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장복 하상

hanyang2
김현승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11월 13일 (토) 16:01 판 (새 문서: ==Definition== 조선의 왕과 왕세자, 대한제국의 친왕이 착용하는 면복(冕服) 중 하체에 입는 옷이다. 면복 하상(下裳)은 앞에 두르는 전상(前...)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조선의 왕과 왕세자, 대한제국의 친왕이 착용하는 면복(冕服) 중 하체에 입는 옷이다. 면복 하상(下裳)은 앞에 두르는 전상(前裳)이 3폭, 뒤에 두르는 후상(後裳)이 4폭으로 합계 7폭이다. 전후 총 7폭으로 면복 하상을 만들면 폭이 지나치게 넓어 허리에 두를 수 없기 때문에 착용자의 몸에 맞게 허리 부분에 주름을 많이 잡아야 한다. 왕과 왕세자의 상에는 조(藻), 분미(粉米), 보(黼), 불(黻)을 수 놓는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칠장복_하상 Clothing 복식 쓰개 칠장복 하상(七章服 下裳) 칠장복 하상 七章服 下裳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칠장복_하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3D-칠장복_하상 칠장복_하상 hasReferenceNote
칠장복_하상 3D-칠장복_하상 isShownBy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216쪽.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재현품 이미지(앞)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216쪽.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재현품 이미지(뒤)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217쪽.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사이즈(㎝): 뒷길이 123, 화장 117, 뒤품 62, 진동 30.5, 소매너비 76, 깃너비 11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216쪽.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소매 중간 부분의 작은 단추
경운박물관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소매 중간 부분의 작은 단추(확대)
경운박물관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황제 면복 재현품 착장 사진. 소매 중간 부분의 작은 단추 위치 표시.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134쪽.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원단 색상은 겉과 안이 모두 검은색.
*원단 질감과 비침 정도는 ‘칠장복 재현품’ 과 같이 비침이 거의 없는 비단 소재로 제작.
*모델이 옷을 착장했을 때 옷의 형태는 착장 사진처럼 연출.(허리띠 제외)
①목을 많이 감싸고, ②소매는 땅에 닿을 만큼 길어야 하며, ③옷을 타이트하게 잡아당기지 않아야 한다. ④전체적으로 옷의 품이 넉넉하다.
경운박물관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바디에 착장시 깃 표현은 이 세 장의 사진을 참고.(한복 제작시 공통 부분)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대한제국 황제복식』,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2018, 34쪽.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고름(녹색 동그라미표시)을 묶었을 때, 고름의 위치 참고.
고름이 묶인 부분과 아래로 내려지는 부분의 길이와 비율을 참고하여 제작.
아래로 내려지는 끈 두 개의 길이 차이도 참고.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216쪽.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어깨와 소매에 화(火) 그림. 그림의 위치와 방향, 갯수가 ‘칠장복 상의 재현품’과 똑같이 되도록 주의.
박서림, 「갑사 구장복의 장문 복원모사 연구」, 『한국복식』 제38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7.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화(火) 재현 이미지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216쪽.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소매의 화(火) 그림 밑에 화충(華蟲) 그림. 양쪽 소매에 각 3마리씩 그려져 있다. 화충(華蟲)의 방향이 ‘칠장복 상의 재현품’과 똑같아야 한다.
"문조(익종) 어진"(유물번호 창덕6369), 『국립고궁박물관』online.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문조(익종) 어진 부분.
화충(華蟲) 그림.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cultureSeq=00017262OX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216쪽.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왼쪽 소매 하단에 ‘종이-원숭이’ 그림. 오른쪽 소매 하단에 ‘종이-호랑이’ 그림. 각 3개씩 그린다. 자료사진은 자수로 만들어진 것이다. 3D모델링에서는 다른 장식들처럼 자수가 아닌 그림으로 표현. 그리고 ‘종이-원숭이’ 자료사진은 찌그러져 보이게 되어 있다.‘종이-호랑이’ 처럼 청록색 술잔이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태 보완하여 표현.
경운박물관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경운박물관 십이장복 재현품 사진(종이-원숭이)
경운박물관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경운박물관 십이장복 재현품 사진(종이-호랑이)
"문조(익종) 어진"(유물번호 창덕6369), 『국립고궁박물관』online. 3D-칠장복_하상 references 문조(익종) 어진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면복(冕服)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146
해설 두산백과 면복(冕服)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0782
해설 위키백과 면복 https://ko.wikipedia.org/wiki/면복
해설 위키실록사전 면복(冕服)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면복(冕服)
해설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면복(冕服)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984
해설 한국복식사전 면복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30
해설 한국복식사전 팔류면칠장복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7
해설 AKS Encyves 면복 상의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면복_상의
원문 국사편찬위원회 > 조선시대 법령자료 > 국조오례의서례 왕세자면복(王世子冕服) http://db.history.go.kr/id/jlawb_230_0010_0010_0200_0020
원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 국조오례의서례 왕세자면복(王世子冕服) http://kyudb.snu.ac.kr/pf01/rendererImg.do?item_cd=POL&book_cd=GK00185_00&vol_no=0001&page_no=0241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 문화원형백과 > 문화원형 용어사전 면복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0826&docId=2017031&categoryId=50826
참고 국립고궁박물관 > 소장품 문조(익종) 어진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cultureSeq=00017262OX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국립고궁박물관 > 조사연구서 > 왕실문화도감 https://www.gogung.go.kr/publicationView.do?bbsSeq=4466
단행본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단행본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단행본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단행본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단행본 홍나영·신혜성·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단행본 李覺鍾, 『純宗實記』, 新民社, 1927.
논문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RISS http://www.riss.kr/link?id=T834144
논문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服飾』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RISS http://www.riss.kr/link?id=A102253253
논문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服飾』 7권, 한국복식학회, 1983. RISS http://www.riss.kr/link?id=A102252969
논문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RISS http://www.riss.kr/link?id=T3068080
논문 박서림, 「갑사 구장복의 장문 복원모사 연구」, 『한국복식』 제38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7. KISS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765200
논문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RISS http://www.riss.kr/link?id=T801686
논문 이은주·황진영, 「종묘대제용 면복의 십이장문 재현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제17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9231
논문 이은진, 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04706
논문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RISS http://www.riss.kr/link?id=A76042049
논문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RISS http://www.riss.kr/link?id=T9132022
논문 최규순·고부자, 「冕服 文章 연구」, 『역사민속학』 제23호, 한국역사민속학회, 200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40904
논문 최연우, 「석(舃)에 적용된 회차(繢次)와 수차(繡次)의 배색원칙」, 『복식』 제64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17878
자료집 국립고궁박물관, 『왕의 면복(冕服) 복원·복제 제작기술서 제2권 의(衣) ·중단(中單)』, 국립고궁박물관, 2011.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