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현영산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Bibliography)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  
+
삼현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 「영산회상 靈山會相」의 한 갈래로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관악합주곡의 하나.내용「영산회상 靈山會相」의 한 갈래로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관악합주곡의 하나. 「관악영산회상 管樂靈山會相」이라고도 하고 「표정만방지곡 表正萬方之曲」, 대풍류(竹風流)라고도 한다. 이 곡을 연주하는 악기는 주로 삼현육각(三絃六角), 즉 피리 2, 대금 1, 해금 1, 장구 1, 좌고 1로 편성된다. 평조회상(平調會相)과 함께 「삼현영산회상」은 하현도드리를 생략하고 8곡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영산회상」과 다른 점의 하나이다.「삼현영산회상」의 상영산은 관악 합주의 백미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매 장단의 장구 점수(點數)는 일정하지만 리듬은 자유스럽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상영산 전 장(全章)의 매 장단의 소요시간이 일정하지 않고, 따라서 불규칙적인 리듬이 생긴다. 즉, 첫박의 떵(雙)은 상영산에 한해서는 기덕(鞭)과 쿵(鼓)으로 갈라치는 주법으로 대신한다.둘째, 첫 장단의 시작 부분이 일제히 시작하는 곡들과는 달리 먼저 장구가 기덕·쿵·기덕을 치고 나면 다음으로 좌고의 쿵과 함께 주 선율의 피리가 시작되고, 이어서 더러더러(搖)와 함께 대금·해금 등 나머지 악기가 소리를 낸다.셋째, 연음형식(連音形式)으로 되어 있는 악곡이라는 점이다. 즉, 주 선율을 연주하는 피리가 한 장단을 끝내고 나면 대금·해금(소금·아쟁) 등 나머지 악기들만의 짧은 가락이 이어지고, 이 가락을 듣고 피리는 장구의 기덕과 함께 다음 장단의 시작을 연주하게 된다.넷째, 전 곡을 통하여 청임종(淸林鐘)·청무역(淸無射)·중청황종(重淸黃鐘) 등 주로 청성(淸聲)이 많다는 점이다. 이러한 청성들을 내기 위하여 피리는 본래의 음자리를 1공씩 치켜 잡아 피리의 최저음공을 개방하고, 임종(林鐘)에서도 피리 고유의 ‘서침’이 가능하도록 잡는다.대금은 청울림과 강렬한 음색을 얻기 위해 역취(力吹)를 하며, 해금은 원산(遠山)을 울림통 중앙에 놓아 음량을 증대시킨다. 상영산이 무용 반주음악으로 쓰일 경우 일정하지 않은 자유스런 리듬이 규칙적인 장단으로 변하며 2분의 1 장단뿐인 첫째 장단은 완전한 한 장단으로 꽉 채워진다.무용반주에 쓰이는 상영산은 향당교주(鄕唐交奏)라고 한다. 삼현도드리의 돌장[回章]은 「현악영산회상」에서는 10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삼현영산회상」에서는 6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현영산회상」 모든 곡의 연주 소요시간은 약 45분이며 반드시 합주음악으로 연주되고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0번째 줄: 10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 ||   
+
| [[삼현영산회상]] ||  ||  ||  || 삼현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 || 삼현영산회상 || 三絃靈山會相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삼현영산회상 ||   
 
|-
 
|-
 
|}
 
|}
21번째 줄: 2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삼현영산회상]] || [[]]  || [[]]  ||  ||
 
|-
 
|-
| [[]] || [[]]  || [[]]  ||  ||
+
| [[삼현영산회상]] || [[]]  || [[]]  ||  ||
 +
|-
 +
| [[삼현영산회상]] || [[]]  || [[]]  ||  ||
 +
|-
 +
| [[삼현영산회상]] || [[]]  || [[]]  ||  ||
 +
|-
 +
| [[삼현영산회상]] || [[]]  || [[]]  ||  ||
 +
|-
 +
| [[삼현영산회상]] || [[]]  || [[]]  ||  ||
 
|-
 
|-
 
 
|}
 
|}
  
35번째 줄: 42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삼현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6944
 +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영산회상(靈山會相)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447
 
|-
 
|-
| 참고 || || ||  ||  
+
| 참고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 || 연례악 ||  || https://ko.wikisource.org/wiki/글로벌_세계_대백과사전/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연례악
 
|-
 
|-
 
 
|}
 
|}
  
49번째 줄: 57번째 줄:
 
| 논문 || 정화자, 「打令에 관한 硏究」, 『청예논총』 4, 청주대 예술문화연구소, 1990. ||  ||  
 
| 논문 || 정화자, 「打令에 관한 硏究」, 『청예논총』 4, 청주대 예술문화연구소, 1990. ||  ||  
 
|-
 
|-
| 논문 || , 「」, 『』 , , . || KCI ||
+
| 논문 || 방광문, 「영산회상(靈山會相)과 삼현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의 상영산(上靈山) 비교」, 『한국음악연구』 3·4, 1974. ||  ||  
|-
 
| 단행본 || , 『』, , . ||  ||  
 
 
|-
 
|-
| 단행본 || , 『』, , . ||  ||  
+
| 논문 || 이혜구, 「영산회상」, 『한국음악연구』, 세광음악출판사, 1984. ||  ||  
 
|-
 
|-
 
|}
 
|}
65번째 줄: 71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신석희"></iframe><br/>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삼현영산회상"></iframe><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신석희'">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삼현영산회상'">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Record]] [[분류:임민혁]]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Record]] [[분류:임민혁]]

2021년 12월 23일 (목) 17:52 판

Definition

삼현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 「영산회상 靈山會相」의 한 갈래로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관악합주곡의 하나.내용「영산회상 靈山會相」의 한 갈래로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관악합주곡의 하나. 「관악영산회상 管樂靈山會相」이라고도 하고 「표정만방지곡 表正萬方之曲」, 대풍류(竹風流)라고도 한다. 이 곡을 연주하는 악기는 주로 삼현육각(三絃六角), 즉 피리 2, 대금 1, 해금 1, 장구 1, 좌고 1로 편성된다. 평조회상(平調會相)과 함께 「삼현영산회상」은 하현도드리를 생략하고 8곡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영산회상」과 다른 점의 하나이다.「삼현영산회상」의 상영산은 관악 합주의 백미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매 장단의 장구 점수(點數)는 일정하지만 리듬은 자유스럽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상영산 전 장(全章)의 매 장단의 소요시간이 일정하지 않고, 따라서 불규칙적인 리듬이 생긴다. 즉, 첫박의 떵(雙)은 상영산에 한해서는 기덕(鞭)과 쿵(鼓)으로 갈라치는 주법으로 대신한다.둘째, 첫 장단의 시작 부분이 일제히 시작하는 곡들과는 달리 먼저 장구가 기덕·쿵·기덕을 치고 나면 다음으로 좌고의 쿵과 함께 주 선율의 피리가 시작되고, 이어서 더러더러(搖)와 함께 대금·해금 등 나머지 악기가 소리를 낸다.셋째, 연음형식(連音形式)으로 되어 있는 악곡이라는 점이다. 즉, 주 선율을 연주하는 피리가 한 장단을 끝내고 나면 대금·해금(소금·아쟁) 등 나머지 악기들만의 짧은 가락이 이어지고, 이 가락을 듣고 피리는 장구의 기덕과 함께 다음 장단의 시작을 연주하게 된다.넷째, 전 곡을 통하여 청임종(淸林鐘)·청무역(淸無射)·중청황종(重淸黃鐘) 등 주로 청성(淸聲)이 많다는 점이다. 이러한 청성들을 내기 위하여 피리는 본래의 음자리를 1공씩 치켜 잡아 피리의 최저음공을 개방하고, 임종(林鐘)에서도 피리 고유의 ‘서침’이 가능하도록 잡는다.대금은 청울림과 강렬한 음색을 얻기 위해 역취(力吹)를 하며, 해금은 원산(遠山)을 울림통 중앙에 놓아 음량을 증대시킨다. 상영산이 무용 반주음악으로 쓰일 경우 일정하지 않은 자유스런 리듬이 규칙적인 장단으로 변하며 2분의 1 장단뿐인 첫째 장단은 완전한 한 장단으로 꽉 채워진다.무용반주에 쓰이는 상영산은 향당교주(鄕唐交奏)라고 한다. 삼현도드리의 돌장[回章]은 「현악영산회상」에서는 10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삼현영산회상」에서는 6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현영산회상」 모든 곡의 연주 소요시간은 약 45분이며 반드시 합주음악으로 연주되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삼현영산회상 삼현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 삼현영산회상 三絃靈山會相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삼현영산회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삼현영산회상 [[]] [[]]
삼현영산회상 [[]] [[]]
삼현영산회상 [[]] [[]]
삼현영산회상 [[]] [[]]
삼현영산회상 [[]] [[]]
삼현영산회상 [[]] [[]]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삼현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6944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영산회상(靈山會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447
참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 연례악 https://ko.wikisource.org/wiki/글로벌_세계_대백과사전/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연례악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정화자, 「打令에 관한 硏究」, 『청예논총』 4, 청주대 예술문화연구소, 1990.
논문 방광문, 「영산회상(靈山會相)과 삼현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의 상영산(上靈山) 비교」, 『한국음악연구』 3·4, 1974.
논문 이혜구, 「영산회상」, 『한국음악연구』, 세광음악출판사, 1984.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