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10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배재학당_출신들의_같은_ 듯_다른_인생_행로'''= ==Story== H.G.아펜젤러는 1885년 6월 21일에 두번 째로 입국하여 7월 19일 서울로 들어왔다....)
 
(배재학당_출신들의_같은_ 듯_다른_인생_행로)
1번째 줄: 1번째 줄:
='''배재학당_출신들의_같은_ 듯_다른_인생_행로'''=
+
='''시사 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Story==  
 
==Story==  
  
H.G.아펜젤러는 1885년 6월 21일에 두번 째로 입국하여 7월 19일 서울로 들어왔다. 그는  1개월 먼저 와 있던 의사  W.B.스크랜턴의 집을 사서 방 두 칸의 벽을 허물어 교실 1칸을 만들었다. 그리고 8월 3일에 이겸라와 조종필 두 학생을 얻어 수업을 시작하였다.<ref>[https://primoapac01.hosted.exlibrisgroup.com/permalink/f/enmgnl/TN_cdi_nurimedia_primary_NODE02190277 류방란. 「개화기 배재학당의 교육과정 운영」, 『교육사학연구』 8, 1998.]</ref><br/> 폴크 공사는 고종에게 아펜젤러가 두 학생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있고 또 앞으로 여러 학생들을 교육할 뜻이 있다고 아뢰었다. 이에 고종은 1886년 6월 영재를 배양한다는 뜻인‘배재학당(培材學堂)’을 액(額)으로 써 주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191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배재학당]</ref><br/> 그해 10월 학생 수는 20명으로 늘었다. 영어를 배워 출세 하려는 학생이 몰려들었다. 아펜젤러는“통역관을 양성하거나 우리 학교의 일꾼을 가르치려는 것이 아니라, 자유의 교육을 받은 사람을 내보내려는 것이다”라고 설립 목적을 분명히 밝혀 경계하였다.<ref>[http://www.media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239 장석호, 미디어인천신문, [역사속의 오늘 - 8월 3일] 한국 최초의 근대사학 '배재학당' 설립  ]</ref><br/> 배재학당을 거쳐 나온 학생들은 과연 어떤 삶을 살았을까. 많은 졸업생 중에서 대표적인 인물로 이승만, 주시경, 김소월, 여운형, 지청천, 오긍선, 홍석후, 이길용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은 독립운동가, 정치가, 한글학자, 군인, 의사, 기자, 시인 등 다양한 사회 영역에서 뚜렷한 개성을 보여주는 인재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였던 것은 배재학당이 단순한 직업 학교나 통역관 양성 학교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
1909년 6월 2일, 서울의 항일사회단체 대한협회(대한자강회의 후신)는 기관지로 국한문 일간지 『대한민보』를 창간하였다. <ref>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03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한민보.]</ref><br/> 이도영은
그런데 그들의 인생 행로에는 한 가지 유사점이 있다. 이들이 배재학당에 입학하기 전 어린 시절부터 이미 유학(儒學) 공부에 진력하였던 시기가 있었다는 점이다. 한문 공부로 다져진 이른바 유교적 교양이 바탕이 되었다. 이승만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그는 이 학교에 입학함으로써 영어 공부에 특별한 재능을 발휘하거나 미국으로 유학할 기회를 비교적 쉽게 얻었다. 그리고 배재학당에 들어온 인연으로 대개는 정동교회에 나가서 협성회에서 활동하여 후일 기독교에 입교한다. 그리고 협성회에 강사로 나왔던 서재필은 학생들에게 독립협회,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끝내는 신민회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는 학생들에게 미국 유학을 적극 권유하였다고 한다. 이와 같이 출신들에게는 유학, 신학문, 기독교, 교회, 영어, 미국유학, 선교사 등의 항목들이 서로 꼬리를 물고 있다. 1915년~1925년 사이에 배재를 나와 의사가 된 사람은 30명이 넘는다. 이들은 반일 감정 때문에 관립인 경성의전에 진학하는 것을 기피하고 세브란스 의전으로 모여들었다고 한다.<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1459255, 중앙일보, (1900)제54화 배재학당(56)-고종황제가 1886년 하사한 현판의 글씨|<제자·윤성열>윤성열|배재출신 의사, 1997. 04. 11.]</ref><br/>  
+
  이 신문의 창간호뷰토 삽화를 실었다.<ref>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mage&sm=tab_niv&query=%EB%8C%80%ED%95%9C%EB%AF%BC%EB%B3%B4&nso=so%3Ar%2Ca%3Aall%2Cp%3Aall# 이도영 삽화(일).] </ref><br/> 우리나라 최초의 만화로 평가 받는다. 편집 형태가 매우 파격적이어서 1면 중앙에 실려있다. <ref> [편집 형태의 예시로 1909년 7월 1일자를 거론하면 이러하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9330&docId=1775862&categoryId=49330 네이버 지식백과>문화원형백과, 대한민보 1909년 7월 1일자 1쪽]</ref><br/> 그 내용을 보면 친일파 고발이나 규탄, 항일 구국정신의 고취 또는 계몽, 망국적 사회현상의 고발, 국력개발의 선동 등이다. 고희동은 회고담에 오세창이 발행한 대한민보의 만화에 대해 이런 증언을 하고 있다.<ref> [고희동, 「위창 오세창 선생」, 『신천지』7월호, 1954년 ]</ref><br/>  “(선생은) 일본에서 귀국하시어 『만세보』란 신문을 발행하고, 그 후에 『대한민보』를 주관하시었다. 이 신문에는 1면에 풍자적이고 조롱적인 만화를 연일 게재하여 일반의 흥미를 끌었었다. 이것이 또한 신문에 만화로써 처음이었다. 내가 생각나는 바를 들어 말하자면, 미련한 놈이 도끼로 나무를 찍다가 (도끼자루가) 빠져서 제 등에 떨어져서 (저 자신이) 상한 것을 그렸다. 그리하고 제목을 달기를, ‘이미완용(爾迷頑庸/ 任爾頑傭의 기억 착오) 자부상피(自斧傷皮)’,-이 뜻은 그 당시 ‘매국총리 이완용(李完用)이 자부(子婦)를 생피(相避의 방언=근친상간) 붙었다’는 소문이 빈다했을 때였다(그 자자한 소문을 주제 삼은 것이었다). 이러한 그림은 관재(貫齋) 이도영 씨가 그렸고, 이 어른(오세창)이 그러한 은어와 반어(反語)의 어구를 만들어 쓰시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6702&docId=1567013&categoryId=46739 네이버 지식백과>미술백과>이완용의 자부상]</ref><br/>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Node Description===
24번째 줄: 25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E0-102]] || [[   ]]  || [[isRelatedTo]]  ||  ||
+
| [[E0-102]] || [[이도영]]  || [[isRelatedTo]]  ||  ||
 
|-
 
|-
| [[E0-102]] || [[ ]]  || [[isRelatedTo]]  ||  ||
+
| [[E0-102]] || [[대한협회]]  || [[isRelatedTo]]  ||  ||
 
|-
 
|-
| [[E0-102]] || [[ ]]  || [[isRelatedTo]]  ||  ||
+
| [[E0-102]] || [[대한민보]]  || [[isRelatedTo]]  ||  ||
 
|-
 
|-
| [[E0-102]] || [[ ]]  || [[isRelatedTo]]  ||  ||
+
| [[E0-102]] || [[오세창]]  || [[isRelatedTo]]  ||  ||
 
|-
 
|-
| [[E0-102]] || [[ ]]  || [[isRelatedTo]]  ||  ||
+
| [[E0-102]] || [[이완용]]  || [[isRelatedTo]]  ||  ||
 
|-
 
|-
| [[E0-102]] || [[  ]]  || [[isRelatedTo]]  ||  ||
 
|-
 
| [[E0-102]] || [[  ]]  || [[isRelatedTo]]  ||  ||
 
|-
 
| [[E0-102]] || [[  ]]  || [[isRelatedTo]]  ||  ||
 
|-
 
| [[E0-102]] || [[  ]]  || [[isRelatedTo]]  ||  ||
 
|-
 
| [[E0-102]] || [[  ]]  || [[isRelatedTo]]  ||  ||
 
 
|}
 
|}
  
53번째 줄: 45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배재학당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1918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도영<1>||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026
 
|-
 
|-
| 해설 || 나무위키 || 배재학당 ||  || https://namu.wiki/배재학당
+
| 해설 || 위키백과 || 이도영 ||  || https://ko.wikipedia.org/wiki/이도영_(화가)
 
|-
 
|-
| 해설 || 두산백과 || 배재핟당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1575
+
| 해설 || 두산백과 || 이도영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86436
 
|-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시사상식사전 || 배재학당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667&docId=934008&categoryId=43667
+
| 참고 || KBS WORLD RADIO, 2012-11-08 || 한국최조의 만화가 이도영 ||  || http://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board_seq=60958#none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배재학당역사박물관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9863
+
| 참고 || 네이버지식백과>네이버캐스트>한국만화정전 || 삽화, 이도영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9065&docId=3575264&categoryId=59073
|-
 
| 참고 || 한국콘텐츠진흥원>문화콘텐츠닷컴>구한말정동이야기 || 배재학당 ||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71001930001
 
 
|-
 
|-
 
|}
 
|}
73번째 줄: 63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논문 || 박지훈. 「대한협회의 『대한민보』(1909~1910) 발간과 시사만화 연재의 성격」, 『역사민속학』 44,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65413
 +
|-
 +
| 논문 || 이구열. 「신문에 항일·구국 시사만화를 그린 이도영」, 『미술세계』 231, 2004. ||  || https://blog.naver.com/hslee1943/120006805320
 
|-
 
|-
 
|}
 
|}
78번째 줄: 73번째 줄: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Notes==
 
==Notes==

2021년 9월 16일 (목) 00:45 판

시사 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Story

1909년 6월 2일, 서울의 항일사회단체 대한협회(대한자강회의 후신)는 기관지로 국한문 일간지 『대한민보』를 창간하였다. [1]
이도영은

이 신문의 창간호뷰토 삽화를 실었다.[2]
우리나라 최초의 만화로 평가 받는다. 편집 형태가 매우 파격적이어서 1면 중앙에 실려있다. [3]
그 내용을 보면 친일파 고발이나 규탄, 항일 구국정신의 고취 또는 계몽, 망국적 사회현상의 고발, 국력개발의 선동 등이다. 고희동은 회고담에 오세창이 발행한 대한민보의 만화에 대해 이런 증언을 하고 있다.[4]
“(선생은) 일본에서 귀국하시어 『만세보』란 신문을 발행하고, 그 후에 『대한민보』를 주관하시었다. 이 신문에는 1면에 풍자적이고 조롱적인 만화를 연일 게재하여 일반의 흥미를 끌었었다. 이것이 또한 신문에 만화로써 처음이었다. 내가 생각나는 바를 들어 말하자면, 미련한 놈이 도끼로 나무를 찍다가 (도끼자루가) 빠져서 제 등에 떨어져서 (저 자신이) 상한 것을 그렸다. 그리하고 제목을 달기를, ‘이미완용(爾迷頑庸/ 任爾頑傭의 기억 착오) 자부상피(自斧傷皮)’,-이 뜻은 그 당시 ‘매국총리 이완용(李完用)이 자부(子婦)를 생피(相避의 방언=근친상간) 붙었다’는 소문이 빈다했을 때였다(그 자자한 소문을 주제 삼은 것이었다). 이러한 그림은 관재(貫齋) 이도영 씨가 그렸고, 이 어른(오세창)이 그러한 은어와 반어(反語)의 어구를 만들어 쓰시었다."[5]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E0-102 Story 에피소드 시사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시사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시사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0-102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0-102 이도영 isRelatedTo
E0-102 대한협회 isRelatedTo
E0-102 대한민보 isRelatedTo
E0-102 오세창 isRelatedTo
E0-102 이완용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도영<1>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026
해설 위키백과 이도영 https://ko.wikipedia.org/wiki/이도영_(화가)
해설 두산백과 이도영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86436
참고 KBS WORLD RADIO, 2012-11-08 한국최조의 만화가 이도영 http://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board_seq=60958#none
참고 네이버지식백과>네이버캐스트>한국만화정전 삽화, 이도영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9065&docId=3575264&categoryId=59073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박지훈. 「대한협회의 『대한민보』(1909~1910) 발간과 시사만화 연재의 성격」, 『역사민속학』 44,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65413
논문 이구열. 「신문에 항일·구국 시사만화를 그린 이도영」, 『미술세계』 231, 2004. https://blog.naver.com/hslee1943/120006805320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한민보.
  2. 이도영 삽화(일).
  3. [편집 형태의 예시로 1909년 7월 1일자를 거론하면 이러하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9330&docId=1775862&categoryId=49330 네이버 지식백과>문화원형백과, 대한민보 1909년 7월 1일자 1쪽]
  4. [고희동, 「위창 오세창 선생」, 『신천지』7월호, 1954년 ]
  5. 네이버 지식백과>미술백과>이완용의 자부상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