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류 노드 시각망

DHWIKI
222.118.86.247 (토론) 사용자의 2015년 10월 13일 (화) 14:23 판 (연구 목적)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구 개요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조선시대 표류노드 시각망” 구축을 위한 것이다. 조선시대에 발생했던 표류사건에 관한 기록은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① 공식 기록으로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변례집요(邊例集要)』, 『표인영래등록(漂人領來謄錄)』, 『제주계록(濟州啓錄)』 등의 고문헌이 있다. ② 사적 기록이 담긴 표해록(漂海錄)에서는 개인의 표류 경험에 대한 생생한 견문을 고찰할 수 있다. 

공적 기록과 사적 기록을 검토하여 표류 인물, 거주지, 출해(出海) 지역, 출해 목적, 표류 기간, 표착지(漂着地), 송환(送還) 시기 등의 맥락에 따른 사실 관계 정보를 추출하고, 시각적으로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학제 간의 응용은 물론이고 일반 대중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인문 지식 정보를 확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

연구 추진 전략 및 방법

연구 수행 일정

연구 결과 및 활용

참여 연구진

연구책임자

. 허경진

공동연구원

. 구지현 . 이수진

연구보조원

. 장안영 . 서소리 . 박혜민 . 김누리 . 류인태 . 이효정


표류 노드 시각망 데이터

표류 노드 목록 : 사건별

번호 사건명 출처문헌 표류기간:시작 표류기간:종료 출해지 목적지 출해목적
E001 김태진 일행 표류사건 제주계록, 각사등록 1846.10.24 1847.03.11 제주 화북포 橘果末運

표류 노드 목록 : 공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