(高奉益)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3.12.22 1853.12.28 1856.9.10 제주 애월리, 별도리 일본국 오도 소속의 대이후촌(大伊厚村)
E021 이관제(李寬悌)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5.3.10 1855.3.20 1855.8.14 제주 김녕리 일본국 오도의 장길포(長吉浦) 漁業
E022 윤광록(尹光祿)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5.3.10 제주 김녕리 일본국 오도의 장길포(長吉浦) 해조(海藻)를 싣고 돌아오다가
E023 한치득(韓致得)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5.9.4 1855.9.16 1857.3.7 제주목의 별방면(別防面) 무주리 유규국 소속의 박산도(薄山島) 해조 운반
E024 신승록(申承祿)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6.9.13 1856.9.24 1857.5.16 제주 독포리 대청국 항주(杭州) 지경 漁業
E025 고치만(高致萬)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6.9.12 1856.9.27 1857.10.18 제주 협재리 대청국 복정현(福鼎縣) 漁業
E026 김성진(金聲振)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57.1.24 1857.3.1 1858.4.3 제주 좌면 함덕리 대청국 광동성(廣東省) 향항도(香港島)
E027 강시국(姜始國)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5.10.31 1865.12.3 대정군(大靜郡) 하모리 일본국 오도 대보촌(大寶村) 米包
E028 마영(馬英)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6.8.13 1866.9.1 1867.5.30 제주 좌면 우도(牛島) 강남 복건성 복주(福州) 商業
E029 이세훈(李世勛)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5.12.26 1865.12.29 일본국 오도(五島) 고기 낚시
E030 문백익(文白益)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5.11.11 1865.11.25 제주 일귀리(一貴里), 일도리, 수산리, 구엄리, 별도리 유구국 대도(大島 其他
E031 김대행(金大行)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7.2.8 1867.2.11 제주 조천리 일본국 대마도 완촌(完村) 商業
E032 이수형(李壽亨)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8.1.19 1868.1.22 제주 잠수리 일본국 대마도 금포(琴浦) 商業
E033 김광일(金光日)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7.12.2 1868.3.18 제주 잠수리 광동 지경의 당산포(唐山浦) 商業
E034 현승락(玄升洛)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7.4.7 1867.4.16 정의현 표선리(表善里) 일본국 오도(五島) 漁業, 고기 낚시
E035 모순원(牟順元)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7.12.2 1867.12.6 제주 별도리, 도련리, 와흘리, 애월리, 두모리 일본국 장기도 商業, 쌀을 사려고
E036 양호운(梁浩沄)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7.12.02 1867.12.05 1868.09.29 제주 화북포 일본국 오도 청방촌(靑方村) 商業
E037 고연신(高連信)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6.10.14 1866.10.16 1868.10.24 제주 신산포 일본국 오도 其他
E038 고여몽(高汝夢)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8.11.16 1868.11.17 1869.03.29 거제부 일본국 대마도(對馬島) 其他
E039 신순집(申順集)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8.09.09 1868.09.27 1869.04.27 제주 대청국 복건성 진강현(晉江縣) 소속의 동포(東浦) 漁業
E040 김신임(金辛任)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8.12.21 1869.01. ? 우미포(牛尾浦) 중국 항주 정해현(定海縣) 사람의 배 商業
E041 김광훈(金光訓)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8.08.29 1868.09.03 영암군 이진 일본국 오도 소속의 옥진포(玉津浦) 公務
E042 고경운(高京云)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69.03.04 1869.03.11 제주 우도 일본국 오도(五島) 漁業
E043 박춘록(朴春錄)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70.02.04 1870.02.21 제주 도원포(桃源浦) 대청국 외도(外島) 대만부(臺灣府) 其他
E044 이연명(李連明)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70.03.04 0870.03.08 제주 정의현 일본국 오도 漁業
E045 장운행(張運行)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70.08.20 1870.08.28 제주 별방리 이양선 구조 漁業
E046 강천손(姜千孫)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70.11.01 1870.11.03 제주 화북포 대마도 商業
E047 이대유(李大有)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70.01.21 1870.01.29 제주 중대리 유구국 구미도(久米島) 漁業
E048 강신주(姜信周)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71.01.22 1871.01.그믐날(추정) 제주 일과리 이양선 其他
E049 이병호(李炳昊)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80.09.18 1880.09.30 제주 대림리 대청국 복건성 혜안현(惠安縣) 숭무진(崇武鎭)포구 漁業
E050 강여홍(康如弘)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濟州啓錄), 각사등록(各司謄錄) 1881.08.08 1881.08.14 제주 정의현 대청국 상선

표류 노드 목록 : 공간별

표류 노드 목록 : 인물별

표류 인물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