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왕비의 초록색 저고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13번째 줄: 13번째 줄: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영릉 참봉 한준민 일가 묘 출토 유물』, 민속원, 2013. || 3D-17세기_왕비의_초록색_저고리 || [[references]] || 한필(1590-1654) 배위 평양조씨 치마 복원품 <br/><br/>겉감의 초록색은 이 치마사진을 참고하여 표현한다. 치마는 누비가 누벼진 것이다. 색상만 참고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53_17세기왕비의초록색저고리_02.jpg"/></html>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영릉 참봉 한준민 일가 묘 출토 유물』, 민속원, 2013. || 3D-17세기_왕비의_초록색_저고리 || [[references]] || 한필(1590-1654) 배위 평양조씨 치마 복원품 <br/><br/>겉감의 초록색은 이 치마사진을 참고하여 표현한다. 치마는 누비가 누벼진 것이다. 색상만 참고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53_17세기왕비의초록색저고리_02.jpg"/></html>  
 
|-
 
|-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6기, 『조선시대 어른 정통 입성거리 일곱가지』,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1. || 3D-17세기_왕비의_초록색_저고리 || [[references]] || 비슷한 크기와 형태의 저고리를 착용시킨 모습이다. 3D 제작시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저고리 안에도 같은 형태의 저고리들과 속옷을 입어 여성의 몸매가 부각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최대한 가슴부분을 편평하게 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52_17세기왕비의자적색저고리_05.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52_17세기왕비의자적색저고리_06.jpg"/></html>  
+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6기, 『조선시대 어른 정통 입성거리 일곱가지』,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1. || 3D-17세기_왕비의_초록색_저고리 || [[references]] || 비슷한 크기와 형태의 저고리를 착용시킨 모습이다. 3D 제작시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저고리 안에도 같은 형태의 저고리들과 속옷을 입어 여성의 몸매가 부각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최대한 가슴부분을 편평하게 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52_17세기왕비의자적색저고리_05.jpg"/></html>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조선시대 우리 옷의 멋과 유행』, 단국대학교출판부, 2011. || 3D-17세기_왕비의_초록색_저고리 || [[references]] || 착용모습 참고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52_17세기왕비의자적색저고리_06.jpg"/></html>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Clothing]] [[분류:2022:김현승]] [[분류:김현승-미완성]]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Clothing]] [[분류:2022:김현승]] [[분류:김현승-미완성]]

2022년 11월 19일 (토) 18:23 판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성주이씨 형보의 부인 해평윤씨 출토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10. 3D-17세기_왕비의_초록색_저고리 references 해평윤씨(1660-1701) 저고리

재료: 비단(Silk)
색상: 겉감 초록색, 안감·동정 흰색
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겉감은 초록색 연화문단이고, 안감과 동정은 흰색 명주로 한다. 앞길이가 뒷길이 보다 살짝 길다. 소매는 완만한 일자형이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성주이씨 형보의 부인 해평윤씨 출토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10. 3D-17세기_왕비의_초록색_저고리 references 해평윤씨(1660-1701) 저고리 도식화

상세 사이즈(㎝): 앞길이 43, 뒷길이 40, 화장 75, 품 45.5, 진동 24.5, 수구 19, 고대 18, 깃너비 10.5, 동정너비 4, 고름 30 x 2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6기, 『조선시대 어른 정통 입성거리 일곱가지』,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1. 3D-17세기_왕비의_초록색_저고리 references 해평윤씨(1660-1701) 저고리 복원품

유색상이 다른 옷이지만, 형태를 참고한다.
한국전통지식포탈 > 문화적창조기술 > 전통문양 ☞ 연꽃넝쿨과 보배무늬-보공 3D-17세기_왕비의_초록색_저고리 references 겉감과 겉고름에는 초록색 연화문단을 사용하고, 동정과 속고름, 안감은 흰색 무늬없는 비단을 사용한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영릉 참봉 한준민 일가 묘 출토 유물』, 민속원, 2013. 3D-17세기_왕비의_초록색_저고리 references 한필(1590-1654) 배위 평양조씨 치마 복원품

겉감의 초록색은 이 치마사진을 참고하여 표현한다. 치마는 누비가 누벼진 것이다. 색상만 참고한다.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6기, 『조선시대 어른 정통 입성거리 일곱가지』,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1. 3D-17세기_왕비의_초록색_저고리 references 비슷한 크기와 형태의 저고리를 착용시킨 모습이다. 3D 제작시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저고리 안에도 같은 형태의 저고리들과 속옷을 입어 여성의 몸매가 부각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최대한 가슴부분을 편평하게 한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조선시대 우리 옷의 멋과 유행』, 단국대학교출판부, 2011. 3D-17세기_왕비의_초록색_저고리 references 착용모습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