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7년(고종44) 3월 11일에 중화전에서 설행된 영친왕 관례 때의 음식 상차림과 그 종류. 영친왕 관례는 1907년 2월 27일에 표훈원 총재 민영휘(閔泳徽)를 빈(賓)으로 삼고, 중추원 찬의 김만수(金晩秀)를 찬(贊)으로 임명하면서 시작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는 '영친왕관례홀기'가 소장되어 있으며, 관례 절차는 이 홀기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장서각에는 또 영친왕관례시진어상발기(英親王冠禮時進御床件記)가 소장되어 있다. 영친왕 관례 때 고종과 그 이하의 신분에게 차려준 잔치상의 상차림을 정리해놓은 자료이다.
영친왕 관례는 음력으로 정월 27일에 행해졌다. 이때의 상차림은 고종과 동궁, 영친왕, 태자비궁, 순화궁, 경선궁, 군부인 그리고 내빈과 대신, 기로소당상, 고사상(告祀床), 친칙임관 및 그 이하의 신분에게 모두 제공되었다. 아울러서 경효전(명성황후 혼전)과 의효전(순명효황후 혼전)에는 별다례가 행해졌으며, 여기에 올려진 음식 그릇수와 고임의 높이도 기록되어 있다.
고종의 음식상인 어상(御床)은 42기이며, 찬품은 열구자탕 등이 열거되어 있다. 고임의 높이는 1자1치이다. 이 음식상 위에는 상화(床花)가 놓이는데, 대수파련(大水波蓮) 등 8종이다. 음식 가지수는 동궁과 영친왕이 어상과 같고, 태자비궁이 32기 9치이고, 그 이하 신분에게는 차례로 음식 가지수와 고임 높이를 줄여갔다. 또 이 자리 참석자의 관직명과 인원수가 기재되어 있는데, 경무청 경무사 이상의 고위 관원들이다. 궁중 잔치에는 궁궐에서 근무하거나 생활하는 모든 사람들에게도 잔치음식을 나눠 먹었다. 여기에도 내인(內人)에게 차려준 왜반지(倭盤只) 2백 좌부터 교태전 동산지기 왜반지 하나까지 겸상이나 면(糆) 등이 제공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