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타 카나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finition)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이와타 카나에(岩田 鼎). 일본 후쿠이(福井)현 출신으로 1898년 12월 조선에 와서 일제강점기까지 사진관을 운영하였다. 1907년 일본 황태자 방문 무렵에 『[[경성신보|경성신보(京城新報)]]』에 “동궁전하어도한기념사진판(東宮殿下御渡韓紀念寫眞板) 콜로타입 사진첩”에 대한 예약 출판 광고를 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사진첩의 인쇄 출판을 이와타 사진관이 맡아했던 것을 알 수 있다.</br> | 이와타 카나에(岩田 鼎). 일본 후쿠이(福井)현 출신으로 1898년 12월 조선에 와서 일제강점기까지 사진관을 운영하였다. 1907년 일본 황태자 방문 무렵에 『[[경성신보|경성신보(京城新報)]]』에 “동궁전하어도한기념사진판(東宮殿下御渡韓紀念寫眞板) 콜로타입 사진첩”에 대한 예약 출판 광고를 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사진첩의 인쇄 출판을 이와타 사진관이 맡아했던 것을 알 수 있다.</br> | ||
1909년 4월 5일 [[순종_친경_사진|순종 친경식(親耕式)을 기록한 사진]]첩(한미사진미술관 소장)과 함께 [[조선 순종|순종]], [[순정황후|순정효황후]] 공식초상사진과 [[조선 고종|고종태황제]]의 초상사진을 제작하였다. 이와타의 황실초상들은 스튜디오에서 정식으로 촬영되었다. [[조선 순종|순종황제]]의 초상사진은 공식적인 사진으로는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이와타가 언제 이 사진을 촬영했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1910년 6월 『[[대한매일신보]]』 에 태황제폐하와 황후폐하가 6월 18일 어사진을 한 벌씩 궁내부 일본인고등관에게 하사하셨다는 기록이 있고, 같은 장소에서 촬영한 황후의 사진이 같이 배포되었던 것으로 보아 촬영시기는 1910년 6월 이전으로 보인다.</br> | 1909년 4월 5일 [[순종_친경_사진|순종 친경식(親耕式)을 기록한 사진]]첩(한미사진미술관 소장)과 함께 [[조선 순종|순종]], [[순정황후|순정효황후]] 공식초상사진과 [[조선 고종|고종태황제]]의 초상사진을 제작하였다. 이와타의 황실초상들은 스튜디오에서 정식으로 촬영되었다. [[조선 순종|순종황제]]의 초상사진은 공식적인 사진으로는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이와타가 언제 이 사진을 촬영했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1910년 6월 『[[대한매일신보]]』 에 태황제폐하와 황후폐하가 6월 18일 어사진을 한 벌씩 궁내부 일본인고등관에게 하사하셨다는 기록이 있고, 같은 장소에서 촬영한 황후의 사진이 같이 배포되었던 것으로 보아 촬영시기는 1910년 6월 이전으로 보인다.</br> | ||
− | [[조선 순종|순종]]의 이 [[순종 초상 사진|초상사진]]은 도상 면에서도 일본 메이지천황의 것과 닮았을 뿐 아니라 그 배포방식에서도 일본의 예를 따랐다. 당시 [[이토 히로부미]]는 1907년 8월 [[조선 순종|순종]]의 즉위식에서 황룡포를 입은 [[조선 순종|순종]]이 다시 서양식 대원수복에 단발한 모습으로 나타나 일본에 의해 문명화될 [[대한제국]]을 보여주는 것처럼 만들었다. 이후 순종의 순행, 친경식을 비롯한 각종 행차가 조선의 전통과는 달리 이례적으로 많이 행해졌다. 말을 타고 서양식 머리와 옷차림을 한 순종황제를 한국의 국민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충군정신을 이끌어내어 당시의 정치적 불안과 저항을 타개하려는 이토의 정치적 전략이었다.</br> | + | [[조선 순종|순종]]의 이 [[순종 초상 사진|초상사진]]은 도상 면에서도 일본 메이지천황의 것과 닮았을 뿐 아니라 그 배포방식에서도 일본의 예를 따랐다. 당시 [[이토 히로부미]]는 1907년 8월 [[조선 순종|순종]]의 즉위식에서 황룡포를 입은 [[조선 순종|순종]]이 다시 서양식 대원수복에 단발한 모습으로 나타나 일본에 의해 문명화될 [[대한제국]]을 보여주는 것처럼 만들었다. 이후 <u>순종의 순행, 친경식을 비롯한 각종 행차가 조선의 전통과는 달리 이례적으로 많이 행해졌다. 말을 타고 서양식 머리와 옷차림을 한 순종황제를 한국의 국민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충군정신을 이끌어내어 당시의 정치적 불안과 저항을 타개하려는 이토의 정치적 전략이었다.</u></br> |
이와타 사진관은 1909년 10월 26일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안중근]]의 초상사진 엽서를 인쇄해서 대중들에게 팔다가 치안방해죄로 걸렸다. 이 사건은 한국 내의 사진시장의 수요에 발 빠르게 대처했던 일본인 사진사들의 상업적 일면을 보여준다. 일제강점기로 들어가면서 이와타 역시 황실과 관련된 사진 활동보다는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에 사진을 출품하여 수상하고 1922년 [[조선사진협회]] 공모전 <예술사진전람회>의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예술사진경향을 이끄는 역할도 담당하면서 대표적인 재한일본인사진사로서의 지위를 굳혀갔다.<ref>권행가, 「근대적 시각체제의 형성과정」, 『한국근현대미술사학』26,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3, 217-219쪽.</ref> | 이와타 사진관은 1909년 10월 26일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안중근]]의 초상사진 엽서를 인쇄해서 대중들에게 팔다가 치안방해죄로 걸렸다. 이 사건은 한국 내의 사진시장의 수요에 발 빠르게 대처했던 일본인 사진사들의 상업적 일면을 보여준다. 일제강점기로 들어가면서 이와타 역시 황실과 관련된 사진 활동보다는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에 사진을 출품하여 수상하고 1922년 [[조선사진협회]] 공모전 <예술사진전람회>의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예술사진경향을 이끄는 역할도 담당하면서 대표적인 재한일본인사진사로서의 지위를 굳혀갔다.<ref>권행가, 「근대적 시각체제의 형성과정」, 『한국근현대미술사학』26,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3, 217-219쪽.</ref> | ||
2021년 7월 19일 (월) 20:52 판
목차
Definition
【1870(고종 7) ~ ?】. 명성황후(明成皇后). 조선 26대 왕이자 대한제국 황제인 고종의 비. 본관 여흥. 아버지는 민치록(閔致祿), 어머니는 한창부부인 이씨이다. 1866년(고종 3) 흥선대원군과 부대부인 민씨에 의해 왕비로 간택되었다. 시아버지 흥선대원군과 정치적 입장이 달라 임오군란 때 궁중을 탈출했다가 돌아온 적이 있고 갑신정변이 무위에 그치는 데 일조를 했다[1]는 평가가 있다. 19세기 말 내외의 격동 속에서 고종과 함께 국정을 주도하고자 했으나 1895년 일본군에 의해 경복궁에서 시해되었다. 1897년(광무 1) 명성이라는 시호가 부여되었고, 고종의 황제 즉위와 대한제국 선포 직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고종과 함께 경기도 남양주 금곡의 홍릉에 합장되어 있다.
이와타 카나에(岩田 鼎). 일본 후쿠이(福井)현 출신으로 1898년 12월 조선에 와서 일제강점기까지 사진관을 운영하였다. 1907년 일본 황태자 방문 무렵에 『경성신보(京城新報)』에 “동궁전하어도한기념사진판(東宮殿下御渡韓紀念寫眞板) 콜로타입 사진첩”에 대한 예약 출판 광고를 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사진첩의 인쇄 출판을 이와타 사진관이 맡아했던 것을 알 수 있다.
1909년 4월 5일 순종 친경식(親耕式)을 기록한 사진첩(한미사진미술관 소장)과 함께 순종, 순정효황후 공식초상사진과 고종태황제의 초상사진을 제작하였다. 이와타의 황실초상들은 스튜디오에서 정식으로 촬영되었다. 순종황제의 초상사진은 공식적인 사진으로는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이와타가 언제 이 사진을 촬영했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1910년 6월 『대한매일신보』 에 태황제폐하와 황후폐하가 6월 18일 어사진을 한 벌씩 궁내부 일본인고등관에게 하사하셨다는 기록이 있고, 같은 장소에서 촬영한 황후의 사진이 같이 배포되었던 것으로 보아 촬영시기는 1910년 6월 이전으로 보인다.
순종의 이 초상사진은 도상 면에서도 일본 메이지천황의 것과 닮았을 뿐 아니라 그 배포방식에서도 일본의 예를 따랐다. 당시 이토 히로부미는 1907년 8월 순종의 즉위식에서 황룡포를 입은 순종이 다시 서양식 대원수복에 단발한 모습으로 나타나 일본에 의해 문명화될 대한제국을 보여주는 것처럼 만들었다. 이후 순종의 순행, 친경식을 비롯한 각종 행차가 조선의 전통과는 달리 이례적으로 많이 행해졌다. 말을 타고 서양식 머리와 옷차림을 한 순종황제를 한국의 국민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충군정신을 이끌어내어 당시의 정치적 불안과 저항을 타개하려는 이토의 정치적 전략이었다.
이와타 사진관은 1909년 10월 26일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안중근의 초상사진 엽서를 인쇄해서 대중들에게 팔다가 치안방해죄로 걸렸다. 이 사건은 한국 내의 사진시장의 수요에 발 빠르게 대처했던 일본인 사진사들의 상업적 일면을 보여준다. 일제강점기로 들어가면서 이와타 역시 황실과 관련된 사진 활동보다는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에 사진을 출품하여 수상하고 1922년 조선사진협회 공모전 <예술사진전람회>의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예술사진경향을 이끄는 역할도 담당하면서 대표적인 재한일본인사진사로서의 지위를 굳혀갔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이와타_카나에 | Actor | 인물 | 이와타 카나에(岩田鼎 1870~?) | 이와타 카나에 | 岩田鼎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이와타_카나에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순종_친경_사진 | 이와타_카나에 | creator | 순종의 친경의식 사진을 찍은 일본인 사진작가. 대한제국 통감부시기 황실사진사로 활동 | |
민치록 | 명성황후 | hasDaughter | 부-녀 | |
한창부부인_이씨 | 명성황후 | hasDaughter | 모-녀 | |
고종황제 | 명성황후 | hasWife | ||
명성황후 | 로즈_푸트 | isMentionedBy | 초대 미국 공사 루시어스 푸트(Lucius Foote, 재임: 1883~1885)의 부인. | |
명성황후 | 이사벨라_비숍 | isMentionedBy |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Korea and her Neighbours (1897) 저자. | |
명성황후 | 릴리어스_언더우드 | isMentionedBy | 선교사 언더우드 목사(Horace Underwood, 1885년 입국)의 부인. | |
명성황후 | 애니_벙커 | isMentionedBy | 선교사 벙커 목사(Dalzell Bunker, 1886년 입국)의 부인, 명성황후의 시의(侍醫) Annie Ellers Bunker. 1860~1938. | |
명성황후 | 앙트와네트_손탁 | knows | 손탁 호텔의 설립자, 지배인. 초대 러시아 공사 베베르(Carl Waeber, 재임: 1841~1910)의 처형. | |
명성황후 | 을미사변 | isVictimOf | 1985.10.08 | |
명성황후 | 영휘원 | isRelatedTo | 청량리 홍릉. 을미사변 후 명성황후가 처음 묻혔던 곳. | |
명성황후 | 홍릉_洪陵 | isTombOf |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능 | |
명성황후 | 뮤지컬_명성황후 | isDepicedIn | 명성황후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한 창작 뮤지컬. 김희갑 작곡, 양인자 작사. 1995년 초연.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명성황후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297 | |
해설 | 위키백과 | 명성황후 | https://ko.wikipedia.org/wiki/명성황후 | |
해설 | 두산백과 | 명성황후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3683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문화원형백과 > e조선궁중여성 | 명성황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770841&cid=49236&categoryId=49236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네이버캐스트 > 인물한국사 | 명성황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1412&cid=59015&categoryId=59015 | |
참고 | 국가문화유산포털 | 명성황후생가(明成皇后生家)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100460000 | |
참고 |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민속신앙사전 | 인왕산국사당(仁王山國師堂)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2674 | |
원문 | 디지털 장서각 | 명성황후홍릉비(明成皇后洪陵碑) | http://jsg.aks.ac.kr/dir/view?dataId=ROY_G002%2BJSK%2BKSM-WH.1897.4136-20160515.25316 | |
그림 | 서울신문 | 권오창 화백의 명성황후 영정 |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8/14/SSI_20170814154630_O2.jpg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 명성황후(明成皇后),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권행가, 「근대적 시각체제의 형성과정」, 『한국근현대미술사학』26,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3, 217-219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