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공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Contextual Relations)
23번째 줄: 23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대과_방방복식 || 어사화_복두 ||  [[hasPart]] || ||
+
| 문무과_방방복식 || 어사화_복두 ||  [[hasPart]] || ||
 
|-
 
|-
| 대과_방방복식 || 녹공복 || [[hasPart]] || ||
+
| 문무과_방방복식 || 녹공복 || [[hasPart]] || ||
 
|-
 
|-
| 대과_방방복식 || 야자대 || [[hasPart]] || ||
+
| 문무과_방방복식 || 야자대 || [[hasPart]] || ||
 
|-
 
|-
| 대과_방방복식 || 목홀 || [[hasPart]] || ||
+
| 문무과_방방복식 || 목홀 || [[hasPart]] || ||
 
|-
 
|-
| 대과_방방복식 || 흑화 || [[hasPart]] || ||
+
| 문무과_방방복식 || 흑화 || [[hasPart]] || ||
 
|-
 
|-
 
|}
 
|}

2022년 9월 16일 (금) 11:34 판

Definition

조선시대의 과거제는 태조에 의해 기본 방향이 세워지고 세종대에 이르러서 제도가 정립된다. 성종대에 발간된 『경국대전』에서 과거 제도가 구체적으로 법제화 되었으며, 이후 보완 개정하여 영조대에 『속대전』에 명시된다.[1] 과거시험의 결과가 나오면 합격자를 발표하는데 이를 방방(放榜)이라 하였다.[2]
조선 후기 대과 급제자의 복식은 공복(公服)이다. 공복에는 복두(幞頭)와 야대(也帶)를 착용하고 홀(笏)과 흑화(黑靴) 등을 갖춘다.[3] 조선의 공복 제도는 태조 1년(1392) 예조에서 품계별로 정하였고, 공복 단령의 색상을 1·2품은 홍색, 3~6품은 청색, 7품 이하는 녹색으로 규정하였다.[4] 따라서 대과 급제자가 방방의에서 착용한 공복용 단령은 녹색이었음을 알 수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녹공복 Clothing 복식 녹공복(綠公服) 녹공복 綠公服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녹공복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문무과_방방복식 어사화_복두 hasPart
문무과_방방복식 녹공복 hasPart
문무과_방방복식 야자대 hasPart
문무과_방방복식 목홀 hasPart
문무과_방방복식 흑화 hasPart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공복(公服)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314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공복(公服)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869
해설 두산백과 공복[公服]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8545
해설 위키실록사전 공복(公服)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공복(公服)
해설 AKS Encyves 백관의 공복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백관의_공복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88971401187 단행본 유송옥, 『조선왕조 궁중의궤복식』, 수학사, 1991. 수학사
ISBN:9788928509058 단행본 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민속원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84545609
RISS:T15055096 논문 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RISS http://www.riss.kr/link?id=T15055096
KCI:ART002743861 논문 이은주·진덕순, 「조선시대 생원·진사의 방방 복식제도」, 『국학연구』 45, 한국국학진흥원, 202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43861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3쪽.
  2. 진덕순(2019), 앞의 논문, 32쪽.
  3. 진덕순(2019), 앞의 논문, 105쪽.
  4. 『태조실록』 권2, 태조 1년 12월 12일 무오: 예조에서 품계별 관복의 복식을 상정하다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