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구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 ~ 】. 환구단(圜丘壇).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천자가 하늘에 제를 올리는 제단. 환구단은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를 드리는 둥근 단으로 된 제천단(祭天壇)인데, 예로부터 ‘천원지방(天圓地方)’이라 하여 하늘에 제를 지내는 단은 둥글게, 땅에 제사 지내는 단은 모나게 쌓았다.국왕이 정결한 곳에 제천단을 쌓고 기원과 감사의 제를 드리는 것은 농경문화의 형성과 더불어 일찍부터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983년(고려, 성종 2) 정월에 왕이 환구단에 풍년기원제(豊年祈願祭)를 드렸다는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으로 보아, 이미 이전부터 이러한 의식이 행하였다고 추측된다.이러한 제천의례는 조선시대에도 계승되었다. “1398년(태조 7) 4월, 가뭄이 심할 때 종묘(宗廟)·사직(社稷)·원단(圓壇)과 여러 용추(龍湫)주 01)에 비를 빌었다.”는 실록의 기록은 이를 잘 말해준다. 조선시대 문헌에 나오는 환단의 위치를 보면, 한강 서동(西洞) 또는 남교(南郊)로 되어 지금의 한남동 부근으로 추정된다.또한환구단의 구조는 처음에는 고려의 제도를 따라 단 주위를 6장(丈)으로 하고 단 위에 천황대제(天皇大帝)와 오방오제(五方五帝)의 신위를 봉안하였다. 그러나 단상이 좁아 1411년(태종 11)에 확장하여 단 주위를 7장으로 하여 단으로 오르는 12층계를 만들고 단 아래에는 3개의 토담〔土壝〕을 만들어 주위 담에는 4개의 문을 냈다. 그리고 단 남쪽에는 다시 높이 1장 2척 창호방(窓戶方)의 요단(燎壇)을 쌓았고 신주(神廚)와 재궁(齋宮)을 지어 면모를 새롭게 하였다.세조 때에 환구단을 쌓게 하였다는 기록이 보이나,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환구단의 명칭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천자가 아닌 제후국(諸侯國)의 왕으로서 천제(天祭)를 지냄이 합당하지 않다는 논의 때문이며, 이로 인해 이후 여러 차례 제천단을 폐한 일이 있었다.그 뒤 고종이 1897년(광무 1) 대한제국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천자가 되었기에 완전한 제천의식(祭天儀式)을 행하게 되었다. 환구단은 1897년(광무 1) 우리나라도 천신(天神)에게 제를 드려야 한다는 의정(議政) 심순택(沈舜澤)의 상소에 따라 영선사(營繕史) 이근명(李根命)이 지관(地官)을 데리고 지금의 소공동 해좌사향(亥坐巳向)에다 길지(吉地)를 정하고 제단을 쌓게 하였다. 제단이 조성된 이후에고종은 이곳 환구에서 천지에 제를 드리고 황제위(皇帝位)에 오르게 되었다.이때에 조성된 환구단의 제도를 보면, 황천상제(皇天上帝)의 위(位)는 제1층 북동쪽에서 남향하여 있고 황지기(皇地祇)의 위는 북서쪽에서 남향하였다.제2층 동쪽에는 대명(大明), 서쪽에는 야명(夜明)의 위가 봉안되었으며, 제3층 동쪽에는 북두칠성(北斗七星)·오성(五星)·이십팔수(二十八宿)·오악(五嶽)·사해(四海)·명산(名山)·성황(城隍)의 위와 서쪽에는 운사(雲師)·우사(雨師)·풍백(風伯)·뇌사(雷師)·오진(五鎭)주 02)·사독(四瀆)주 03)·대천(大川)·사토(司土)의 위가 모셔졌다.그리고 제를 올릴 때 영신궁가(迎神宮架)에는 중화(中和)의 악, 진찬궁가(進饌宮架)에는 응화(凝和)의 악 등, 여러 주악이 의식에 따라 연주되었다.그 뒤 1899년(광무 3)환구의 북쪽에 황궁우(皇穹宇)를 건립하고 신위판(神位板)을 봉안하면서 태조를 추존하여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로 삼고, 환구 황지기 위의 동남에 배천(配天)하였다.1913년 일제에 의하여 환구단이 헐리고 그 터는 지금 조선호텔이 되었는데, 화강암 기단 위에 세워진 3층 팔각정의 황궁우는 지금도 남아 있다. 기단 위에는 돌난간이 둘러져 있고 1·2층은 통층(通層)인데, 중앙에 태조의 신위가 있다. 3층은 각 면에 3개의 창을 냈다.건물의 양식은 익공계(翼工系)인데, 청나라 영향을 받은 장식이 많다. 황궁우 옆에는 제천을 위한 악기를 상징한 듯 3개의 석고(石鼓)가 있는데, 몸통에 조각된 용문(龍文)이 화려하다.제천단의 또 한 예로 강화도 마니산 정상에 자리잡은 참성단(塹星壇)을 들 수 있겠는데, 이는 단군이 제천을 위하여 쌓았다고 구전되어 온다. 밑부분은 둥글며(지름 4.5m), 윗부분은 정방형(한 변이 2m)으로 전체 높이는 6m이고 동서에 단으로 오르는 계단이 있다.1639년(인조 17)과 1700년(숙종 26)에 중수하였고 매년 음력 1월과 9월에 제사를 올렸다 하며, 요즈음에는 전국체육대회의 성화가 이곳에서 채화된다.
+
【 ~ 】. 환구단(圜丘壇). 대한제국기 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올리던 제단. 환구단은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를 드리는 둥근 단으로 된 제천단(祭天壇)인데, 예로부터 ‘천원지방(天圓地方)’이라 하여 하늘에 제를 지내는 단은 둥글게, 땅에 제사 지내는 단은 모나게 쌓았다.국왕이 정결한 곳에 제천단을 쌓고 기원과 감사의 제를 드리는 것은 농경문화의 형성과 더불어 일찍부터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983년(고려, 성종 2) 정월에 왕이 환구단에 풍년기원제(豊年祈願祭)를 드렸다는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으로 보아, 이미 이전부터 이러한 의식이 행하였다고 추측된다.이러한 제천의례는 조선시대에도 계승되었다. “1398년(태조 7) 4월, 가뭄이 심할 때 종묘(宗廟)·사직(社稷)·원단(圓壇)과 여러 용추(龍湫)주 01)에 비를 빌었다.”는 실록의 기록은 이를 잘 말해준다. 조선시대 문헌에 나오는 환단의 위치를 보면, 한강 서동(西洞) 또는 남교(南郊)로 되어 지금의 한남동 부근으로 추정된다.또한환구단의 구조는 처음에는 고려의 제도를 따라 단 주위를 6장(丈)으로 하고 단 위에 천황대제(天皇大帝)와 오방오제(五方五帝)의 신위를 봉안하였다. 그러나 단상이 좁아 1411년(태종 11)에 확장하여 단 주위를 7장으로 하여 단으로 오르는 12층계를 만들고 단 아래에는 3개의 토담〔土壝〕을 만들어 주위 담에는 4개의 문을 냈다. 그리고 단 남쪽에는 다시 높이 1장 2척 창호방(窓戶方)의 요단(燎壇)을 쌓았고 신주(神廚)와 재궁(齋宮)을 지어 면모를 새롭게 하였다.세조 때에 환구단을 쌓게 하였다는 기록이 보이나,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환구단의 명칭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천자가 아닌 제후국(諸侯國)의 왕으로서 천제(天祭)를 지냄이 합당하지 않다는 논의 때문이며, 이로 인해 이후 여러 차례 제천단을 폐한 일이 있었다.그 뒤 고종이 1897년(광무 1) 대한제국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천자가 되었기에 완전한 제천의식(祭天儀式)을 행하게 되었다. 환구단은 1897년(광무 1) 우리나라도 천신(天神)에게 제를 드려야 한다는 의정(議政) 심순택(沈舜澤)의 상소에 따라 영선사(營繕史) 이근명(李根命)이 지관(地官)을 데리고 지금의 소공동 해좌사향(亥坐巳向)에다 길지(吉地)를 정하고 제단을 쌓게 하였다. 제단이 조성된 이후에고종은 이곳 환구에서 천지에 제를 드리고 황제위(皇帝位)에 오르게 되었다.이때에 조성된 환구단의 제도를 보면, 황천상제(皇天上帝)의 위(位)는 제1층 북동쪽에서 남향하여 있고 황지기(皇地祇)의 위는 북서쪽에서 남향하였다.제2층 동쪽에는 대명(大明), 서쪽에는 야명(夜明)의 위가 봉안되었으며, 제3층 동쪽에는 북두칠성(北斗七星)·오성(五星)·이십팔수(二十八宿)·오악(五嶽)·사해(四海)·명산(名山)·성황(城隍)의 위와 서쪽에는 운사(雲師)·우사(雨師)·풍백(風伯)·뇌사(雷師)·오진(五鎭)주 02)·사독(四瀆)주 03)·대천(大川)·사토(司土)의 위가 모셔졌다.그리고 제를 올릴 때 영신궁가(迎神宮架)에는 중화(中和)의 악, 진찬궁가(進饌宮架)에는 응화(凝和)의 악 등, 여러 주악이 의식에 따라 연주되었다.그 뒤 1899년(광무 3)환구의 북쪽에 황궁우(皇穹宇)를 건립하고 신위판(神位板)을 봉안하면서 태조를 추존하여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로 삼고, 환구 황지기 위의 동남에 배천(配天)하였다.1913년 일제에 의하여 환구단이 헐리고 그 터는 지금 조선호텔이 되었는데, 화강암 기단 위에 세워진 3층 팔각정의 황궁우는 지금도 남아 있다. 기단 위에는 돌난간이 둘러져 있고 1·2층은 통층(通層)인데, 중앙에 태조의 신위가 있다. 3층은 각 면에 3개의 창을 냈다.건물의 양식은 익공계(翼工系)인데, 청나라 영향을 받은 장식이 많다. 황궁우 옆에는 제천을 위한 악기를 상징한 듯 3개의 석고(石鼓)가 있는데, 몸통에 조각된 용문(龍文)이 화려하다.제천단의 또 한 예로 강화도 마니산 정상에 자리잡은 참성단(塹星壇)을 들 수 있겠는데, 이는 단군이 제천을 위하여 쌓았다고 구전되어 온다. 밑부분은 둥글며(지름 4.5m), 윗부분은 정방형(한 변이 2m)으로 전체 높이는 6m이고 동서에 단으로 오르는 계단이 있다.1639년(인조 17)과 1700년(숙종 26)에 중수하였고 매년 음력 1월과 9월에 제사를 올렸다 하며, 요즈음에는 전국체육대회의 성화가 이곳에서 채화된다.
  
  

2021년 8월 28일 (토) 11:08 판

Definition

【 ~ 】. 환구단(圜丘壇). 대한제국기 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올리던 제단. 환구단은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를 드리는 둥근 단으로 된 제천단(祭天壇)인데, 예로부터 ‘천원지방(天圓地方)’이라 하여 하늘에 제를 지내는 단은 둥글게, 땅에 제사 지내는 단은 모나게 쌓았다.국왕이 정결한 곳에 제천단을 쌓고 기원과 감사의 제를 드리는 것은 농경문화의 형성과 더불어 일찍부터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983년(고려, 성종 2) 정월에 왕이 환구단에 풍년기원제(豊年祈願祭)를 드렸다는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으로 보아, 이미 이전부터 이러한 의식이 행하였다고 추측된다.이러한 제천의례는 조선시대에도 계승되었다. “1398년(태조 7) 4월, 가뭄이 심할 때 종묘(宗廟)·사직(社稷)·원단(圓壇)과 여러 용추(龍湫)주 01)에 비를 빌었다.”는 실록의 기록은 이를 잘 말해준다. 조선시대 문헌에 나오는 환단의 위치를 보면, 한강 서동(西洞) 또는 남교(南郊)로 되어 지금의 한남동 부근으로 추정된다.또한환구단의 구조는 처음에는 고려의 제도를 따라 단 주위를 6장(丈)으로 하고 단 위에 천황대제(天皇大帝)와 오방오제(五方五帝)의 신위를 봉안하였다. 그러나 단상이 좁아 1411년(태종 11)에 확장하여 단 주위를 7장으로 하여 단으로 오르는 12층계를 만들고 단 아래에는 3개의 토담〔土壝〕을 만들어 주위 담에는 4개의 문을 냈다. 그리고 단 남쪽에는 다시 높이 1장 2척 창호방(窓戶方)의 요단(燎壇)을 쌓았고 신주(神廚)와 재궁(齋宮)을 지어 면모를 새롭게 하였다.세조 때에 환구단을 쌓게 하였다는 기록이 보이나,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환구단의 명칭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천자가 아닌 제후국(諸侯國)의 왕으로서 천제(天祭)를 지냄이 합당하지 않다는 논의 때문이며, 이로 인해 이후 여러 차례 제천단을 폐한 일이 있었다.그 뒤 고종이 1897년(광무 1) 대한제국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천자가 되었기에 완전한 제천의식(祭天儀式)을 행하게 되었다. 환구단은 1897년(광무 1) 우리나라도 천신(天神)에게 제를 드려야 한다는 의정(議政) 심순택(沈舜澤)의 상소에 따라 영선사(營繕史) 이근명(李根命)이 지관(地官)을 데리고 지금의 소공동 해좌사향(亥坐巳向)에다 길지(吉地)를 정하고 제단을 쌓게 하였다. 제단이 조성된 이후에고종은 이곳 환구에서 천지에 제를 드리고 황제위(皇帝位)에 오르게 되었다.이때에 조성된 환구단의 제도를 보면, 황천상제(皇天上帝)의 위(位)는 제1층 북동쪽에서 남향하여 있고 황지기(皇地祇)의 위는 북서쪽에서 남향하였다.제2층 동쪽에는 대명(大明), 서쪽에는 야명(夜明)의 위가 봉안되었으며, 제3층 동쪽에는 북두칠성(北斗七星)·오성(五星)·이십팔수(二十八宿)·오악(五嶽)·사해(四海)·명산(名山)·성황(城隍)의 위와 서쪽에는 운사(雲師)·우사(雨師)·풍백(風伯)·뇌사(雷師)·오진(五鎭)주 02)·사독(四瀆)주 03)·대천(大川)·사토(司土)의 위가 모셔졌다.그리고 제를 올릴 때 영신궁가(迎神宮架)에는 중화(中和)의 악, 진찬궁가(進饌宮架)에는 응화(凝和)의 악 등, 여러 주악이 의식에 따라 연주되었다.그 뒤 1899년(광무 3)환구의 북쪽에 황궁우(皇穹宇)를 건립하고 신위판(神位板)을 봉안하면서 태조를 추존하여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로 삼고, 환구 황지기 위의 동남에 배천(配天)하였다.1913년 일제에 의하여 환구단이 헐리고 그 터는 지금 조선호텔이 되었는데, 화강암 기단 위에 세워진 3층 팔각정의 황궁우는 지금도 남아 있다. 기단 위에는 돌난간이 둘러져 있고 1·2층은 통층(通層)인데, 중앙에 태조의 신위가 있다. 3층은 각 면에 3개의 창을 냈다.건물의 양식은 익공계(翼工系)인데, 청나라 영향을 받은 장식이 많다. 황궁우 옆에는 제천을 위한 악기를 상징한 듯 3개의 석고(石鼓)가 있는데, 몸통에 조각된 용문(龍文)이 화려하다.제천단의 또 한 예로 강화도 마니산 정상에 자리잡은 참성단(塹星壇)을 들 수 있겠는데, 이는 단군이 제천을 위하여 쌓았다고 구전되어 온다. 밑부분은 둥글며(지름 4.5m), 윗부분은 정방형(한 변이 2m)으로 전체 높이는 6m이고 동서에 단으로 오르는 계단이 있다.1639년(인조 17)과 1700년(숙종 26)에 중수하였고 매년 음력 1월과 9월에 제사를 올렸다 하며, 요즈음에는 전국체육대회의 성화가 이곳에서 채화된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환구단 Place 제단 제사유적 환구단(阛丘檀) 환구단 阛丘檀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환구단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환구단 [[ ]] [[ ]]
윤치호 독립협회 isMemberOf
정교 독립협회 isMemberOf
안경수 독립협회 isMemberOf
이완용 독립협회 isMemberOf
김가진 독립협회 isMemberOf
김종한 독립협회 isMemberOf
이상재 독립협회 isMemberOf
송헌빈 독립협회 isMemberOf
남궁억 독립협회 isMemberOf
양홍묵 독립협회 isMemberOf
이건호 독립협회 isMemberOf
안영수 독립협회 isMemberOf
강화석 독립협회 isMemberOf
독립협회 독립신문 isRelatedTo 기관지
독립협회 독립문 isRelatedTo 목적
독립협회 독립협회회보 isRelatedTo 기관지
독립협회 황성신문 isRelatedTo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includes 산하 기구
신민회 독립협회 isDerivativeOf 대다수 회원들이 후일 신민회로 들어간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환구단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0617
해설 위키백과 환구단 https://ko.wikipedia.org/wiki/환구단
해설 두산백과 환구단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4259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 종합 독립협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124&docId=646905&categoryId=43124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 어린이백과 > 한국사 개념사전 독립협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7306&docId=957685&categoryId=47306
동영상 영상한국사 1096 독립협회, 만민공동회와 이완용 https://www.youtube.com/watch?v=Okrc2T8m8Tw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홍원표. 「독립협회의 국가건설사상: 서재필과 윤치호」, 『국제정치논총』43-4, 한국국제정치학회, 2003.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876040
논문 조성운.「독립협회의 ‘국민’ 인식과 창출 활동 -尙武論과 관련하여-」, 『한국민족운동사연구』90,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http://dx.doi.org/10.19162/KNM.90.2017.3.01
논문 곽금선.「1898년 독립협회의 정치기획과 ‘충군애국(忠君愛國)」, 『 역사와 현실』107, 한국역사연구회, 2018 http://www.koreanhistory.org/dbpia
논문 윤대식.「독립협회에 대한 유교 관료와 지식인들의 인식 : 상소문(上疏文)을 중심으로」, 『사회이론』50, 한국사회이론학회, 201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67530
논문 김용직.「개화기 한국의 근대적 공론장과 공론형성 연구 : 독립협회와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11-38, 한국동북아학회, 200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98753
논문 김현숙.「문명담론과 독립협회의 정치체제, 그리고 러젠드르의 전제론」, 『韓國史學報 』 66, 고려사학회, 2017 http://dx.doi.org/10.21490/jskh.2017.02.66.199
논문 권기하.「독립협회의 정치운동 모색 과정에서 의리 관념의 역할」, 『역사문제연구』 23-2, 역사문제연구소, 2019 http://dx.doi.org/10.36432/CSMKH.42.201910.7
논문 조계원. 「대한제국기 만민/관민공동회(1898년)를 둘러싼 국왕과 독립협회의 갈등 - ‘동포,’‘민회’ 개념을 중심으로」, 『담론 201』19-2, 한국사회역사학회, 201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11600
논문 송민호. 「開化啓蒙時代 ‘演說’과 ‘講演’의 分化와 非政治的 公論場 形成의 背景」, 『한국문화』 55,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92732
논문 최형익. 「한국에서 근대 민주주의의 기원: 구한말 독립신문,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활동」, 『한국학』 27-3,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42310
논문 이신철.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의‘근대성’ 논의 검토」, 『사림』 39, 수선사학회, 201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69767
논문 김종학. 「국=가와 국/가-왕권을 둘러싼 정치투쟁과 대한제국-」, 『개념과 소통』 20, 한림과학원, 2017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05445
단행본 신용하, 『독립협회연구-상, 하』, 일조각, 2006.
단행본 김승태, 『서재필』, 역사공간, 2011.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