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3-04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Semantic Data)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 [[E2022-R3-04A]] || [[종묘_제사상]] || [[isRelatedTo]] || || | | [[E2022-R3-04A]] || [[종묘_제사상]] || [[isRelatedTo]] || || | ||
|- | |- | ||
− | |||
| [[E2022-R3-04A]] || [[제사상_제기]] || [[isRelatedTo]] || || | | [[E2022-R3-04A]] || [[제사상_제기]]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 |||
− | |||
| [[E2022-R3-04A]] || [[종묘_준소상]] || [[isRelatedTo]] || || | | [[E2022-R3-04A]] || [[종묘_준소상]]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E2022-R3-04A]] || [[준소상_제기]] || [[isRelatedTo]] || || | | [[E2022-R3-04A]] || [[준소상_제기]] || [[isRelatedTo]] || || | ||
|- | |- | ||
− | |||
| [[E2022-R3-04A]] || [[찬막단]] || [[isRelatedTo]] || || | | [[E2022-R3-04A]] || [[찬막단]] || [[isRelatedTo]] || || | ||
|- | |- |
2022년 12월 3일 (토) 02:27 판
목차
종묘제례의 순서 》 제기를 올리는 방법
Story
종묘제례에서 제기는 제사상과 준소상에 차려진다. 제기의 배치는 정해진 규범이 있다. 그 규범은 공식(共食) 때의 상차림을 기초 원리로 하고 있으나, 그릇수와 위치는 예제의 등급질서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것은 전통의 계승과 국왕의 권위를 나타내는 예제사회의 특징 중 하나이다. 제사상의 변의 음식은 모두 요즈음으로 말하면, 식사 후의 간식에 해당한다. 그에 반해 두의 음식은 반찬이 주류를 이룬다. 이 제기들은 제상의 좌우 끝에 놓였다. 예기 「교특생」에서 변두를 짝수로 진설하는 것은 음양의 이치를 따른 것이라 하였다. 정(鼎)과 조(俎)를 홀수로 진설하는 것도 마찬가지의 뜻이다. 왜냐하면 희생은 양을 상징하며 그 외의 서물(庶物)은 음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또 변두에 올리는 것은 수토(水土)의 산품으로서, 맛있는 것을 사용하지 않고 찬품이 많은 것을 귀하게 여기는데, 그것은 신명과 교유하는 뜻이며 맛있는 것을 먹는 도리가 아니라고 하였다. 준소상은 준을 차려놓는 상이다. 이 상은 의례 「사관례」에서, ‘준은 방과 실의 입구와의 사이에 진설한다. 두 개의 도제(陶製)의 옹(甕)과 그 대(臺)인 금(禁)을 놓는다’고 한 바와 같이, 당 안에서 좌우로 나뉘어있는 실과 방 앞에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종묘는 당의 구조가 다르므로 신실의 신문 안에 차리는 것이 아니라, 신문 밖에 설치하는 것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서 준은 의식 때 술을 따르는 것과 관련된 여러 장치 전체를 가리키는 호칭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기들을 올리는 방법이 정조 15년 7월에 개정되었다. 국왕이 직접 제사지낼 때는 제기를 받드는 관원이 42원이지만, 대행할 때는 으레 15원을 뽑아 돌아가면서 받들어 올리기 때문에 한 사람이 세 번씩 번갈아 드나들게 된다. 그런데 이들이 왕래할 때 동쪽의 신문(神門)으로 나와 남쪽의 신문으로 들어가니, 이런 과정에서 땀이 흘러 정결하지 못할 뿐 아니라, 반드시 제기를 올리는 것이 가끔 중단되는 상황을 부르게 된다. 그래서 맨 처음 제기를 올릴 때는 관례대로 동쪽 신문에서 나오되, 두 번째 이후에는 남쪽 신문 밖에 별도로 찬막(饌幕)을 설치하여 희생을 담은 그릇을 미리 봉안해두도록 하고, 제기를 올리는 관원이 첫 번째와 두 번째 제기를 올린 뒤에는 동문으로 나오지 말고 곧바로 남문으로 가게 하여, 전사관(典祀官)이 희생그릇을 정리하여 차례로 받들어 전달함으로써 계속해서 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 삼았다. 영녕전의 제향관이 있는 곳에도 아울러 이렇게 하도록 하고, 태묘등록(太廟謄錄)에 기록하여 매년 추향대제에 정식으로 삼았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E2022-R3-04A | Story | Episode | 제기를 올리는 방법 | 제기를 올리는 방법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3-04A | 2022:박지윤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E2022-R3-04A | 종묘_제사상 | isRelatedTo | ||
E2022-R3-04A | 제사상_제기 | isRelatedTo | ||
E2022-R3-04A | 종묘_준소상 | isRelatedTo | ||
E2022-R3-04A | 준소상_제기 | isRelatedTo | ||
E2022-R3-04A | 찬막단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서울지명사전 | 거둥고개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06348&cid=43722&categoryId=43722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