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암총서(柳菴叢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정의'''== 조선 순조 때 정약전(丁若銓)이 대필(代筆)한 어상(魚商) 문순득(文淳得)의 표해기행록(漂海紀行錄)이다. =='''개관'''== 19세기...)
 
1번째 줄: 1번째 줄:
 
=='''정의'''==
 
=='''정의'''==
조선 순조 때 정약전(丁若銓)이 대필(代筆)한 어상(魚商) 문순득(文淳得)의 표해기행록(漂海紀行錄)이다.
+
조선 후기 대학자인 정약용의 제자 이강회가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에서 머물면서 집필한 책이다.
  
 
=='''개관'''==
 
=='''개관'''==
19세기 초반 흑산도에서 표류해 마카오까지 흘러간 홍어장수 문순득의 표류행적을 정약전(丁若銓)이 정리한 것이 『표해시말(漂海始末)』이다. 정략전은 우이도(牛耳島 : 지금의 소흑산도)에 유배되어 머물던 순조 5년(1805)에서 순조 16년(1816)사이에 대필(代筆)한 것이다. 이본으로 1818년에 그 섬으로 유배된 유암(柳菴)이 문순득의 글을 참조하여 쓴 「표해시말(漂海始末)」이 『유암총서(柳菴叢書)』에 전한다. 이 「표해시말」은 정약전이 지은 「표해록」에 누락된 내용을 보완하고 있다.  
+
1818년에 유암(柳庵)이 문순득의 말과 정약전의 소록을 참조하여 다시 <표해록(漂海錄)> · <여송박제(呂宋舶制)> · <차설답객난(車設答客難)> · <차설답(車設答)> 등이 서술된 『유암총서(柳菴叢書)』를 저술하였다. 『유암총서(柳菴叢書)』는 세로 24.5cm. 가로 15.5cm이며, 총 96페이지이다. 그 중 14페이지와 72페이지, 96페이지는 공백이다. 용지는 저지, 펼사책, 광곽은 세로 19cm, 가로 13cm, 좌우쌍 변, 10행 22자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내용'''==
『표해시말(漂海始末)』은 어민의 해외 체험과 외국의 풍속 및 배를 만드는 기술 등을 기술하였는데, 주요 내용은 문순득 일행의 표류 행적이다. 1801년 12월 우이도에서 문순득과 그의 작은아버지 호겸(好謙)과 마을사람인 이백근(李白根)·박무청(朴無碃)·이중원(李中原), 나무꾼 아이 김옥문(金玉紋) 등 6명이 흑산도 남쪽 수백리에 있는 태사도(太砂島)로 홍어를 사러 갔다. 이듬해 1월 18일 돌아오는 길에, 우이도 서남 수백리에서 표풍(飄風)을 만나 표류하다가 2월 2일에야 유구국(琉球國) 큰 섬의 양관촌(羊寬村)에 닿았다. 10월 7일 3척의 배로 중국을 향하여 출발하였으나 10월 7일 또다시 서풍을 만나 표류하였다. 11월 1일 여송(呂宋 : 지금의 필리핀)에 닿아 머무르다가 1803년 3월 16일 다른 사람들은 먼저 출발, 문순득과 김옥문은 남은 복건인(福建人) 25명과 같이 광둥(廣東)·아오먼(澳門)·북경(北京)·의주(義州)를 거쳐 서울에 도착하였고, 1805년 1월 8일 귀가하였다. 이러한 표류 과정에서 중국, 안남, 유구, 여송 등의 언어와 풍속 등을 소개하고 있다.
+
 
또한『표해시말(漂海始末)』은 표류 당사자인 문순득의 고향인 소흑산도에서 생활이 곤궁하여 대흑산도로 옮겨가는 과정 역시 담고 있는데, 유배 제도의 일단을 보고해 주는 자료의 역할을 한다.
+
  
 
=='''출처'''==
 
=='''출처'''==
* 표해록 [漂海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강회 《유암총서》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반도 해양문화), 2009., 한국콘텐츠진흥원)
*「문순득 표류기 표해시말」, 『연합뉴스』, 2012.09.19
+
* 多和田廣一郞, 「유암총서(柳菴叢書)」, 『동아시아고대학』, 동아시아고대학회, 2006.
* 김태준, 『한국의 여행 문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
* 다도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

2016년 1월 11일 (월) 15:01 판

정의

조선 후기 대학자인 정약용의 제자 이강회가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에서 머물면서 집필한 책이다.

개관

1818년에 유암(柳庵)이 문순득의 말과 정약전의 소록을 참조하여 다시 <표해록(漂海錄)> · <여송박제(呂宋舶制)> · <차설답객난(車設答客難)> · <차설답(車設答)> 등이 서술된 『유암총서(柳菴叢書)』를 저술하였다. 『유암총서(柳菴叢書)』는 세로 24.5cm. 가로 15.5cm이며, 총 96페이지이다. 그 중 14페이지와 72페이지, 96페이지는 공백이다. 용지는 저지, 펼사책, 광곽은 세로 19cm, 가로 13cm, 좌우쌍 변, 10행 22자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출처

  • 이강회 《유암총서》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반도 해양문화), 2009., 한국콘텐츠진흥원)
  • 多和田廣一郞, 「유암총서(柳菴叢書)」, 『동아시아고대학』, 동아시아고대학회, 2006.
  • 다도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