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인은 익조가 적도로 피하고 덕원으로 돌아와 살 때 따르는 사람이 저잣거리 같았다고 하여 이는 어진 이에게 귀부함이라고 칭송한 악장이다. 가사의 내용은 “위대하도다! 상제시여, 백성의 안정을 구하시고자, 그윽한 지역을 돌보시고 명덕의 군주를 옮기게 하셨도다. 어진이를 잃을 수 없어 많은 사람 따르니, 따르는 사람이 저잣거리 같음은 우리 사사로움이 아니로다. 우리 사사로움이 아니라 어진이에게 귀부함이니, 어진이에게 귀부함으로, 널리 큰 터전을 여셨도다.” 하였다. 익조는 태조 이성계의 증조이며, 이름은 행리(行里)이다. 1275년(충렬왕 1)에 아버지로부터 천호 및 다루가치(達魯花赤)의 직을 세습하였다. 그가 알동(斡東)에서 세력을 다지고 있는 동안 원나라의 세조는 일본 침략을 준비하고 있었다. 이 때 원나라의 명령을 받고 본소(本所)의 군인을 선발해 원정군에 협력하였다. 이 무렵 그가 충렬왕을 알현한 기사가 『고려사』에 실려 있다. 그는 엄연히 원나라의 신하가 된 역신인데도 충렬왕은 그를 옛날의 신하로 온건하게 대하였다. 그도 충렬왕에게 고려를 배반한 죄과를 용서해 줄 것을 빌었던 것으로 나타나 있다.
알동에 살면서 안변·화주·함주에도 자주 내왕하여 활동영역을 넓혔다. 1300년에 원나라로부터 승사랑의 산계(散階)를 받은 것은 부원세력으로서 확고한 기반을 닦고 있었음을 입증한다. 그러나 아버지 안사 때와는 달리 여진인과 마찰을 빚었다. 그것은 이 때 원나라의 통치력이 약화하고 원장(元將) 산길(散吉)의 영향력이 없어졌기 때문이었다. 여진인들은 기성(崎城: 용비어천가에는 하관성(奚關城)으로 보임.)을 정찰하는 도중에 그를 제거하려 하였다. 그러나 그는 재빨리 두만강 하류의 적도(赤島)로 피해 화를 면하였다. 알동의 주민이 이 곳으로 옮겨와서 한동안 같이 살았다. 1290년(충렬왕 16) 직도(稷島)·추도(楸島)·초도(草島)의 재목으로 배 10척을 만들어 뱃길로 연고지인 의주로 옮겨와서 살다가 죽었다. 능은 지릉(智陵)으로 안변 서쪽 서곡현(瑞谷縣)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