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5-18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Contextual Relations)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Links
 
#Links
 
E2022-R5-18A 대사례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대사례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습의 hasContextualElement
+
E2022-R5-18A 대사례_습의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조선_영조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조선_영조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왕의_상복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왕의_상복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백관의_상복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백관의_상복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성균관 hasContextualElement
+
E2022-R5-18A 창경궁_춘당대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춘당대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창덕궁_영화당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창덕궁_영화당 hasContextualElement
 
#End
 
#End
18번째 줄: 17번째 줄:
 
이 활쏘기 의례는 과녁을 맞추는 데 의미를 두는 것이 아니라, 활을 쏘는 사람의 몸가짐을 통해 그 덕행을 관찰하여 인재를 선발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었다.<ref>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9쪽, 32-36쪽.</ref> 그러나 워낙 문신들 중에는 활을 쏠 줄 모르는 사람도 많았고, 무신들도 실수를 범하여 의례를 행할 때 모양을 제대로 갖추지 못할 것을 염려한 영조는 사전에 연습을 진행하도록 지시하였다.<br/>
 
이 활쏘기 의례는 과녁을 맞추는 데 의미를 두는 것이 아니라, 활을 쏘는 사람의 몸가짐을 통해 그 덕행을 관찰하여 인재를 선발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었다.<ref>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9쪽, 32-36쪽.</ref> 그러나 워낙 문신들 중에는 활을 쏠 줄 모르는 사람도 많았고, 무신들도 실수를 범하여 의례를 행할 때 모양을 제대로 갖추지 못할 것을 염려한 영조는 사전에 연습을 진행하도록 지시하였다.<br/>
  
예행 연습(습의, 習儀)은 3번 하도록 했는데, 첫 번째와 두 번째 습의는 춘당대에서 집사관과 사관만 참여하여 행하도록 하였고, 세 번째 습의는 성균관에서 백관이 모두 참여하여 행하도록 하였다. 영조는 4월 30일 창덕궁 영화당에서 습의를 행했다.<br/>
+
예행 연습(습의, 習儀)은 3번 하도록 했는데, 4월 30일 첫 번째와 두 번째 습의는 춘당대에서 집사관과 사관만 참여하여 행하도록 하였고, 세 번째 습의는 창덕궁 영화당에서 행해졌다.<br/>
  
 
습의 복장은 영조와 백관 모두 평상시 집무복인 상복(常服)을 입었다. 왕의 상복은 익선관과 곤룡포로 구성되고, 백관의 상복은 사모와 흑단령으로 구성된다.
 
습의 복장은 영조와 백관 모두 평상시 집무복인 상복(常服)을 입었다. 왕의 상복은 익선관과 곤룡포로 구성되고, 백관의 상복은 사모와 흑단령으로 구성된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43번째 줄: 41번째 줄:
 
| [[E2022-R5-18A]] || [[대사례]] || [[isRelatedTo]] || ||  
 
| [[E2022-R5-18A]] || [[대사례]] || [[isRelatedTo]] || ||  
 
|-
 
|-
| [[E2022-R5-18A]] || [[습의]] || [[isRelatedTo]] || ||  
+
| [[E2022-R5-18A]] || [[대사례의궤]] || [[isRelatedTo]] || ||
 +
|-
 +
| [[E2022-R5-18A]] || [[대사례_습의]] || [[isRelatedTo]] || ||  
 
|-
 
|-
 
| [[E2022-R5-18A]] || [[조선_영조]] || [[isRelatedTo]] || ||  
 
| [[E2022-R5-18A]] || [[조선_영조]] || [[isRelatedTo]] || ||  
51번째 줄: 51번째 줄:
 
| [[E2022-R5-18A]] || [[백관의_상복]] || [[isRelatedTo]] || ||  
 
| [[E2022-R5-18A]] || [[백관의_상복]] || [[isRelatedTo]] || ||  
 
|-
 
|-
| [[E2022-R5-18A]] || [[성균관]] || [[isRelatedTo]] || ||
+
| [[E2022-R5-18A]] || [[창경궁_춘당대]] || [[isRelatedTo]] || ||  
|-
 
| [[E2022-R5-18A]] || [[춘당대]] || [[isRelatedTo]] || ||  
 
 
|-
 
|-
 
| [[E2022-R5-18A]] || [[창덕궁_영화당]] || [[isRelatedTo]] || ||  
 
| [[E2022-R5-18A]] || [[창덕궁_영화당]] || [[isRelatedTo]] || ||  
 
|-
 
|-
| [[왕의_상복]] || [[익선관]] || [[hasPart]] || ||
+
| [[조선_영조]] || [[대사례]] || [[participatesIn]] || ||  
|-
 
| [[왕의_상복]] || [[곤룡포-왕]] || [[hasPart]] || ||
 
|-
 
| [[왕의_상복]] || [[옥대-왕]] || [[hasPart]] || ||  
 
 
|-
 
|-
| [[왕의_상복]] || [[흑피화]] || [[hasPart]] || ||  
+
| [[대사례의궤]] || [[대사례]] || [[documents]] || ||  
 
|-
 
|-
| [[백관의_상복]] || [[사모]] || [[hasPart]] || ||  
+
| [[대사례]] || [[대사례_습의]] || [[hasPart]] || ||  
 
|-
 
|-
| [[백관의_상복]] || [[흑단령]] || [[hasPart]] || ||  
+
| [[대사례_습의]] || [[창경궁_춘당대]] || [[isHeldAt]] || ||  
 
|-
 
|-
| [[백관의_상복]] || [[흉배]] || [[hasPart]] || ||  
+
| [[대사례_습의]] || [[창덕궁_영화당]] || [[isHeldAt]] || ||  
 
|-
 
|-
| [[백관의_상복]] || [[품대]] || [[hasPart]] || ||  
+
| [[왕의_상복]] || [[대사례_습의]] || [[isWornIn]] || ||  
 
|-
 
|-
| [[백관의_상복]] || [[흑피화]] || [[hasPart]] || ||  
+
| [[백관의_상복]] || [[대사례_습의]] || [[isWornIn]] || ||  
 
|-
 
|-
 
|}
 
|}

2022년 12월 15일 (목) 03:44 기준 최신판

영조의 대사례와 복식 》 집무복 입고 활쏘기 연습

Story

활쏘기는 원래 대예(大禮)의 하나로, 선비가 반드시 익혀야 할 기예로 인식되었다. 조선의 대사례는 성종 대에 제도적으로 정비되었지만, 매년 행해지지는 못한 것으로 보이며 중종 대인 1534년에 거행된 이후로 약 200년이 지난 뒤인 1743년 영조에 의해 다시 이루어졌다.

이 활쏘기 의례는 과녁을 맞추는 데 의미를 두는 것이 아니라, 활을 쏘는 사람의 몸가짐을 통해 그 덕행을 관찰하여 인재를 선발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었다.[1] 그러나 워낙 문신들 중에는 활을 쏠 줄 모르는 사람도 많았고, 무신들도 실수를 범하여 의례를 행할 때 모양을 제대로 갖추지 못할 것을 염려한 영조는 사전에 연습을 진행하도록 지시하였다.

예행 연습(습의, 習儀)은 3번 하도록 했는데, 4월 30일 첫 번째와 두 번째 습의는 춘당대에서 집사관과 사관만 참여하여 행하도록 하였고, 세 번째 습의는 창덕궁 영화당에서 행해졌다.

습의 복장은 영조와 백관 모두 평상시 집무복인 상복(常服)을 입었다. 왕의 상복은 익선관과 곤룡포로 구성되고, 백관의 상복은 사모와 흑단령으로 구성된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E2022-R5-18A Story Episode 집무복 입고 활쏘기 연습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5-18A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5-18A 대사례 isRelatedTo
E2022-R5-18A 대사례의궤 isRelatedTo
E2022-R5-18A 대사례_습의 isRelatedTo
E2022-R5-18A 조선_영조 isRelatedTo
E2022-R5-18A 왕의_상복 isRelatedTo
E2022-R5-18A 백관의_상복 isRelatedTo
E2022-R5-18A 창경궁_춘당대 isRelatedTo
E2022-R5-18A 창덕궁_영화당 isRelatedTo
조선_영조 대사례 participatesIn
대사례의궤 대사례 documents
대사례 대사례_습의 hasPart
대사례_습의 창경궁_춘당대 isHeldAt
대사례_습의 창덕궁_영화당 isHeldAt
왕의_상복 대사례_습의 isWornIn
백관의_상복 대사례_습의 isWornI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9쪽, 32-36쪽.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