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재학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bliography) |
(→Contextual Relations)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Definition= | + | ==Definition== |
− | 【1885년(고종 22) ~ | + | 【1885년(고종 22) ~ 현재】. 배재학당(培材學堂). 선교사 아펜젤러가 서울의 정동 언덕에 설립한 중등 과정의 근대적인 사립학교. 유교적 구습에 사로잡힌 한국인에게 과학을 이해하도록 하여 사회와 국가에 봉사할 수 있는 일군을 기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배재학당 협성회(協成會)는 서재필이 지리학을 강의하게 된 것을 기회로 이루어졌다. 그 창립 목적은 충군애국지심(忠君愛國之心)의 양성, 회원과의 친목, 서로 협조하여 학습과 선행을 이루며, 전국 동포의 계몽에 있다. 1889년에는 활판소(活版所)를 두어 한글 활자의 주조, 성서 인쇄 뿐 아니라 1897년에는 『조선 그리스도인의 회보』를, 1898년에는 『협성회보』를 발행하였다.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배재학당]] || Actor || 기관 || || 배재학당(培材學堂 1885~ )|| 배재학당 || 培材學堂 || Paichai High School || | + | | [[배재학당]] || Actor || 기관 || || 배재학당(培材學堂 1885~ )|| 배재학당 || 培材學堂 || Paichai High School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배재학당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Graph/icons/school.png"/></html> |
|- | |- | ||
|} | |}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 [[헨리_거하드_아펜젤러]] || [[배재학당]] || [[Founder]] || 창립자 || |
|- | |- | ||
− | | [[ | + | | [[협성회]] || [[배재학당]]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 [[서재필]] || [[배재학당]]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프랭클린_올링거]] || [[배재학당]]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배재학당]] || [[협성회회보]]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배재학당]] || [[배재학당_설립]]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번째 줄: | 44번째 줄: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배재학당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1918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배재학당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1918 | ||
|- | |- | ||
− | | 해설 || 나무위키 || 배재학당 || || https://namu.wiki/배재학당 | + | | 해설 || 나무위키 || 배재학당 || || https://namu.wiki/w/배재학당 |
|- | |- | ||
− | | 해설 || 두산백과 || | + | | 해설 || 두산백과 || 배재학당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1575 |
|- | |- |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시사상식사전 || 배재학당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667&docId=934008&categoryId=43667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시사상식사전 || 배재학당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667&docId=934008&categoryId=43667 | ||
78번째 줄: | 67번째 줄: | ||
| 논문 || 김향숙. 「인성함양을 위한 개화기의 교양교육」, 『대학교양교육연구』 10-2,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20409 | | 논문 || 김향숙. 「인성함양을 위한 개화기의 교양교육」, 『대학교양교육연구』 10-2,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20409 | ||
|- | |- | ||
− | | 논문 || 백낙천. 「주시경의 학문 활동과 신학문의 영향」, | + | | 논문 || 백낙천. 「주시경의 학문 활동과 신학문의 영향」, 『동서인문학』 50, 계명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74679 |
|- | |- | ||
| 논문 || 최청순. 「헨리 G. 아펜젤러의 교육에서 본 배재안항교육의 요소」, 『대학교양교육연구』 6-1, 배재대학교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5084 | | 논문 || 최청순. 「헨리 G. 아펜젤러의 교육에서 본 배재안항교육의 요소」, 『대학교양교육연구』 6-1, 배재대학교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5084 | ||
|- | |- | ||
− | | 논문 || 이정옥. 「협성회의 토론교육과 토론문화의 형성과정」, 『국어국문학』172, 국어국문학회,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 | + | | 논문 || 이정옥. 「협성회의 토론교육과 토론문화의 형성과정」, 『국어국문학』172, 국어국문학회,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35458 |
|- | |- | ||
| 논문 || 서정현. 「근대 정동의 공간 변화와 고종」, 『서울과 역사』 84, 서울역사편찬원, 2013.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76089 | | 논문 || 서정현. 「근대 정동의 공간 변화와 고종」, 『서울과 역사』 84, 서울역사편찬원, 2013.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76089 | ||
|- | |- | ||
| 단행본 || 윤성렬, 『도포 입고 ABC 갓 쓰고 맨손체조 - 신문화의 발상지 배재학당 이야기』, 학민사, 2004. || || | | 단행본 || 윤성렬, 『도포 입고 ABC 갓 쓰고 맨손체조 - 신문화의 발상지 배재학당 이야기』, 학민사, 2004. || || | ||
+ | |- | ||
+ | | 단행본 || 배재학당 편, 『배재학당』, 배재학당, 1991. || || | ||
+ | |- | ||
+ | | 단행본 ||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편, 『아펜젤러와 배재학당』, 배재학당역사박물관, 2010. || || | ||
+ | |- | ||
+ | | 단행본 || 신주백, 강명숙, 『대한민국과 배재학당: 1885_1960』, 배재학당, 2014. || || | ||
+ | |- | ||
+ | | 단행본 || 부길만 박용규 김승수 홍윤표 김해령, 『스물여덟자의 놀이터: 한글보급과 배재학당』, 배재학당역사박물관, 2013. || || | ||
+ | |- | ||
+ | | 단행본 || 송방용, 장경순, 김계원, 유근배, 이선희, 『배재와 나:구술패록 2010』, 배재학당역사박물관, 2011. || || | ||
+ | |- | ||
+ | | 단행본 || 배재백년사편찬위원회, 『배재백년사: 1885-1985』, 배재학당, 1989. || || | ||
+ | |- | ||
+ | | 단행본 || 김도형, 한철호, 김동진, 노형석, 『아펜젤러의 친구들 : 100여 년 전 서양인들의 서울 생활』, 배재학당역사박물관, 2015. || || | ||
+ | |- | ||
+ | | 단행본 || 김종현 외, 『졸업앨범을 통해 본 한국 근대 인물』, 배재학당역사박물관, 2011. || || | ||
|- | |- | ||
|} | |} | ||
100번째 줄: | 105번째 줄: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배재학당"></iframe><br/>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배재학당'"> |
</html> | </html>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Actor]] [[분류:김혁]]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Actor]] [[분류:김혁]] |
2021년 11월 23일 (화) 23:33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1885년(고종 22) ~ 현재】. 배재학당(培材學堂). 선교사 아펜젤러가 서울의 정동 언덕에 설립한 중등 과정의 근대적인 사립학교. 유교적 구습에 사로잡힌 한국인에게 과학을 이해하도록 하여 사회와 국가에 봉사할 수 있는 일군을 기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배재학당 협성회(協成會)는 서재필이 지리학을 강의하게 된 것을 기회로 이루어졌다. 그 창립 목적은 충군애국지심(忠君愛國之心)의 양성, 회원과의 친목, 서로 협조하여 학습과 선행을 이루며, 전국 동포의 계몽에 있다. 1889년에는 활판소(活版所)를 두어 한글 활자의 주조, 성서 인쇄 뿐 아니라 1897년에는 『조선 그리스도인의 회보』를, 1898년에는 『협성회보』를 발행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배재학당 | Actor | 기관 | 배재학당(培材學堂 1885~ ) | 배재학당 | 培材學堂 | Paichai High School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배재학당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헨리_거하드_아펜젤러 | 배재학당 | Founder | 창립자 | |
협성회 | 배재학당 | isRelatedTo | ||
서재필 | 배재학당 | isRelatedTo | ||
프랭클린_올링거 | 배재학당 | isRelatedTo | ||
배재학당 | 협성회회보 | isRelatedTo | ||
배재학당 | 배재학당_설립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배재학당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1918 | |
해설 | 나무위키 | 배재학당 | https://namu.wiki/w/배재학당 | |
해설 | 두산백과 | 배재학당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1575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시사상식사전 | 배재학당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667&docId=934008&categoryId=43667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배재학당역사박물관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9863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백낙천. 「배재학당과 주시경」, 『대학교양교육연구』 1-1, 배재대학교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83797 |
논문 | 안수강.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의 ‘사적’ 문헌을 통해서 본 교육선교」, 『한국교회사학회지』 43, 한국교회사학회,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3544 |
논문 | 김향숙. 「인성함양을 위한 개화기의 교양교육」, 『대학교양교육연구』 10-2,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20409 |
논문 | 백낙천. 「주시경의 학문 활동과 신학문의 영향」, 『동서인문학』 50, 계명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74679 |
논문 | 최청순. 「헨리 G. 아펜젤러의 교육에서 본 배재안항교육의 요소」, 『대학교양교육연구』 6-1, 배재대학교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5084 |
논문 | 이정옥. 「협성회의 토론교육과 토론문화의 형성과정」, 『국어국문학』172, 국어국문학회,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35458 |
논문 | 서정현. 「근대 정동의 공간 변화와 고종」, 『서울과 역사』 84, 서울역사편찬원, 2013.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76089 |
단행본 | 윤성렬, 『도포 입고 ABC 갓 쓰고 맨손체조 - 신문화의 발상지 배재학당 이야기』, 학민사, 2004. | ||
단행본 | 배재학당 편, 『배재학당』, 배재학당, 1991. | ||
단행본 |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편, 『아펜젤러와 배재학당』, 배재학당역사박물관, 2010. | ||
단행본 | 신주백, 강명숙, 『대한민국과 배재학당: 1885_1960』, 배재학당, 2014. | ||
단행본 | 부길만 박용규 김승수 홍윤표 김해령, 『스물여덟자의 놀이터: 한글보급과 배재학당』, 배재학당역사박물관, 2013. | ||
단행본 | 송방용, 장경순, 김계원, 유근배, 이선희, 『배재와 나:구술패록 2010』, 배재학당역사박물관, 2011. | ||
단행본 | 배재백년사편찬위원회, 『배재백년사: 1885-1985』, 배재학당, 1989. | ||
단행본 | 김도형, 한철호, 김동진, 노형석, 『아펜젤러의 친구들 : 100여 년 전 서양인들의 서울 생활』, 배재학당역사박물관, 2015. | ||
단행본 | 김종현 외, 『졸업앨범을 통해 본 한국 근대 인물』, 배재학당역사박물관, 2011.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