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bliography) |
(→Web Resource) |
||
51번째 줄: | 51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용비어천가 ||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9509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다음백과 || 용비어천가 ||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6a2957b |
+ | |- | ||
+ | | 참고 || 위키백과 || 용비어천가 || || https://ko.wikipedia.org/wiki/용비어천가 | ||
+ | |- | ||
+ | | 참고 || 연합뉴스 2022.10.03. || 김해한글박물관, 한글날 맞아 '용비어천가' 원본 전시 || || https://www.yna.co.kr/view/AKR20220930042200052?input=1179m | ||
|- | |- | ||
|} | |} |
2022년 12월 11일 (일) 15:40 판
목차
Definition
조선왕조 창업의 위대함을 찬양하는 서사시.
세종이 정인지·권제·안지를 시켜 짓게 했으며 1445년에 완성되었다. 용비어천가는 해동 육룡이 하늘로 올라갔다는 뜻으로서, 주역의 건괘 설명에 나타난 상징을 바탕으로 뜻을 마음껏 펼쳐 임금의 자리에 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동 육룡은 목조(穆祖)·익조(翼祖)·도조(度祖)·환조(桓祖)·태조·태종이다. 목조부터 환조까지는 태조 이성계의 선조이다. 여진족이 사는 곳까지 밀려갔던 가문이 오랫동안 기반을 다져 마침내 왕조를 창건했음을 자랑하고, 선조들을 높이고자 하여 6대에 걸친 내력을 노래했다. 현재 전하는 것은 목판본이다. 총 125장이며 서사·본사·결사로 구성되어 있다. 서사(1~16장)에서는 조선 왕조 창업의 당위성을 제시했고, 본사(17~109장)에서는 조선 왕조 창업의 당위성을 구체적 이야기로 실증했으며, 결사(110~125장)에서는 왕업의 영원한 지속을 기리기 위해 후대왕에게 규계 사항을 열거했다. 내용은 우리말 노래, 같은 내용의 한시, 자세한 주해로 이루어져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용비어천가 | Record | 문헌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용비어천가 | 龍飛御天歌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용비어천가 | 2022:임민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용비어천가 | 세종 | isRelatedTo | ||
용비어천가 | 정인지 | isRelatedTo | ||
용비어천가 | 권제 | isRelatedTo | ||
용비어천가 | 안지 | isRelatedTo | ||
용비어천가 | 목조 | isRelatedTo | ||
용비어천가 | 익조 | isRelatedTo | ||
용비어천가 | 도조 | isRelatedTo | ||
용비어천가 | 환조 | isRelatedTo | ||
용비어천가 | 태조 | isRelatedTo | ||
용비어천가 | 태종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용비어천가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9509 | |
참고 | 다음백과 | 용비어천가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6a2957b | |
참고 | 위키백과 | 용비어천가 | https://ko.wikipedia.org/wiki/용비어천가 | |
참고 | 연합뉴스 2022.10.03. | 김해한글박물관, 한글날 맞아 '용비어천가' 원본 전시 | https://www.yna.co.kr/view/AKR20220930042200052?input=1179m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SBN: | 단행본 | 박창희, 『역주 용비어천가 상, 하』,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 |||
논문 | 정다함, 「“뿌리 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이라는 계보 - 『龍飛御天歌』에 담긴 역성혁명 서사와 태종 이방원의 역할」, 『韓國史學報』 69, 고려사학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88331 | ||
논문 | 이왕무,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재발견과 왕업(王業)의 재구성」, 『포은학연구』 15, 포은학회,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08201 | ||
논문 | 정다함, 「『龍飛御天歌』에 나타난 易姓革命의 구체적 서사와 그 함의」, 『조선시대사학보』 72, 조선시대사학회,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82177 | ||
논문 | 정구복, 「『龍飛御天歌』에 나타난 역사의식」, 『한국사학사학보』 1, 한국사학사학회, 200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51385 | ||
논문 | 심재석, 「龍飛御天歌에 보이는 高麗末 李成桂家」, 『외대사학』 4, 외국어대 사학연구소, 1992. | ||||
논문 | 정두희, 「朝鮮建國史 資料로서의 「龍飛御天歌」」, 『진단학보』 68, 진단학회, 1989.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