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연도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  
+
(). 조선시대 국가와 왕실 차원에서 거행된 각종 의식과 행사를 사실적으로 그린 그림.궁중행사도.키워드궁중연향계회도진찬진연도화성행행도팔첩병개설양반사대부의 집안 행사를 그린 사가기록화(私家記錄畵)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넓은 의미로 볼 때 의궤(儀軌)에 수록된 그림인 의궤도(儀軌圖)도 왕실과 국가의 각종 행사를 시각화한 그림이라는 의미에서 궁중기록화에 포함된다. 그러나 좁은 의미로 쓸 때에는 마치 한 장의 사진처럼 국가 행사를 사실적으로 재현한 궁중의 행사기록화, 즉 궁중행사도(宮中行事圖)를 지칭한다.궁중기록화의 주요 내용은 각종 궁중 연향, 기로소(耆老所), 과거시험과 방방(放榜), 개천의 준천(濬川), 이조와 병조의 인사행정, 진하(陳賀), 책봉(冊封), 능행(陵幸) 등이며, 관례(冠禮), 성균관(成均館) 입학, 회강(會講) 등 왕세자와 관련된 의식도 있다. 이 중에서 궁중연향의 주제는 국초부터 대한제국기까지 매우 빈번하게 그려졌으며 현재 남아 있는 궁중기록화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즉 진작(進爵), 진찬(進饌), 진연(進宴), 양로연(養老宴), 친림기로연(親臨耆老宴), 친림사연(親臨賜宴), 선온(宣醞) 등 각종 궁중의 연향이 모두 그림으로 남아 있다. 현전하는 궁중기록화 중에서 가장 시대가 올라가는 그림은 1535년의 「중묘조서연관사연도(中廟朝書筵官賜宴圖)」이며 가장 시대가 내려가는 그림은 1902년의 「고종임인진연도병(高宗壬寅進宴圖屛)」이다.연원궁중기록화의 제작 연원은 조선초기부터 관료사회에 만연해 있던 계회도(契會圖)의 제작 관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각 관청에 소속된 관료들이 관청별로 계회를 열고 참석한 사람 수대로 기념화를 그려 나누어 갖는 관행이 있었다. 이러한 계회도의 제작 관행은 국가의 특정한 행사나 의례, 혹은 기념할만한 사건 뒤에 참석자들의 자발적인 발의와 합의에 의해 기념화를 그려 나누어 갖는 풍습으로 확산되었다. 이때 행사 모습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기 시작한 데에서 궁중기록화는 시작되었다.주요 작품과 내용16·17세기의 주요 궁중기록화는 1535년 중종이 세자시강원의 서연관들에게 내린 사연을 그린 「중묘조서연관사연도」, 1560년 서총대에서 문무신의 제술(製述)과 기사(騎射)의 실력을 시험한 뒤 베푼 사연을 그린 「서총대친림사연도(瑞葱臺親臨賜宴圖)」, 1664년 함경도에 처음 과거가 개설된 것을 기념하여 제작된 「북새선은도(北塞宣恩圖)」 등이 있다.18세기에는 숙종과 영조가 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기념한 『기사계첩(耆社契帖)』(1719년)과 『기사경회첩(耆社慶會帖)』(1744년), 1743년 성균관에서 작헌례를 마치고 활쏘기를 한 사실을 그린 「대사례도(大射禮圖)」, 1760년 영조가 개천(지금의 청계천)의 준설 사업을 완수하고 만든 『준천계첩(濬川契帖)』, 1795년 정조가 혜경궁을 모시고 사도세자의 현륭원 참배를 위해 화성으로 행차한 사실을 그린 「화성능행도병(華城陵行圖屛)」 등을 주요한 작품으로 꼽을 수 있다. 18세기에는 다른 시기에는 잘 볼 수 없는 내용의 그림이 많아 가장 다채로운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그러나 19세기가 되면 궁중기록화에는 병풍그림이 크게 유행하고 진찬·진연과 진하례(陳賀禮)로 주제가 한정되는 등 매우 형식적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진찬·진연도병은 1848년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에 이르러 전형(典型)이 이루어졌다. 진하도병은 인정전을 중심으로 한 창덕궁의 주요전각들이 파노라마식으로 장대하게 펼쳐지는 형식으로 그려졌다.이외에도 왕권 강화의 움직임이 활발하였던 정조, 순조, 고종 연간에는 「왕세자책례도병(王世子冊禮圖屛)」(1784년),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學圖帖)』(1817년), 『수교도(受敎圖)』(19세기 전반) 같은 왕세자와 관련된 그림들이 그려졌음이 주목된다. 궁중기록화는 당시의 정치적 기류를 민감하게 반영한 그림임을 시사하는 부분이다.특징궁중기록화에는 대개 그림의 제작 동기가 적힌 서발문(序跋文)이 있는데 이를 통해 그림의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다. 또한 거의 모든 경우에 그림 제작에 합의한 관료들의 성명·자호(字號)·생년·본관·거주지·과거 급제년 등을 기록한 좌목(座目)이 수반된다. 이 좌목에 적힌 사람들은 그림 제작의 주체이면서 그림의 소장자임을 시사한다. 이와 같이 궁중기록화는 서발문 및 좌목과 더불어 그림의 제작시기를 분명히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궁중기록화의 제작자는 대부분 도화서의 화원이었는데 제작 화원의 이름이 알려진 경우는 많지 않다. 화원들은 한꺼번에 여러 건을 제작해야 하였으므로 여러 명이 공동작업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완성하기까지 시간도 오래 걸렸다. 궁중기록화는 시대에 따른 양식 변화가 많지 않은 매우 보수성이 강한 그림이다. 즉 정면부감의 시점을 위주로 하되 세부 표현에서는 여러 시점이 공존하는 점, 공필의 채색화인 점, 안정적인 좌우대칭이 선호된 점, 왕을 포함한 왕족은 그려지지 않은 점 등은 대한제국기가 끝날 때까지 변함없이 나타나는 특징이다. 18세기 후반 원근법, 명암법, 투시도법과 같은 서양화법의 수용으로 한층 깊은 공간과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해진 것을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의의궁중회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궁중기록화는 궁중의 의례와 풍속, 미술문화를 탐구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시각자료이다. 궁중기록화의 제작 배경과 양식은 중국이나 일본과 다른 매우 한국적인 독자성을 지니고 있다는 면에서도 궁중기록화의 고유한 특질을 찾을 수 있다. 또한 궁중기록화는 조선시대 도화서 화원의 회화 세계와 채색화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궁중기록화(宮中記錄畵))]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1년 12월 22일 (수) 09:43 판

Definition

(). 조선시대 국가와 왕실 차원에서 거행된 각종 의식과 행사를 사실적으로 그린 그림.궁중행사도.키워드궁중연향계회도진찬진연도화성행행도팔첩병개설양반사대부의 집안 행사를 그린 사가기록화(私家記錄畵)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넓은 의미로 볼 때 의궤(儀軌)에 수록된 그림인 의궤도(儀軌圖)도 왕실과 국가의 각종 행사를 시각화한 그림이라는 의미에서 궁중기록화에 포함된다. 그러나 좁은 의미로 쓸 때에는 마치 한 장의 사진처럼 국가 행사를 사실적으로 재현한 궁중의 행사기록화, 즉 궁중행사도(宮中行事圖)를 지칭한다.궁중기록화의 주요 내용은 각종 궁중 연향, 기로소(耆老所), 과거시험과 방방(放榜), 개천의 준천(濬川), 이조와 병조의 인사행정, 진하(陳賀), 책봉(冊封), 능행(陵幸) 등이며, 관례(冠禮), 성균관(成均館) 입학, 회강(會講) 등 왕세자와 관련된 의식도 있다. 이 중에서 궁중연향의 주제는 국초부터 대한제국기까지 매우 빈번하게 그려졌으며 현재 남아 있는 궁중기록화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즉 진작(進爵), 진찬(進饌), 진연(進宴), 양로연(養老宴), 친림기로연(親臨耆老宴), 친림사연(親臨賜宴), 선온(宣醞) 등 각종 궁중의 연향이 모두 그림으로 남아 있다. 현전하는 궁중기록화 중에서 가장 시대가 올라가는 그림은 1535년의 「중묘조서연관사연도(中廟朝書筵官賜宴圖)」이며 가장 시대가 내려가는 그림은 1902년의 「고종임인진연도병(高宗壬寅進宴圖屛)」이다.연원궁중기록화의 제작 연원은 조선초기부터 관료사회에 만연해 있던 계회도(契會圖)의 제작 관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각 관청에 소속된 관료들이 관청별로 계회를 열고 참석한 사람 수대로 기념화를 그려 나누어 갖는 관행이 있었다. 이러한 계회도의 제작 관행은 국가의 특정한 행사나 의례, 혹은 기념할만한 사건 뒤에 참석자들의 자발적인 발의와 합의에 의해 기념화를 그려 나누어 갖는 풍습으로 확산되었다. 이때 행사 모습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기 시작한 데에서 궁중기록화는 시작되었다.주요 작품과 내용16·17세기의 주요 궁중기록화는 1535년 중종이 세자시강원의 서연관들에게 내린 사연을 그린 「중묘조서연관사연도」, 1560년 서총대에서 문무신의 제술(製述)과 기사(騎射)의 실력을 시험한 뒤 베푼 사연을 그린 「서총대친림사연도(瑞葱臺親臨賜宴圖)」, 1664년 함경도에 처음 과거가 개설된 것을 기념하여 제작된 「북새선은도(北塞宣恩圖)」 등이 있다.18세기에는 숙종과 영조가 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기념한 『기사계첩(耆社契帖)』(1719년)과 『기사경회첩(耆社慶會帖)』(1744년), 1743년 성균관에서 작헌례를 마치고 활쏘기를 한 사실을 그린 「대사례도(大射禮圖)」, 1760년 영조가 개천(지금의 청계천)의 준설 사업을 완수하고 만든 『준천계첩(濬川契帖)』, 1795년 정조가 혜경궁을 모시고 사도세자의 현륭원 참배를 위해 화성으로 행차한 사실을 그린 「화성능행도병(華城陵行圖屛)」 등을 주요한 작품으로 꼽을 수 있다. 18세기에는 다른 시기에는 잘 볼 수 없는 내용의 그림이 많아 가장 다채로운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그러나 19세기가 되면 궁중기록화에는 병풍그림이 크게 유행하고 진찬·진연과 진하례(陳賀禮)로 주제가 한정되는 등 매우 형식적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진찬·진연도병은 1848년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에 이르러 전형(典型)이 이루어졌다. 진하도병은 인정전을 중심으로 한 창덕궁의 주요전각들이 파노라마식으로 장대하게 펼쳐지는 형식으로 그려졌다.이외에도 왕권 강화의 움직임이 활발하였던 정조, 순조, 고종 연간에는 「왕세자책례도병(王世子冊禮圖屛)」(1784년),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學圖帖)』(1817년), 『수교도(受敎圖)』(19세기 전반) 같은 왕세자와 관련된 그림들이 그려졌음이 주목된다. 궁중기록화는 당시의 정치적 기류를 민감하게 반영한 그림임을 시사하는 부분이다.특징궁중기록화에는 대개 그림의 제작 동기가 적힌 서발문(序跋文)이 있는데 이를 통해 그림의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다. 또한 거의 모든 경우에 그림 제작에 합의한 관료들의 성명·자호(字號)·생년·본관·거주지·과거 급제년 등을 기록한 좌목(座目)이 수반된다. 이 좌목에 적힌 사람들은 그림 제작의 주체이면서 그림의 소장자임을 시사한다. 이와 같이 궁중기록화는 서발문 및 좌목과 더불어 그림의 제작시기를 분명히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궁중기록화의 제작자는 대부분 도화서의 화원이었는데 제작 화원의 이름이 알려진 경우는 많지 않다. 화원들은 한꺼번에 여러 건을 제작해야 하였으므로 여러 명이 공동작업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완성하기까지 시간도 오래 걸렸다. 궁중기록화는 시대에 따른 양식 변화가 많지 않은 매우 보수성이 강한 그림이다. 즉 정면부감의 시점을 위주로 하되 세부 표현에서는 여러 시점이 공존하는 점, 공필의 채색화인 점, 안정적인 좌우대칭이 선호된 점, 왕을 포함한 왕족은 그려지지 않은 점 등은 대한제국기가 끝날 때까지 변함없이 나타나는 특징이다. 18세기 후반 원근법, 명암법, 투시도법과 같은 서양화법의 수용으로 한층 깊은 공간과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해진 것을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의의궁중회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궁중기록화는 궁중의 의례와 풍속, 미술문화를 탐구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시각자료이다. 궁중기록화의 제작 배경과 양식은 중국이나 일본과 다른 매우 한국적인 독자성을 지니고 있다는 면에서도 궁중기록화의 고유한 특질을 찾을 수 있다. 또한 궁중기록화는 조선시대 도화서 화원의 회화 세계와 채색화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궁중기록화(宮中記錄畵))]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 [[]] [[]]
[[]] [[]] [[]]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참고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신축진연도병 (辛丑進宴圖屛)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1,03060000,11&pageNo__=5_1_1_0&pageNo=1_1_2_0
참고
참고
참고
참고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 「」, 『』 , , . KCI
단행본 서인화 외편,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1.
단행본 , 『』, ,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