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산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Bibliography)
(Node Description)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죽산마]] || Object || 물품 || || 죽산마(竹散馬) || 죽산마 || 竹散馬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죽산마 || <html><img width="8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1/hanyang/image/죽산마.jpg"/></html>
+
| [[죽산마]] || Object || 의식도구 || 국장 물품 || 죽산마(竹散馬) || 죽산마 || 竹散馬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죽산마 || <html><img width="8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1/hanyang/image/죽산마.jpg"/></html>
 
|-
 
|-
 
|}
 
|}
25번째 줄: 25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고종_국장_행렬_삽화]] || [[isRelatedTo]] || ||
+
| [[덕수궁국장화첩]]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hasPart]] || ||  
|-
 
| [[어장의사진첩]] || [[방상씨]] || [[isRelatedTo]] || ||
 
|-
 
| [[어장의사진첩]] || [[죽안마]] || [[isRelatedTo]] || ||
 
|-
 
| [[덕수궁국장화첩]]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isPostedIn]] ||  ||
 
|-
 
| [[고종_국장_행렬_삽화]] || [[죽안마]] || [[depicts]] || ||
 
|-
 
| [[고종_국장_죽안마_사진]] || [[앨버트_테일러]] || [[creator]]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앨버트_테일러]] || [[creator]]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앨버트_테일러]] || [[creator]] || ||  
41번째 줄: 31번째 줄: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hasPart]]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hasPart]]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인산행렬의_방상씨_사진]] || [[hasPart]]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인산행렬의_죽산마_사진]] || [[hasPart]]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인산행렬의_죽산마_사진]] || [[hasPart]] || ||  
+
| [[인산행렬의_죽산마_사진]] || [[죽산마]] || [[depicts]] || ||  
 
|-
 
|-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죽산마]] || [[depicts]] || ||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죽산마]] || [[depicts]] || ||  
62번째 줄: 52번째 줄:
 
| 해설 ||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죽산마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죽산마
 
| 해설 ||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죽산마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죽산마
 
|-
 
|-
| 해설 || 국립중앙박물관 > 외규장각 의궤 || 죽산마(竹散馬) ||  || https://www.museum.go.kr/uigwe/dosul/dosulView?imginfo=uig_di_284_0153_1.jpg&id=uig_di_284_0153_1.jpg&hl=content@%E7%AB%B9%E6%95%A3%E9%A6%AC%5E%EC%A3%BD%EC%82%B0%EB%A7%88$title@%EC%A3%BD%EC%82%B0%EB%A7%88$ktitle@%E7%AB%B9%E6%95%A3%E9%A6%AC%5E%E7%AB%B9%E7%B9%96%E9%A6%AC$tablename@_BANCHA%5E_CONTENT%5E_DOSUL%5E_HAEJE%5Ebanchaxy%5Euig%5Euig_bancha%5Euig_banchaxy%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level2_content@%E7%AB%B9%E6%95%A3%E9%A6%AC$dosulname@%E7%AB%B9%E6%95%A3%E9%A6%AC%5E%EC%A3%BD%EC%82%B0%EB%A7%88
+
| 해설 || 국립중앙박물관 > 외규장각 의궤 || 죽산마(竹散馬) ||  || https://www.museum.go.kr/uigwe/dosul/dosulView?imginfo=uig_di_284_0153_1.jpg&id=uig_di_284_0153_1.jpg
 
|-
 
|-
 
| 해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죽산마(竹散馬) ||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278&category=A&sWord=죽산마
 
| 해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죽산마(竹散馬) ||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278&category=A&sWord=죽산마
 
|-
 
|-
| 참고 ||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 알림 뉴스 > 코리아넷뉴스 (2019-03-20) || 독립선언을 세계에 알린 앨버트 W. 테일러 || 앨버트 테일러가 촬영한 고종의 국장 모습 사진 수록 ||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1012341
+
| 참고 ||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 알림 뉴스 > 코리아넷뉴스 || 독립선언을 세계에 알린 앨버트 W. 테일러 (2019-03-20, 전한 기자) || 앨버트 테일러가 촬영한 고종의 국장 모습 사진 수록 ||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1012341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죽산마 || 죽산마 검색 결과 20건 || https://museum.seoul.go.kr/www/search/NR_search.do?q_collection=&query=%EC%A3%BD%EC%82%B0%EB%A7%88&org_query=%EC%A3%BD%EC%82%B0%EB%A7%88&sort=&sfield=&museum=&dateterm=&sdate=&edate=&exc_query=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죽산마 || 죽산마 검색 결과 20건 || https://museum.seoul.go.kr/www/search/NR_search.do?q_collection=&query=죽산마&org_query=죽산마&sort=&sfield=&museum=&dateterm=&sdate=&edate=&exc_query=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 인산행렬의 방상씨와 죽산마 || 명칭 인산행렬의 방상씨와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81802> 유물번호 <서16123> 시기1919 / 자료출처『德壽宮國葬畵帖』(京城日報社, 1919) / 내용 고종황제(高宗皇帝) 인산행렬에 참가한 방상씨(方相氏)와 죽산마(竹散馬)의 모습을 포착한 사진자료이다. 오른쪽 위가 방상씨 사진이고, 왼쪽 아래가 죽산마 사진이다.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99&arcvMetaSeq=30671&arcvNo=81802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 인산행렬의 방상씨와 죽산마 || 명칭 인산행렬의 방상씨와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81802> 유물번호 <서16123>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99&arcvMetaSeq=30671&arcvNo=81802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명칭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75780> 유물번호 <서16123> 시기1919 / 자료출처『德壽宮國葬畵帖』(京城日報社, 1919) / 내용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竹散馬)의 모습이다.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99&arcvMetaSeq=26165&arcvNo=75780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명칭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75780> 유물번호 <서16123> 시기1919 / 자료출처 『德壽宮國葬畵帖』(京城日報社, 1919) / 내용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竹散馬)의 모습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99&arcvMetaSeq=26165&arcvNo=75780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컬렉션 > 정치외교 > 황실 ||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명칭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아카이브번호 <103507> / 자료출처 고종장례 / 내용 1919년 3월 3일에 거행된 고종 국장 당시 장의 행렬의 광경을 담은 시리즈엽서(16매)의 하나이다. 사진은 장제장(葬祭場, 영결식장)인 훈련원(訓鍊院, 황금정 6정목 18번지 일대)에서 출발하여 장지인 금곡 홍릉(金谷 洪陵) 이동하는 행로 중 죽산마(竹散馬, 안장이 없는 것)와 죽안마(竹鞍馬, 안장이 있는 것)가 지나고 있는 장면이다. 앞쪽에는 수레에 얹은 방상씨(方相氏)가 보이고, 채여(彩轝)가 뒤를 따르고 있다. 조선식 인산행렬은 덕수궁 영성문(永成門)에서 따로 출발하여 종로(鐘路)를 경유하여 동대문에 대기하였다가 훈련원 쪽에서 나오는 대여행렬과 합류하였다.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4334&arcvMetaSeq=39356&arcvNo=103507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컬렉션 > 정치외교 > 황실 ||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명칭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아카이브번호 <103507> / 자료출처 고종장례 / 내용 1919년 3월 3일에 거행된 고종 국장 당시 장의 행렬의 광경을 담은 시리즈엽서(16매)의 하나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4334&arcvMetaSeq=39356&arcvNo=103507
 
|-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내 한국박물관협회 > MUSEUMNEWS || 서울역사박물관, 3월 3일 고종 인산일 맞아 <고종황제의 마지막 길>展 개최 (2017-03-13) ||  || https://museumnews.kr/17533seoulgj/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내 한국박물관협회 > MUSEUMNEWS || 서울역사박물관, 3월 3일 고종 인산일 맞아 <고종황제의 마지막 길>展 개최 (2017-03-13) ||  || https://museumnews.kr/17533seoulgj/
 
|-
 
|-
| 참고 || 중앙선데이 || 고종황제 마지막 가는 날 종로거리는 … (2009-10-08, 김경진 기자) || UPA 한국 특파원이던 앨버트 테일러가 1919년 3월 3일 촬영한 고종 황제의 국장 장례 행렬. 대나무를 엮어 종이를 붙여 만든 죽안마(竹鞍馬)는 장례행렬을 이끄는 의장품으로 왕과 왕비의 국장 행렬에만 사용된다.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 https://www.joongang.co.kr/article/3812300
+
| 참고 || 중앙선데이 || 고종황제 마지막 가는 날 종로거리는 … (2009-10-08, 김경진 기자) || UPA 한국 특파원이던 앨버트 테일러가 1919년 3월 3일 촬영한 고종 황제의 국장 장례 행렬. 대나무를 엮어 종이를 붙여 만든 죽안마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 https://www.joongang.co.kr/article/3812300
 
|-
 
|-
 
| 참고 || 해찬솔의 역사와 문화유산 || 고종황제 마지막 길 (2017-02-23, 다음 블로그) ||  || https://blog.daum.net/chally624/12884879
 
| 참고 || 해찬솔의 역사와 문화유산 || 고종황제 마지막 길 (2017-02-23, 다음 블로그) ||  || https://blog.daum.net/chally624/12884879
 
|-
 
|-
| 사진 || Doopedia || 덕수궁 국장화첩 || 사진 설명 2015년 5월 22일 서울역사박물관을 다녀왔다. 집에서 이렇게 가까운 박물관을 이제야 찾다니 만시지탄을 금할 수 없었다.이날은 '가리봉 오거리' 특별전시가 열리고 있었고 로비에 전시되어 있는 역대 서울특별시장 선물전도 흥미로웠다. 18세기 수도방위 체계지도 등 다양한 서울관련 사료들이 전시되 있다. / 키워드 서울역사박물관,덕수궁 국장화첩 || https://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view&GAL_IDX=150614000939897#hedaer
+
| 사진 || Doopedia || 덕수궁 국장화첩 || 서울역사박물관,덕수궁 국장화첩 || https://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view&GAL_IDX=150614000939897#hedaer
 
|-
 
|-
 
|}
 
|}
93번째 줄: 83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5835
 
|-
 
|-
| 논문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논문 || 자오성웨이·리샤오위(엮은이), 이성현(옮긴이), 「주르날 제국주의 : 프랑스 화보가 본 중국 그리고 아시아」, 『현실문화』, 현실문화연구,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M15094903
 
|-
 
|-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논문 || 나애리, 「1907년 프랑스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한국인들의 이미지」, 『프랑스문화연구』 11,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78058
 
|-
 
|-
| 논문 || 자오성웨이·리샤오위(엮은이), 이성현(옮긴이), 「주르날 제국주의 : 프랑스 화보가 본 중국 그리고 아시아」, 『현실문화』, 현실문화연구,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M15094903
+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 논문 || 나애리, 「1907년 프랑스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한국인들의 이미지」, 『프랑스문화연구』 11,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 KISS / 네이버 학술정보 > 학술논문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78058 /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442305152
+
| 단행본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 단행본 ||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 단행본 ||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107번째 줄: 97번째 줄:
 
| 단행본 ||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 단행본 ||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http://www.museum.go.kr) > 학술 > 역사학 > 연구보고서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 국립중앙박물관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
 
|}
 
|}
121번째 줄: 111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1900년_박람회_삽화"></iframe>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죽산마"></iframe>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1900년_박람회_삽화'">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죽산마'">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Record]] [[분류:박수정]]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Object]] [[분류:박수정]]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죽산마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물품정보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순조국장도감의궤이_중박.jpg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대표명칭= 죽산마
 
|한자표기= 竹散馬
 
|영문명칭=
 
|이칭=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흉례|흉례(凶禮)]]-[[상례|상례(喪禮)]]-[[발인|발인(發引)]]에 사용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장소=
 
|관련물품= [[죽안마|죽안마(竹鞍馬)]]
 
|관련유물유적=
 
}}
 
 
 
=='''정의'''==
 
조선시대 [[국장]]의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말 모양의 흉의장(凶儀仗)이다.
 
 
 
=='''내용'''==
 
싸리나무와 마른풀, 가마니 등을 엮어서 만든 의장용 말로, 등에 안장이 없는 죽산마(竹散馬)와 안장이 있는 [[죽안마|죽안마(竹鞍馬)]]가 짝이 되어 사용되었다.<br/>
 
죽산마는 검은색으로 칠을 하고, 죽안마는 다양한 색으로 칠해졌다.<br/>
 
발인 행렬에서 작은 가마인 채여(彩輿)의 좌우에 위치하였으며 수레에 실려 운반되었다.<br/>
 
왕은 죽산마 2필, 죽안마 10필이 사용되었고, 왕비는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즉위 전에 훙서한 왕세자·왕세자빈·왕세손 등도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br/>
 
발인 의식이 끝나면 죽산마와 죽안마, 청수안마, 자수안마 등은 정결한 장소에서 불태웠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죽산마(竹散馬) || [[죽안마|죽안마(竹鞍馬)]]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죽산마(竹散馬) || [[숙종국장도감의궤|『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경종국장도감의궤|『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정조국장도감의궤|『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순조국장도감의궤|『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발인|발인(發引)]]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시각자료'''==
 
===갤러리===
 
<gallery>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순조국장도감의궤이_중박.jpg|죽산마<ref>『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정조국장도감의궤_규장각.jpg|죽산마<ref>『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_중박.jpg|죽산마<ref>『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숙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죽산마<ref>『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죽산마<ref>『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경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죽산마<ref>『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죽산마<ref>『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죽산마<ref>『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下)』</ref>
 
</gallery>
 
 
 
=='''주석'''==
 
<references/>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jsessionid=91fhXrPKmHvhqQ5G7JMYYXgy4ypv2vnj6WW1vn4FK6JWxv5h5S09!-1882982091?kind=%EC%A3%BD%EC%82%B0%EB%A7%88(%E7%AB%B9%E6%95%A3%E9%A6%AC)&dataType=n&&lmenuType=a_1 죽산마(竹散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박례경,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278&category=A&sWord=죽산마 죽산마(竹散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물품]]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죽산마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물품정보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순조국장도감의궤이_중박.jpg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대표명칭= 죽산마
 
|한자표기= 竹散馬
 
|영문명칭=
 
|이칭=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흉례|흉례(凶禮)]]-[[상례|상례(喪禮)]]-[[발인|발인(發引)]]에 사용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장소=
 
|관련물품= [[죽안마|죽안마(竹鞍馬)]]
 
|관련유물유적=
 
}}
 
 
 
=='''정의'''==
 
조선시대 [[국장]]의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말 모양의 흉의장(凶儀仗)이다.
 
 
 
=='''내용'''==
 
싸리나무와 마른풀, 가마니 등을 엮어서 만든 의장용 말로, 등에 안장이 없는 죽산마(竹散馬)와 안장이 있는 [[죽안마|죽안마(竹鞍馬)]]가 짝이 되어 사용되었다.<br/>
 
죽산마는 검은색으로 칠을 하고, 죽안마는 다양한 색으로 칠해졌다.<br/>
 
발인 행렬에서 작은 가마인 채여(彩輿)의 좌우에 위치하였으며 수레에 실려 운반되었다.<br/>
 
왕은 죽산마 2필, 죽안마 10필이 사용되었고, 왕비는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즉위 전에 훙서한 왕세자·왕세자빈·왕세손 등도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br/>
 
발인 의식이 끝나면 죽산마와 죽안마, 청수안마, 자수안마 등은 정결한 장소에서 불태웠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죽산마(竹散馬) || [[죽안마|죽안마(竹鞍馬)]]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죽산마(竹散馬) || [[숙종국장도감의궤|『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경종국장도감의궤|『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정조국장도감의궤|『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순조국장도감의궤|『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죽산마(竹散馬) || [[발인|발인(發引)]]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시각자료'''==
 
===갤러리===
 
<gallery>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순조국장도감의궤이_중박.jpg|죽산마<ref>『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정조국장도감의궤_규장각.jpg|죽산마<ref>『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_중박.jpg|죽산마<ref>『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숙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죽산마<ref>『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죽산마<ref>『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경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죽산마<ref>『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죽산마<ref>『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죽산마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죽산마<ref>『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下)』</ref>
 
</gallery>
 
 
 
=='''주석'''==
 
<references/>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jsessionid=91fhXrPKmHvhqQ5G7JMYYXgy4ypv2vnj6WW1vn4FK6JWxv5h5S09!-1882982091?kind=%EC%A3%BD%EC%82%B0%EB%A7%88(%E7%AB%B9%E6%95%A3%E9%A6%AC)&dataType=n&&lmenuType=a_1 죽산마(竹散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박례경,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278&category=A&sWord=죽산마 죽산마(竹散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물품]]
 

2021년 11월 28일 (일) 15:05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시대 국장의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말 모양의 흉의장(凶儀仗)이다. 싸리나무와 마른풀, 가마니 등을 엮어서 만든 의장용 말로, 등에 안장이 없는 죽산마(竹散馬)와 안장이 있는 죽안마(竹鞍馬)가 짝이 되어 사용되었다. 죽산마는 검은색으로 칠을 하고, 죽안마는 다양한 색으로 칠해졌다. 발인 행렬에서 작은 가마인 채여(彩輿)의 좌우에 위치하였으며 수레에 실려 운반되었다. 왕은 죽산마 2필, 죽안마 10필이 사용되었고, 왕비는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즉위 전에 훙서한 왕세자·왕세자빈·왕세손 등도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발인 의식이 끝나면 죽산마와 죽안마, 청수안마, 자수안마 등은 정결한 장소에서 불태웠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죽산마 Object 의식도구 국장 물품 죽산마(竹散馬) 죽산마 竹散馬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죽산마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덕수궁국장화첩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hasPart
고종_국장_행렬_사진 앨버트_테일러 creator
고종_국장_행렬_사진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hasPart
고종_국장_행렬_사진 인산행렬의_죽산마_사진 hasPart
인산행렬의_죽산마_사진 죽산마 depicts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죽산마 depicts
죽산마 죽안마 isRelatedTo
죽산마 고종황제의_마지막_길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 기록유산 Encyves 죽산마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죽산마
해설 국립중앙박물관 > 외규장각 의궤 죽산마(竹散馬) https://www.museum.go.kr/uigwe/dosul/dosulView?imginfo=uig_di_284_0153_1.jpg&id=uig_di_284_0153_1.jpg
해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죽산마(竹散馬)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278&category=A&sWord=죽산마
참고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 알림 뉴스 > 코리아넷뉴스 독립선언을 세계에 알린 앨버트 W. 테일러 (2019-03-20, 전한 기자) 앨버트 테일러가 촬영한 고종의 국장 모습 사진 수록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1012341
참고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죽산마 죽산마 검색 결과 20건 https://museum.seoul.go.kr/www/search/NR_search.do?q_collection=&query=죽산마&org_query=죽산마&sort=&sfield=&museum=&dateterm=&sdate=&edate=&exc_query=
참고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인산행렬의 방상씨와 죽산마 명칭 인산행렬의 방상씨와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81802> 유물번호 <서16123>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99&arcvMetaSeq=30671&arcvNo=81802
참고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명칭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75780> 유물번호 <서16123> 시기1919 / 자료출처 『德壽宮國葬畵帖』(京城日報社, 1919) / 내용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竹散馬)의 모습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99&arcvMetaSeq=26165&arcvNo=75780
참고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컬렉션 > 정치외교 > 황실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명칭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아카이브번호 <103507> / 자료출처 고종장례 / 내용 1919년 3월 3일에 거행된 고종 국장 당시 장의 행렬의 광경을 담은 시리즈엽서(16매)의 하나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4334&arcvMetaSeq=39356&arcvNo=103507
참고 국립중앙박물관 내 한국박물관협회 > MUSEUMNEWS 서울역사박물관, 3월 3일 고종 인산일 맞아 <고종황제의 마지막 길>展 개최 (2017-03-13) https://museumnews.kr/17533seoulgj/
참고 중앙선데이 고종황제 마지막 가는 날 종로거리는 … (2009-10-08, 김경진 기자) UPA 한국 특파원이던 앨버트 테일러가 1919년 3월 3일 촬영한 고종 황제의 국장 장례 행렬. 대나무를 엮어 종이를 붙여 만든 죽안마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https://www.joongang.co.kr/article/3812300
참고 해찬솔의 역사와 문화유산 고종황제 마지막 길 (2017-02-23, 다음 블로그) https://blog.daum.net/chally624/12884879
사진 Doopedia 덕수궁 국장화첩 서울역사박물관,덕수궁 국장화첩 https://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view&GAL_IDX=150614000939897#hedaer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5835
논문 자오성웨이·리샤오위(엮은이), 이성현(옮긴이), 「주르날 제국주의 : 프랑스 화보가 본 중국 그리고 아시아」, 『현실문화』, 현실문화연구, 2019. RISS http://www.riss.kr/link?id=M15094903
논문 나애리, 「1907년 프랑스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한국인들의 이미지」, 『프랑스문화연구』 11,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KISS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78058
단행본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KISS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단행본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KISS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단행본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RISS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단행본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RISS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단행본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