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0-02C

hanyang2
My9univ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24일 (토) 21:29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의궤에 그려진 조선의 첫 진찬과 마지막 연회 》 대한제국의 마지막 잔치, 1902년 임인년진연

Story

대한제국의 마지막 잔치는 1902년 11월 임인년 진연으로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보령 51세 탄일과 즉위 40주년을 경축하고자 진행되었다. 1902년 11월 4일 손시(巽時 : 오전 9시)에 경운궁(현재의 덕수궁) 중화전에서 외진연, 내진연은 8일 손시에 경운궁 관명전, 같은 날 해시(亥時 : 밤 9시에서 11시) 관명전에서 야진연, 9일 손시에 관명전에서 왕세자를 위한 회작, 해시에는 관명전에서 야연이 설행되었다.

진연 모습은 《임임 진연도병(壬寅進宴圖屛)》에 생생하게 그려져 있으며, 이는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임인진연의궤(壬寅進宴儀軌)』에는 상세히 기술되어있으며, 이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규장학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정재 측면에서 조선왕조의 마지막 진찬인 임진년진찬과 비교했을 때, 무동이 공연하는 외진연(외진찬)은 18종목에서 25종목으로 크게 늘었다. 내진연(내진찬)은 비슷한 종목 수와 여령 수이나 정재 중 무고는 쌍무고 형식으로 확대 구성되었다. (임진년 진찬은 원무 4명, 협무 8명, 보고 4명. 임인년 진연은 원무 4+4, 협무 4+4, 봉고 2+2명)

또한 정재 포구락도 내진연(내진찬)에서 쌍포구락 형식을 보였다. (임진년 진찬은 죽간자 2명, 좌대 6명, 우대 6명, 봉화 1명, 봉필 1명, 봉구문 12명, 임인년 진연은 각 2명, 6+6명, 6+6명, 1+1명, 1+1명, 6+6명)

쌍무와 쌍포구락의 형태는 정조의 을묘년(1795) 『진찬의궤』에 있었던 형식을 계승한 것으로, 대한제국기에 처음 선보인 것은 아니며, 고종대 연향에서는 임인년 진연 이전에 같은 해 4월 고종의 기로소 입소를 축하하는 진연에서부터 쌍무고 및 쌍포구락 형식을 보였다.

당시 황제권에 대한 도전으로 고종은 유교적 의례를 통하여 자신의 권위를 강화하고자 했고, 정재 일부를 황제의 격에 맞게 수정하여 황제의 권위를 높이고자 했음을 파악할 수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E2022-R0-02C Story Episode 대한제국의 마지막 잔치, 1902년 임인년진연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0-02C 2022:이효림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0-02C 임인년진연 isRelatedTo
E2022-R0-02C 임인진연의궤 isRelatedTo
E2022-R0-02C 임인진연도병 isRelatedTo
E2022-R0-02C 임인년진연_공연자 isRelatedTo
E2022-R0-02C 임인년진연_정재 isRelatedTo
E2022-R0-02C 임진년진찬_공연자 isRelatedTo
E2022-R0-02C 임진년진찬_정재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