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바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WIKI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김바로''' | + | '''김바로(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
'''학력 ''' | '''학력 '''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경력''' | '''경력''' | ||
− | * | + | * 2018.01. - 2020.06. 중앙대학교 HK+인공지능인문학사업단 HK연구교수 |
− | + | * 2020.07. - 2021.08.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교수(A유형) | |
− | + | ||
− | * 2020. | + | |
− | + | ||
− | + | ||
− | + | ||
− | + | ||
* 2021.09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화예술학부 인문정보학 조교수 | * 2021.09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화예술학부 인문정보학 조교수 | ||
'''논문''' | '''논문''' | ||
− | * | + | * 2022.05. 「<공공데이터법>과 인문데이터 -공공기관 보유 인문데이터 공개 신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
− | * 「한국 대중 서사 기반 감정 데이터 구축과 활용 - 감정 딥러닝 모델 구현을 통한 문학 연구의 활용 가능성 탐색을 | + | * 2022.08. 「조선시대 중국어 역학서 어휘 및 어음 정보의 시맨틱 데이터 구축 연구」, 『중국학보』 |
+ | * 2022.12. 「한국 대중 서사 기반 감정 데이터 구축과 활용 - 감정 딥러닝 모델 구현을 통한 문학 연구의 활용 가능성 탐색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인문학연구』 | ||
+ | * 2023.02.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한중 웹소설 플랫폼 비교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 ||
+ | * 2023.09. 「한국역사인물데이터베이스 설계 시론: 홍문록(弘文錄)을 예시로 하여」, 『한국학』 | ||
'''저서''' | '''저서''' | ||
− | * | + | * 2016.05. 『디지털 인문학 입문』(공저), HUEBOOKs : 한국외국어대학교지식출판원 |
− | * | + | * 2022.02. 『디지털 인문학과 사전』(공저), 단국대학교출판부 |
+ | * 2022.03. 『AI가 내려온다 - 인공 지능 시대의 고전 문학 연구』(공저), 사이언스북스 | ||
+ | * 2023.02. 『디지털로 읽고 데이터로 쓰다: 디지털 한국어문학의 모색』(공저), 박문사 |
2023년 11월 30일 (목) 23:51 기준 최신판
김바로(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학력
- 2007.07 北京大學 역사학과 학사 졸업
- 2011.01 北京大學 역사학과 석사 졸업
- 2017.08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박사 졸업
경력
- 2018.01. - 2020.06. 중앙대학교 HK+인공지능인문학사업단 HK연구교수
- 2020.07. - 2021.08.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교수(A유형)
- 2021.09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화예술학부 인문정보학 조교수
논문
- 2022.05. 「<공공데이터법>과 인문데이터 -공공기관 보유 인문데이터 공개 신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 2022.08. 「조선시대 중국어 역학서 어휘 및 어음 정보의 시맨틱 데이터 구축 연구」, 『중국학보』
- 2022.12. 「한국 대중 서사 기반 감정 데이터 구축과 활용 - 감정 딥러닝 모델 구현을 통한 문학 연구의 활용 가능성 탐색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인문학연구』
- 2023.02.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한중 웹소설 플랫폼 비교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 2023.09. 「한국역사인물데이터베이스 설계 시론: 홍문록(弘文錄)을 예시로 하여」, 『한국학』
저서
- 2016.05. 『디지털 인문학 입문』(공저), HUEBOOKs : 한국외국어대학교지식출판원
- 2022.02. 『디지털 인문학과 사전』(공저), 단국대학교출판부
- 2022.03. 『AI가 내려온다 - 인공 지능 시대의 고전 문학 연구』(공저), 사이언스북스
- 2023.02. 『디지털로 읽고 데이터로 쓰다: 디지털 한국어문학의 모색』(공저), 박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