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3-04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Data)
40번째 줄: 40번째 줄:
 
| [[E2022-R3-04A]] || [[종묘_제사상]] || [[isRelatedTo]] || ||  
 
| [[E2022-R3-04A]] || [[종묘_제사상]] || [[isRelatedTo]] || ||  
 
|-
 
|-
󰡔국조오례서례󰡕 「찬실준뢰도설」을 보면, 변과 두가 제사상의 동서쪽에 각각 가로 6줄, 세로 2줄씩을 진설하는데, 음식의 수는 모두 24종이다. 변은 제상의 왼편에다 마른 음식이나 과일 등을 담아놓는 제기이다. 이 제기에는 분자(粉餈, 인절미), 구이(糗餌, 미싯가루떡), 흑병(黑餠, 수수떡), 백병(白餠), 녹포(鹿脯), 호도, 백자(잣), 연자(蓮子), 비자(榧子), 황율(黃栗), 건조(乾棗), 어숙(魚鱐), 형염(形鹽, 소금) 등을 담는다. 두는 제상의 오른편에다 떡, 고기, 김치, 젓갈 따위를 담아놓는 제기이다. 이 제기에는 삼식(糝食, 고기떡), 이식(酏食, 술떡), 돈박(豚拍, 돼지갈비), 비석(脾析, 소 천엽), 어해(魚醢, 물고기젓), 길경(桔梗, 도라지김치), 순저(筍菹, 대나무순김치), 치해(雉醢, 꿩고기젓), 근저(芹菹, 미나리김치), 녹해(鹿醢, 사슴고기젓), 청저(靑菹, 무김치), 탐해(醓醢, 소고기젓), 구저(韭菹, 부추김치) 등을 담는다.
 
 
| [[E2022-R3-04A]] || [[제사상_제기]] || [[isRelatedTo]] || ||  
 
| [[E2022-R3-04A]] || [[제사상_제기]] || [[isRelatedTo]] || ||  
 
|-
 
|-
보궤는 형의 다음 줄의 3행과 4행에 각각 4개씩 놓인다. 보는 도稻(벼)와 량粱(수수)을 각각 2개에 담아 교차로 놓는다. 궤는 서黍(찰기장)와 직稷(메기장)을 각각 2개에 담아 교차로 놓는다. 이 음식들은 주식인 밥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고깃국인 등형 다음에 놓였다. 땅에서 자란 음의 산물이므로 짝수로 진설하였다.
 
등과 형은 각각 대갱과 형갱을 담는 일종의 국그릇이다. 제상 북쪽에서 1행과 2행의 변두 사이에 등과 형을 차례로 6개씩 놓았다.
 
조俎는 희생을 올려놓는 제기이다. 우성牛腥은 오른쪽의 변 다음 행에, 양성羊腥은 궤 다음 행의 가운데에, 시성豕腥은 왼쪽의 두 다음 행에 놓는다. 그리고 우숙牛熟과 양숙羊熟․시숙豕熟을 담은 소생갑을 5행의 왼쪽 끝의 두 옆에 놓는다. 그 옆에는 모혈반이 놓이고 그 반대편에는 간료등이 놓인다. 양성 앞에는 폐비幣篚가 놓이고, 그 앞 좌우에 향합과 향로가 자리한다.
 
제상 제일 앞줄에는 작爵 여섯이 놓이고, 그 왼쪽으로 축판이 있다. 작이 여섯인 것은 국왕과 왕비에게 올리는 3헌의 작이 차례로 놓이기 때문이다.
 
 
| [[E2022-R3-04A]] || [[종묘_준소상]] || [[isRelatedTo]] || ||  
 
| [[E2022-R3-04A]] || [[종묘_준소상]] || [[isRelatedTo]] || ||  
 
|-
 
|-
실마다 봄과 여름에는 계이鷄彛가 하나인데 명수를 담으며, 조이鳥彛가 하나인데 울창을 담고, 희준이 둘인데 하나는 명수를 담고 하나는 예제를 담으며, 상준象尊이 둘인데 하나는 명수를 담고 하나는 앙제를 담으며, 산뢰가 둘인데 하나는 현주를 담고 하나는 청주를 담는다. 네 줄이 되는데, 첫째 줄이 계이와 조이이며, 둘째 줄이 희준이고, 셋째 줄이 상준이며, 넷째 줄이 산뢰이다. 가을과 겨울 및 납월에는 황이黃彛가 둘인데 하나는 명수를 담고 하나는 울창을 담으며, 착준이 둘인데 하나는 명수를 담고 하나는 예제를 담으며, 호준壺尊이 둘인데 하나는 명수를 담고 하나는 앙제를 담으며, 산뢰가 둘인데 하나는 현주를 담고 하나는 청주를 담는다. 네 줄이 되는데, 위와 같다. 모두 작을 얹어놓고 멱을 덮어놓는다. 문 밖의 왼쪽에 있는데, 모두 북향하며 서쪽이 윗자리이다.
 
따라서 왼쪽의 이준에는 물을 담고 오른쪽에는 술을 담은 이준이 놓인다. 술은 계절별로 그 종류를 달리하였다. 봄에는 계이鷄彝에 명수明水, 조이鳥彛에 울창주鬱鬯酒를 담고, 여름에는 조이에 명수, 계이에 울창주를 담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가이斝彛와 황이黃彛에 춘하 때처럼 담는다. 또 봄과 여름에는 희준犧尊과 상준象尊, 가을과 겨울에는 착준著尊과 호준壺尊을 사용하였다. 희준에는 예제와 명수, 상준에는 앙제와 명수, 착준에는 예제와 명수, 호준에는 앙제와 명수를 담는다. 이외에 모든 계절에 사용하는 것으로 산뢰山罍가 있는데, 청주와 현주를 담는다.
 
 
| [[E2022-R3-04A]] || [[준소상_제기]] || [[isRelatedTo]] || ||  
 
| [[E2022-R3-04A]] || [[준소상_제기]] || [[isRelatedTo]] || ||  
 
|-
 
|-
이렇게 난도로 베어낸 각 부위는 축사들이 제기에 나누어 담아서 각각 찬소에 갖다놓는다.
 
 
| [[E2022-R3-04A]] || [[찬막단]] || [[isRelatedTo]] || ||  
 
| [[E2022-R3-04A]] || [[찬막단]] || [[isRelatedTo]] || ||  
 
|-
 
|-

2022년 12월 3일 (토) 02:27 판

종묘제례의 순서 》 제기를 올리는 방법

Story

종묘제례에서 제기는 제사상과 준소상에 차려진다. 제기의 배치는 정해진 규범이 있다. 그 규범은 공식(共食) 때의 상차림을 기초 원리로 하고 있으나, 그릇수와 위치는 예제의 등급질서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것은 전통의 계승과 국왕의 권위를 나타내는 예제사회의 특징 중 하나이다. 제사상의 변의 음식은 모두 요즈음으로 말하면, 식사 후의 간식에 해당한다. 그에 반해 두의 음식은 반찬이 주류를 이룬다. 이 제기들은 제상의 좌우 끝에 놓였다. 󰡔예기󰡕 「교특생」에서 변두를 짝수로 진설하는 것은 음양의 이치를 따른 것이라 하였다. 정(鼎)과 조(俎)를 홀수로 진설하는 것도 마찬가지의 뜻이다. 왜냐하면 희생은 양을 상징하며 그 외의 서물(庶物)은 음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또 변두에 올리는 것은 수토(水土)의 산품으로서, 맛있는 것을 사용하지 않고 찬품이 많은 것을 귀하게 여기는데, 그것은 신명과 교유하는 뜻이며 맛있는 것을 먹는 도리가 아니라고 하였다. 준소상은 준을 차려놓는 상이다. 이 상은 󰡔의례󰡕 「사관례」에서, ‘준은 방과 실의 입구와의 사이에 진설한다. 두 개의 도제(陶製)의 옹(甕)과 그 대(臺)인 금(禁)을 놓는다’고 한 바와 같이, 당 안에서 좌우로 나뉘어있는 실과 방 앞에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종묘는 당의 구조가 다르므로 신실의 신문 안에 차리는 것이 아니라, 신문 밖에 설치하는 것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서 준은 의식 때 술을 따르는 것과 관련된 여러 장치 전체를 가리키는 호칭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기들을 올리는 방법이 정조 15년 7월에 개정되었다. 국왕이 직접 제사지낼 때는 제기를 받드는 관원이 42원이지만, 대행할 때는 으레 15원을 뽑아 돌아가면서 받들어 올리기 때문에 한 사람이 세 번씩 번갈아 드나들게 된다. 그런데 이들이 왕래할 때 동쪽의 신문(神門)으로 나와 남쪽의 신문으로 들어가니, 이런 과정에서 땀이 흘러 정결하지 못할 뿐 아니라, 반드시 제기를 올리는 것이 가끔 중단되는 상황을 부르게 된다. 그래서 맨 처음 제기를 올릴 때는 관례대로 동쪽 신문에서 나오되, 두 번째 이후에는 남쪽 신문 밖에 별도로 찬막(饌幕)을 설치하여 희생을 담은 그릇을 미리 봉안해두도록 하고, 제기를 올리는 관원이 첫 번째와 두 번째 제기를 올린 뒤에는 동문으로 나오지 말고 곧바로 남문으로 가게 하여, 전사관(典祀官)이 희생그릇을 정리하여 차례로 받들어 전달함으로써 계속해서 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 삼았다. 영녕전의 제향관이 있는 곳에도 아울러 이렇게 하도록 하고, 태묘등록(太廟謄錄)에 기록하여 매년 추향대제에 정식으로 삼았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E2022-R3-04A Story Episode 제기를 올리는 방법 제기를 올리는 방법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3-04A 2022:박지윤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3-04A 종묘_제사상 isRelatedTo
E2022-R3-04A 제사상_제기 isRelatedTo
E2022-R3-04A 종묘_준소상 isRelatedTo
E2022-R3-04A 준소상_제기 isRelatedTo
E2022-R3-04A 찬막단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 서울지명사전 거둥고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06348&cid=43722&categoryId=43722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