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3-05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tory) |
(→Story)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파일:귀호곡.png| 490px| | + | [[파일:귀호곡.png| 490px|left |시용향악보의 귀호곡(가시리)]] |
|} | |} | ||
2022년 11월 4일 (금) 03:54 판
목차
S2022-R3-05: 세종 - 종묘제례악의 작곡자 》 세종실록악보와 세조실록악보의 보태평
Story
初, 上以《龍飛御天歌》被管絃, 調其縵急。 作《致和平》、《醉豐亨》、《與民樂》等樂, 皆有譜, 《致和平譜》五卷, 《醉豊亨》、《興民樂譜〔與民樂譜〕 》各二卷。 後又作文武二舞, 文曰《保太平》, 武曰《定大業》, 譜各一卷。 又取瑞應, 別作一舞, 號《發祥》, 有譜一卷。 又定俗樂, 以《桓桓曲》、《亹亹曲》、《維皇曲》、《維天曲》、《靖東方曲》、《獻天壽》、《折花》、《萬葉熾瑤圖》, 《唯子〔嗺子〕 》、《小抛毬樂》、《步虛子》 《破子》、《淸平樂》、《五雲開瑞朝》、《衆仙會》、《白鶴子》、《班賀舞》、《水龍吟》、《無㝵》、《動動》、《井邑》、《眞勺》、《履霜曲》、《鳳凰吟》、《滿殿春》等曲, 爲時用俗樂, 有譜一卷。
처음에 임금이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관현(管絃)에 올려 느리고 빠름을 조절(調節)하여 치화평(致和平)·취풍형(醉豐亨)·여민락(與民樂) 등 음악을 제작하매, 모두 악보(樂譜)가 있으니, 치화평(致和平)의 악보는 5권이고, 취풍형(醉豐亨)과 여민락(與民樂)의 악보는 각각 2권씩이었다. 뒤에 또 문·무(文武) 두 가지 춤곡조를 제작하였는데, 문(文)은 ‘보태평(保太平)’ 이라 하고 무(武)는 ‘정대업(定大業)’ 이라 하여 악보가 각각 1권씩이고, 또 상서(祥瑞)의 감응된 바를 취재(取才)하여 따로 한 가지 곡조를 지었는데, 이름을 ‘발상(發祥)’ 이라 하여, 악보 1권이 있었다. 또 속악(俗樂)을 정하여 환환곡(桓桓曲)·미미곡(亹亹曲)·유황곡(維皇曲)·유천곡(維天曲)·정동방곡(靖東方曲)·헌천수(獻天壽)·절화(折花)·만엽치요도(萬葉熾瑤圖)·최자(嗺子)·소포구락(小抛毬樂)·보허자(步虛子)·파자(破子)·청평락(淸平樂)·오운개서조(五雲開瑞朝)·중선회(衆仙會)·백학자(白鶴子)·반하무(班賀舞)·수룡음(水龍吟)·무애(無㝵)·동동(動動)·정읍(井邑)·진작(眞勺)·이상곡(履霜曲)·봉황음(鳳凰吟)·만전춘(滿殿春) 등 곡조로써 평시에 쓰는 속악(俗樂)을 삼았는데, 악보 1권이 있다. [1]
세종 당시에 보태평 정대업은 연향음악으로 지어졌다. 세조때에 세종때에 지어진 신악(新樂)을 다듬어서 제례악을 삼게 되었다. 그 과정은 다음의 실록 내용에서 보여진다.
上以世宗所制定大業、保太平樂舞、歌詞句數多。 凡祭數刻之間, 難以盡奏, 故師其意而略制之, 幷定郊天樂舞。 旣隷舞樂而無進饌、徹邊豆、送神之樂, 崔恒等請之, 上又制之, 命恒制其詞。 宗廟迎神, 熙文之曲: ~~
임금이 세종(世宗)이 지은 정대업(定大業) ·보태평(保太平) 의 악무(樂舞) 의 가사(歌詞) 자귀(字句) 숫자가 많아서 모든 제사를 지내는 몇 사람 사이에 다 연주(演奏)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그 뜻만 따라서 간략하게 짓고, 교천(郊天) 의 악무(樂舞)도 아울러 정(定)하였다. 이미 악무(樂舞)가 있었으나, 진찬(進饌)하거나 변(邊)·두(豆)를 거두거나 송신(送神)하는 악(樂)이 없었으므로, 최항(崔恒) 등이 청하니, 임금이 또 이를 지어서 최항에게 명하여 그 가사를 짓게 하였다. 종묘(宗廟)에 영신(迎神)하는 ‘희문(熙文)의 곡(曲)’은 이러하였다.~~[2]
그런데 조선 성종에서 중종년간 사이에 편찬되었다고 추정되는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수록된 고려가요 몇몇의 곡들이 보태평 정대업의 선율과 유사한점이 발견되어 세종때에 신악이 지어질때에 향악과 고취악이 수용되었다는 실록의 기사가 다시 재조명되었다. 물론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고려가요가 고려시대나 조선 초와 동일한 곡이라는 보장은 없다. 그러나 이들 곡들의 선율과 장단 등의 비교로 그 DNA를 찾아보는 것은 흥미로운 주제가 되었다.
시용향악보 | 보태평_세종 | 보태평_세조 | |
---|---|---|---|
희문 | 희문_세조 | ||
계우 | 기명 | ||
의인 | 귀인 | ||
귀호곡 | 형광 | 형가 | |
야심사 | 보예 | 집녕 | |
풍입송 | 융화 | 융화_세조 | |
승강 | 현미 | ||
사모곡 | 창휘 | 용광 | |
쌍화곡 | 정명 | 정명_세조 | |
대동 | 대유 | ||
역성 | 역성_세조 |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E2022-R3-05B | Story | Episode | 세종실록악보와 세조실록악보의 보태평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3-05B |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 [세종실록 116권, 세종 29년(1447) 6월 5일 (을축): 용비어천가, 여민락, 치화평, 취풍형 등을 공사간 연향에 모두 통용케 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da_12906005_001]
- ↑ [세조실록 31권, 세조 9년(1463) 12월 11일(을미) 최항에게 진찬하거나 변·두를 거두거나 송신하는 악의 가사를 짓게 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ga_10912011_002]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