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 토머스 베델(Ernest Thomas Bethell, 1872~1909)은 1904년부터 1909년까지 대한제국에서 활동한 영국 출신의 언론인이며 신문기자이다. 한국명은 '배설(裵說)'이며, 고종황제가 지어주었다.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여 조선의 항일운동 발생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1904년 3월 10일에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런던 데일리 크로니클의 특파원 자격으로 대한제국에 왔다. 일본제국의 침략을 보도하던 베델이 데일리 크로니클을 사직하고, 1904년 7월 18일부터 양기탁과 함께 대한매일신보와 코리아 데일리 뉴스를 창간하였다. 1905년에는 코리아 데일리 뉴스의 국한문판도 발행하였다. 이 신문들은 일본인 검열관의 사전 검열을 피하고자 영국인 베델의 명의로 발행하였다.
양기탁, 신채호, 박은식 등 민족주의 운동가들은 치외법권으로 보호받던 대한매일신보에 모여 일본제국의 침략을 알리고, 을사조약이 무효라고 주장하는 등 항일사상을 고취하고 해외 여러 나라에 알리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베델을 구속 또는 추방하는 방안을 구상하던 통감부는 1907년 10월 9일 주한 영국총영사 코크번(Cockburn)에게 베델(배설)의 처벌을 요구하는 소송장을 냈다. 또 1908년 5월 27일 영국 상해고등법원 검사 윌킨슨(Wilkinson, H. P.)과 연서(連書)로써 베델(배설)을 제소하였다. 영국 총영사관에서 열린 재판에서 영국인 판사 본(F.S.A. Bourne)은 베델에게 3주간의 금고형을 선고하였다. 베델은 상하이에 호송되어 3주간 금고 생활을 마치고 1908년 7월 경성으로 돌아왔다. 베델은 대한매일신보사 사장직을 자신의 비서였던 앨프리드 W. 마넘(萬咸, Alfred W. Marnham)에게 맡기고서 물러났다. 일본제국은 세 번째 탄압 수단으로 대한매일신보사 총무 양기탁을 국채보상금을 횡령하였다는 죄명을 씌워 탄압하려 하였다. 베델은 무죄를 입증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동안 건강이 나빠져서 1909년 37세의 젊은 나이에 심장마비로 안타깝게 생을 마감하였다. 그는 죽으면서 양기탁의 손을 잡고서 "나는 죽을지라도 신보는 영생케 하여 한국 동포를 구하라"고 유언하였다. 서거 후, 양화진 외인 묘지에 안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