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eb Resource) |
(→Web Resource)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궁중기록화(宮中記錄畵)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9633 |
|- | |-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숭정전 갑자진연도(崇政殿甲子進宴圖)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472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숭정전 갑자진연도(崇政殿甲子進宴圖)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472 |
2021년 12월 22일 (수) 09:42 판
목차
Definition
(). 궁중행사도의 제작 연원은 15세기부터 관료사회에 크게 성행한 요계{(僚契), 관계(官契), 청계(廳契)}의 결성과 기념화로서의 계회도(契會圖) 제작에서 찾을 수 있다. 관료사회의 계회도 제작 유행을 따라 국가의 특정한 행사 뒤 여기에 참여한 관료들도 행사도를 만들어 나누어 갖게 되었다. 처음에는 보통의 계회도처럼 그림을 계축(契軸)의 형식으로 제작하였으나 17세기를 지나며 화첩과 병풍에도 그리게 되었고 이를 당시에는 계첩(契帖), 계병(契屛)이라 불렀다. 특히 18세기 이후에는 계병이 크게 유행하였다. 다만 모든 계축, 계첩, 계병이 궁중행사도로 그려졌던 것은 아니며 신선도, 고사인물도, 승경(勝景)이나 이상경(理想景)을 주제로 한 산수화로도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다. 궁중행사도는 특히 궁중연향(宮中宴享), 기로소(耆老所), 능행(陵幸), 진하(陳賀)에 관한 그림들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의궤와 궁중행사도 모두 국가 전례에 의거한 의식절차를 그린 것이라 형식이나 표현 양식의 변화가 심하지 않다는 공통점이 있다. 정면관 위주의 묘사, 좌우대칭에 대한 관심, 한 화면에 여러 시점의 공존, 평면적인 화면감각 등의 표현 양식이 큰 변함없이 지속되었던 것이다. 다만 의궤는 18세기 후반 정조년간에 행사도 형식의 그림이 수록되면서 큰 변화를 보였고 궁중행사도도 18세기 후반에 서양화법을 수용하면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궁중행사도의 특징을 규정짓는 이전부터의 기본 양식은 19세기에도 종종 사용되어 궁중행사도의 보수적인 표현 경향을 말해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궁중기록화(宮中記錄畵)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9633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숭정전 갑자진연도(崇政殿甲子進宴圖)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472 | |
참고 | 문화콘텐츠닷컴 | 궁중행사도 |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32204660001 | |
참고 | ||||
참고 | ||||
참고 | ||||
참고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김수진, 「지위·서열·책무의 표상 - 조선 왕실 연향에서의 병풍의 기능과 의의」, 『대동문화연구』 114,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28936 |
논문 | 김수진, 「19세기 궁중 병풍의 제작과 진상 - 장서각 소장 발기의 검토를 중심으로」, 『장서각』 40,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01393 |
논문 | , 「」, 『』 , , . | KCI | |
논문 | , 「」, 『』 , , . | KCI | |
논문 | , 「」, 『』 , , . | KCI | |
단행본 | 서울역사박물관 편, 『조선시대 기록화 채색안료』, 서울역사박물관, 2009. | ||
단행본 | , 『』, , . | ||
단행본 | , 『』, , . | ||
단행본 | , 『』, , .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