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1911년 ~  1912년】. 경학사(耕學社). 1910년대 초 만주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신민회 간부들이 국내 항일운동의 한계를 절실히 느끼고 제2의 독립운동 기지를 선정할 것과 독립군양성기관으로 무관학교를 설립할 것을 결의하였다. 각 도의 책임자를 선정하여 군자금을 조달하도록 하였고, 그해 여름 이회영(李會榮)·등은 만주로 가서 독립운동의 기지로 적합한 곳을 물색하였다. 1910년 말부터 1911년 초에 걸쳐 이회영 6형제와 이상룡(李相龍)·김창환(金昌煥)·등 각 도의 대표적 인사 100여 명이 가족과 함께 이주하였다. 병농일치의 원칙에 따라 농업개발과 군사교육, 민족의식 고취하여 구국인재를 양성하여 무장항일투쟁을 전개하는 데 교육의 주된 활동목표로 삼았다. 1912~13년에 걸친 흉작으로 인한 운영난으로 1914년 해산하였다. 이후 부민단(扶民團)으로 계승되었고, 부민단은 1919년 3·1운동 직후 한족회(韓族會)로 개편되었다. 이 한족회는 군사기관인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를 설립하고, 신흥강습소의 후신인 신흥학교를 신흥무관학교로 개편하여 독립군 사관을 양성할 수 있었다.  
+
미두(米豆). 현물 없이 약속으로만 미곡을 거래하는 투기행위. 미두라는 말은 인천의 미두거래소에서 유래된 말로 추정된다. 미곡 거래에서 장기청산거래의 목적물로 된 쌀을 정기미(준말로 期米) 또는 ‘미두’라고 불렀다. 미두에 종사하는 사람을 ‘미두장이’‘미두꾼’이라고 부르고, 미두꾼이 모여서 미두거래를 하는 장소를 ‘미두장’이라고 불렀다.1899년 3월 일본인이 주식회사 인천미두거래소를 설립하였다. 1930년 시장규칙이 개정되고, 미두 거래를 단속하여 미두라는 공개도박은 근절되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0번째 줄: 10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경학사]] || Actor || 단체 ||  || 경학사(耕學社) || 경학사 || 耕學社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경학사 || <html><img  width="60" src="http://dh.aks.ac.kr/Encyves/Graph/icons/anti-japan.png"/></html>
+
| [[미두]] || Actor || 단체 ||  || 미두(米豆) || 미두 || 米豆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미두 || <html><img  width="60" src="http://dh.aks.ac.kr/hanyang2/icon/listing.png"/></html>
 
|}
 
|}
  
18번째 줄: 18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미두]] || [[탁류]]  || [[isRelatedTo]]  ||  ||
 
| [[미두]] || [[탁류]]  || [[isRelatedTo]]  ||  ||
|-
 
| [[미두]] || [[지주회시]]  || [[isRelatedTo]]  ||  ||
 
 
|-
 
|-
 
| [[미두]] || [[인천미두거래소]]  || [[isRelatedTo]]  ||  ||
 
| [[미두]] || [[인천미두거래소]]  || [[isRelatedTo]]  ||  ||
 
|-
 
|-
 
| [[미두]] || [[반복창]]  || [[isRelatedTo]]  ||  ||
 
| [[미두]] || [[반복창]]  || [[isRelatedTo]]  ||  ||
|-
 
| [[미두]] || [[인천미두취인소]]  || [[isRelatedTo]]  ||  ||
 
 
|-
 
|-
 
|}
 
|}
50번째 줄: 46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허병식. 「조탕과 미두장, 유원지 혹은 악마굴 -근대도시 인천의 장소정체성-」, 『한국학연구』 45,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30120
 
| 논문 || 허병식. 「조탕과 미두장, 유원지 혹은 악마굴 -근대도시 인천의 장소정체성-」, 『한국학연구』 45,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30120
60번째 줄: 56번째 줄:
 
| 논문 || 김대웅. 「이상 소설 「지주회시(鼅鼄會豕)」에 나타난 자본주의의 문제」, 『어문론총』 85,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8549
 
| 논문 || 김대웅. 「이상 소설 「지주회시(鼅鼄會豕)」에 나타난 자본주의의 문제」, 『어문론총』 85,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8549
 
|-
 
|-
| 논문 || 김민화. "「930년대 부산미곡취인소의 설립과 활동」, 『지역과 역사』 42, 부경역사연구소,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46299
+
| 논문 || 김민화. "「1930년대 부산미곡취인소의 설립과 활동」, 『지역과 역사』 42, 부경역사연구소,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46299
 
|-
 
|-
 
|}
 
|}
78번째 줄: 74번째 줄: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Actor]] [[분류:김혁]]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Concept]] [[분류:김혁]]

2021년 11월 23일 (화) 22:4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미두(米豆). 현물 없이 약속으로만 미곡을 거래하는 투기행위. 미두라는 말은 인천의 미두거래소에서 유래된 말로 추정된다. 미곡 거래에서 장기청산거래의 목적물로 된 쌀을 정기미(준말로 期米) 또는 ‘미두’라고 불렀다. 미두에 종사하는 사람을 ‘미두장이’‘미두꾼’이라고 부르고, 미두꾼이 모여서 미두거래를 하는 장소를 ‘미두장’이라고 불렀다.1899년 3월 일본인이 주식회사 인천미두거래소를 설립하였다. 1930년 시장규칙이 개정되고, 미두 거래를 단속하여 미두라는 공개도박은 근절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미두 Actor 단체 미두(米豆) 미두 米豆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미두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미두 탁류 isRelatedTo
미두 인천미두거래소 isRelatedTo
미두 반복창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미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9906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천미두거래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8075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허병식. 「조탕과 미두장, 유원지 혹은 악마굴 -근대도시 인천의 장소정체성-」, 『한국학연구』 45,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30120
논문 김기성. 「개항기 정기미시장(定期米市場)의 도입과 미곡 거래 방식의 다변화」, 『한국사연구』 191, 한국사연구회, 202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70499
논문 임명진. 「채만식 『濁流』의 ‘장소(場所)’에 관한 일 고찰」, 『현대문학이론연구』 59,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38346
논문 김대웅. 「이상 소설 「지주회시(鼅鼄會豕)」에 나타난 자본주의의 문제」, 『어문론총』 85,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8549
논문 김민화. "「1930년대 부산미곡취인소의 설립과 활동」, 『지역과 역사』 42, 부경역사연구소, 201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46299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