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2-27D"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
 
<!--
 
#Links
 
#Links
E2022-R2-27D 통명전_야진찬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무신년진찬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통명전_익일야연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무신년진찬_물품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무신년진찬_정재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채선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대모반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목단화준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보상반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선도반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선도반탁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포구문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용알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무신년진찬_악공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무신년진찬_정재여령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선유락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선유락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포구락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검기무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가인전목단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보상무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보상무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헌선도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헌선도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관동무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관동무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처용무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처용무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정재_춘앵전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정재_포구락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지당판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채선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목단화준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대모반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보상반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포구문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용알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선도반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선도반탁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필율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필율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태평소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태평소 hasContextualElement
37번째 줄: 36번째 줄:
 
E2022-R2-27D 양금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양금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교방고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교방고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나각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태평소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홀-笏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홀-笏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1848-통명전_야진찬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만파정식지곡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1848-통명전_야진찬_악기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염양춘지곡 hasContextualElement
E2022-R2-27D 효명세자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성수무강지곡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수제천지곡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가연지곡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취선향지곡 hasContextualElement
 +
E2022-R2-27D 희신춘지곡 hasContextualElement
 
#End
 
#End
 
-->
 
-->
86번째 줄: 88번째 줄:
 
2차 야진연에서는 정재 가인전목단이 가장 처음 추어지는데, 이는 조선말기에 창작된 향악정재의 하나로 순조의 아들인 [[효명세자]](조선 익종)가 동궁대리로 있을 때 아버지를 즐겁게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팔각형 소반 위에 삼지화를 꽂은 꽃병인 [[목단화준]]을 놓고 그 둘레에서 무용수들이 추는데, 가운데 4명은 꽃병에 꽂힌 삼지화의 모란을 꺽으며 즐기고, 사이사이의 에 낀 4명은 꽃은 꺽지 않고 춤만 함께 춘다. 꽃을 꺾은 무원은 원무, 나머지는 협무라고도 한다. <br/>
 
2차 야진연에서는 정재 가인전목단이 가장 처음 추어지는데, 이는 조선말기에 창작된 향악정재의 하나로 순조의 아들인 [[효명세자]](조선 익종)가 동궁대리로 있을 때 아버지를 즐겁게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팔각형 소반 위에 삼지화를 꽂은 꽃병인 [[목단화준]]을 놓고 그 둘레에서 무용수들이 추는데, 가운데 4명은 꽃병에 꽂힌 삼지화의 모란을 꺽으며 즐기고, 사이사이의 에 낀 4명은 꽃은 꺽지 않고 춤만 함께 춘다. 꽃을 꺾은 무원은 원무, 나머지는 협무라고도 한다. <br/>
 
한편 궁중정재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지방 관아 등 민간으로 전파되기도 하고, 민간 연희의 일부가 정제되어 궁중 정재로 편입되기도 했다. 지방에서 먼저 연행되다가 궁중으로 유입된 연희는 검무, 항장무, 선유락, 사자무, 관동무 등이 있는데 이들 정재는 궁중 정재에 포함되면서 변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ref>[http://www.riss.kr/link?id=A76249522 정은경, 「조선시대 선상기(選上妓)에 의한 궁중정재와 민간연희의 교섭」, 『한국민속학』 39, 한국민속학회, 2004.</ref> <br/>
 
한편 궁중정재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지방 관아 등 민간으로 전파되기도 하고, 민간 연희의 일부가 정제되어 궁중 정재로 편입되기도 했다. 지방에서 먼저 연행되다가 궁중으로 유입된 연희는 검무, 항장무, 선유락, 사자무, 관동무 등이 있는데 이들 정재는 궁중 정재에 포함되면서 변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ref>[http://www.riss.kr/link?id=A76249522 정은경, 「조선시대 선상기(選上妓)에 의한 궁중정재와 민간연희의 교섭」, 『한국민속학』 39, 한국민속학회, 2004.</ref> <br/>
선유락의 경우 궁중에서 공연하게 된 계기로 평안도의 평양·안주·성천 등지에서 올라온 선상기<ref>[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선상기(選上妓) 위키 실록사전 ☞ 선상기]</ref>의 활동과 연관이 있다고 본다. 당시 선상기들이 지방에서 공연했던 배따라기곡과 궁중에서 공연했던 선유락은 차이가 있었다. 원래 멀리 뱃길로 사행(使行)을 떠나는 임을 보내는 여인의 정서가 집약된 배따라기 노래의 비장미 대신, 궁중 정재 선유락은 뱃놀이의 풍류를 자랑하는 화려한 볼거리로 성립되었다. 궁중 정재 선유락에서는 배가 떠나는 장면에서 배따라기 노래가 제거됨으로써, 기녀들이 배를 끌고 돌면서 춤추는 절정의 장면이 비장미가 아니라 뱃놀이의 풍류로 연결된다.<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view.do?levelId=km_006_0040_0040_0020_0050 우리역사넷 ☞ 궁중 정재와 민간 연희와 교섭 양상(사진실)]</ref><br/>
+
정재 선유락은 신라의 뱃놀이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1590년에 편찬된 『평양지(平壤志)』에 평양교방에서 공연한 선유락이 발도가(發棹歌)로 기록된 이래, 선유락은 다양한 명칭으로 기재되었다. 강원도 원주와 경상도 진주에서는 선락(船樂)으로, 전라도 무주에서는 선유락으로, 평안도 평양·삼화·성천·정주에서는 발도가(發棹歌)로, 평안도 영변에서는 이선곡(離船曲)으로 불렸다. 궁중에서 선유락이 처음으로 공연된 시기는 1795년(정조 19)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경축하여 화성 봉수당(奉壽堂)에서 열린 진찬(進饌) 때였다. 이후 궁중 연향에서 매우 인기 있는 종목이었다. 선유락이 궁중에서 공연하게 된 계기로 평안도의 평양·안주·성천 등지에서 올라온 선상기<ref>[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선상기(選上妓) 위키 실록사전 ☞ 선상기]</ref>의 활동과 연관이 있다고 본다. 당시 선상기들이 지방에서 공연했던 배따라기곡과 궁중에서 공연했던 선유락은 차이가 있었다. 원래 멀리 뱃길로 사행(使行)을 떠나는 임을 보내는 여인의 정서가 집약된 배따라기 노래의 비장미 대신, 궁중 정재 선유락은 뱃놀이의 풍류를 자랑하는 화려한 볼거리로 성립되었다. 궁중 정재 선유락에서는 배가 떠나는 장면에서 배따라기 노래가 제거됨으로써, 기녀들이 배를 끌고 돌면서 춤추는 절정의 장면이 비장미가 아니라 뱃놀이의 풍류로 연결된다.<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view.do?levelId=km_006_0040_0040_0020_0050 우리역사넷 ☞ 궁중 정재와 민간 연희와 교섭 양상(사진실)]</ref><br/>
 
관동무의 경우 전체 연향 관련된 의궤를 통틀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무신진찬의궤:1848]]에 등장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관동무 역시 향악정재의 하나로 정철의 「관동별곡」을 주제로하여 만들었다. 「관동별곡」은 정철이 1580년(선조 13) 강원도관찰사로 부임할 때 금강산과 동해안의 수려한 경치를 주제로 읊은 장편 가사이다. <br/>
 
관동무의 경우 전체 연향 관련된 의궤를 통틀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무신진찬의궤:1848]]에 등장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관동무 역시 향악정재의 하나로 정철의 「관동별곡」을 주제로하여 만들었다. 「관동별곡」은 정철이 1580년(선조 13) 강원도관찰사로 부임할 때 금강산과 동해안의 수려한 경치를 주제로 읊은 장편 가사이다. <br/>
정재 선유락은 신라의 뱃놀이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1590년에 편찬된 『평양지(平壤志)』에 평양교방에서 공연한 선유락이 발도가(發棹歌)로 기록된 이래, 선유락은 다양한 명칭으로 기재되었다. 강원도 원주와 경상도 진주에서는 선락(船樂)으로, 전라도 무주에서는 선유락으로, 평안도 평양·삼화·성천·정주에서는 발도가(發棹歌)로, 평안도 영변에서는 이선곡(離船曲)으로 불렸다. 궁중에서 선유락이 처음으로 공연된 시기는 1795년(정조 19)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경축하여 화성 봉수당(奉壽堂)에서 열린 진찬(進饌) 때였다. 이후 궁중 연향에서 매우 인기 있는 종목이었다.
+
 
  
  
107번째 줄: 109번째 줄: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 E2022-R2-27D || Story || Episode ||  || 왕실 잔치의 멋을 더해준 물품-공간 장식부터 공연 도구까지 ||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2-27D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episode.png"/></html>  || 2022:이한나
+
| E2022-R2-27D || Story || Episode ||  || 왕실 잔치의 흥을 더해준 정재 - 악기와 공연 도구 ||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2-27D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episode.png"/></html>  || 2022:이한나
 
|}
 
|}
  
116번째 줄: 118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E2022-R2-27D]] || [[1848-통명전_야진찬]] || [[isRelatedTo]] || 
 
 
|-
 
|-
 
| [[E2022-R2-27D]] || [[무신년진찬]] || [[isRelatedTo]] ||   
 
| [[E2022-R2-27D]] || [[무신년진찬]] || [[isRelatedTo]] ||   
 
|-
 
|-
| [[E2022-R2-27D]] || [[1848-통명전_야진찬_악기]] || [[isRelatedTo]] ||   
+
| [[E2022-R2-27D]] || [[무신년진찬_물품]] || [[isRelatedTo]] ||   
 
|-
 
|-
 
| [[E2022-R2-27D]] || [[정재_가인전목단]] || [[isRelatedTo]] ||   
 
| [[E2022-R2-27D]] || [[정재_가인전목단]] || [[isRelatedTo]] ||   
156번째 줄: 156번째 줄:
 
|-
 
|-
 
| [[E2022-R2-27D]] || [[필율]] || [[isRelatedTo]] ||   
 
| [[E2022-R2-27D]] || [[필율]] || [[isRelatedTo]] ||   
|-
 
| [[E2022-R2-27D]] || [[태평소]] || [[isRelatedTo]] || 
 
 
|-
 
|-
 
| [[E2022-R2-27D]] || [[당적]] || [[isRelatedTo]] ||   
 
| [[E2022-R2-27D]] || [[당적]] || [[isRelatedTo]] ||   
183번째 줄: 181번째 줄:
 
| [[E2022-R2-27D]] || [[교방고]] || [[isRelatedTo]] ||   
 
| [[E2022-R2-27D]] || [[교방고]] || [[isRelatedTo]] ||   
 
|-
 
|-
| [[E2022-R2-27D]] || [[나각]] || [[isRelatedTo]] ||   
+
| [[E2022-R2-27D]] || [[나-螺]] || [[isRelatedTo]] ||   
 
|-
 
|-
 
| [[E2022-R2-27D]] || [[태평소]] || [[isRelatedTo]] ||   
 
| [[E2022-R2-27D]] || [[태평소]] || [[isRelatedTo]] ||   
198번째 줄: 196번째 줄:
 
|-
 
|-
 
| [[채선]] || [[정재_선유락]] || [[isUsedIn]] ||   
 
| [[채선]] || [[정재_선유락]] || [[isUsedIn]] ||   
|-
 
| [[대모반]] || [[정재_무산향]] || [[isUsedIn]] || 
 
 
|-
 
|-
 
| [[선도반]] || [[정재_헌선도]] || [[isUsedIn]] ||   
 
| [[선도반]] || [[정재_헌선도]] || [[isUsedIn]] ||   
 
|-
 
|-
 
| [[선도반탁]] || [[정재_헌선도]] || [[isUsedIn]] ||   
 
| [[선도반탁]] || [[정재_헌선도]] || [[isUsedIn]] ||   
|-
 
| [[1848-통명전_야진찬]] || [[1848-통명전_야진찬_악기]] || [[goesWith]] || 
 
|-
 
| [[통명전_야진찬_악기]] || [[필율]] || [[includes]] || 
 
|-
 
| [[통명전_야진찬_악기]] || [[태평소]] || [[includes]] || 
 
 
|-
 
|-
 
|}
 
|}
  
 
* [[Ontology:EKC 2022:Relation]]
 
* [[Ontology:EKC 2022:Relation]]
 
===3D 재현 목록===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text-align:center"
 
! style="width:10%;" | id !! class !! style="width:10%;" | groupName !! style="width:10%;" | partName !! style="width:10%;" | label !! style="width:10%;" | 위키문서 !! 3D_모델_보기 !! 3D_모델_image !! icon !! Semantic Network
 
|-
 
| 지당판 || Object || 물품 || 연향 || 지당판(池塘板) || [[지당판]]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지당판xs.png"width="100"/></html> ||
 
|-
 
| 채선 || Object || 물품 || 정재 선유락 || 채선(彩船) || [[채선]] ||  ||  ||  ||
 
|-
 
| 목단화준 || Object || 물품 || 정재 가인전목단 소품 || 목단화준(牧丹花遵) || [[목단화준]] ||  ||  ||  ||
 
|-
 
| 대모반 || Object || 물품 || 정재 무산향 소품 || 대모반(玳瑁盤) || [[대모반]] ||  ||  ||  ||
 
|-
 
| 보상반 || Object || 물품 || 정재 보상무 소품 || 보상반(寶相盤) || [[보상반]] ||  ||  ||  ||
 
|-
 
| 포구문 || Object || 물품 || 정재 포구락 소품 || 포구문(抛毬門) || [[포구문]]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포구문xs.png"width="100"/></html> ||
 
|-
 
| 용알 || Object || 물품 || 정재 포구락 소품 || 채구(彩毬) || [[용알]]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용알xs.png"width="100"/></html> ||
 
|-
 
| 선도반 || Object || 물품 || 정재 헌선도 소품 || 선도반(仙桃盤) || [[선도반]]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선도반xs.png"width="100"/></html> ||
 
|-
 
| 선도반탁 || Object || 물품 || 정재 헌선도 소품 || 선도반탁(仙桃盤卓) || [[선도반탁]]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선도반탁xs.png"width="100"/></html> ||
 
|-
 
| 필율 || Object || 물품 || 악기 || 피리(觱篥) || [[필율]]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필율xs.png"width="100"/></html> ||
 
|-
 
| 대금 || Object || 물품 || 악기 || 대금(大笒) || [[대금]]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대금xs.png"width="100"/></html> ||
 
|-
 
| 당적 || Object || 물품 || 악기 || 당적(唐笛) || [[당적]]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당적xs.png"width="100"/></html> ||
 
|-
 
| 퉁소 || Object || 물품 || 악기 || 퉁소(洞簫) || [[퉁소]]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퉁소xs.png"width="100"/></html> ||
 
|-
 
| 비파 || Object || 물품 || 악기 || 비파(琵琶) || [[비파]]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비파xs.png"width="100"/></html> ||
 
|-
 
| 해금 || Object || 물품 || 악기 || 해금(奚琴) || [[해금]]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해금xs.png"width="100"/></html> ||
 
|-
 
| 방향 || Object || 물품 || 악기 || 방향(方響) || [[방향]]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방향xs.png"width="100"/></html> ||
 
|-
 
| 장고 || Object || 물품 || 악기 || 장고(杖鼓) || [[장고]]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장고xs.png"width="100"/></html> ||
 
|-
 
| 생-笙 || Object || 물품 || 악기 || 생황(笙簧) || [[생]]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생xs.png"width="100"/></html> ||
 
|-
 
| 현금 || Object || 물품 || 악기 || 거문고(絃琴) || [[현금]]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현금xs.png"width="100"/></html> ||
 
|-
 
| 가야금 || Object || 물품 || 악기 || 가야금(伽倻琴) || [[가야금]]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가야금xs.png"width="100"/></html> ||
 
|-
 
| 아쟁 || Object || 물품 || 악기 || 아쟁(牙箏) || [[아쟁]]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아쟁xs.png"width="100"/></html> ||
 
|-
 
| 양금 || Object || 물품 || 악기 || 양금(洋琴) || [[양금]]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양금xs.png"width="100"/></html> ||
 
|-
 
| 교방고 || Object || 물품 || 악기 || 교방고(敎坊鼓) || [[교방고]]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물품/교방고xs.png"width="100"/></html> ||
 
|-
 
| 나각 || Object || 물품 || 악기 || 나각(螺角) || [[나각]] ||  ||  || <html><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con/나각.jpg"width="100"/></html> ||
 
|-
 
| 태평소 || Object || 물품 || 악기 || 태평소(太平簫) || [[태평소]] ||  ||  || <html><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con/태평소.jpg"width="100"/></html> ||
 
|-
 
| 홀-笏 || Object || 물품 ||  || 홀(笏) || [[홀-笏]] ||  ||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3D2020/복식/홀xs.png"width="100"/></html> ||
 
|-
 
|}
 
  
 
==Web Resource==
 
==Web Resource==
322번째 줄: 254번째 줄: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SBN:8956383286 93670 || 단행본 || 전통예술원 편,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 권1-3, 서울:민속원, 2004, 2005.  || RISS || http://www.riss.kr/link?id=M10415588  
+
| ISBN:8956383286 || 단행본 || 전통예술원 편,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 권1-3, 서울:민속원, 2004, 2005.  || RISS || http://www.riss.kr/link?id=M10415588  
 
|-
 
|-
 
| ISBN:9788929905934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2014. || 국립중앙도서관 ||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10501000000.do?rawid=219104&seojiyear=2015
 
| ISBN:9788929905934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2014. || 국립중앙도서관 ||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10501000000.do?rawid=219104&seojiyear=2015

2023년 11월 2일 (목) 11:25 기준 최신판

2022 3D모델링-물품 2021 3D모델-물품 2020 3D모델링-악기,무용도구

가상재현물로 체험하는 창경궁 통명전의 야진찬 》 왕실 잔치의 흥을 더해준 정재 - 악기와 공연 도구

Story

무신년진찬에서 야진연은 2번 거행되었고, 3월 17일, 3월 19일 각 야진연에서 추어진 정재는 다음과 같다.

3월 17일(양력 4월 20일)

No. 정재명 악곡명 정재 인원 구성 물품
1 정재_포구락 성수무강인 봉죽간자(2인), 좌무 경기(3인), 우무 향기(3인), 봉화(1인), 봉필(1인) 포구문, 용알, 봉화(꽃), 붓과 먹
2 정재_선유락 만파정식지곡 집사(2인), 집로(2인), 거범(1인), 거정(1인), 예선(6인), 무(23인) 채선
3 정재_검기무 무녕지곡 일대(2인), 이대(2인), 삼대(2인), 동기대(2인)
4 정재_처용무 취선향지곡 무(5인), 예차(1인) 처용 가면


3월 19일(양력 4월 22일)

No. 정재명 악곡명 정재 인원 구성 물품
1 정재_가인전목단 염양춘지곡 좌무(4인), 우무(4인) 목단화준
2 정재_보상무 성수무강지곡 좌무(3인), 우무(3인), 봉화(1인), 봉필(1인) 보상반, 항아리, 채구, 봉화(꽃), 붓과 먹
3 정재_헌선도 수제천지곡 봉죽간자(2인), 좌무(1인), 우무(1인), 선모(1인), 봉탁(2인), 봉반(1인) 선도반, 선도반탁
4 정재_관동무 가연지곡 좌무(4인), 우무(4인)
5 정재_처용무 취선향지곡 무(5인), 예차(1인) 처용 가면
6 정재_선유락 만파정식지곡 집사(2인), 집로(2인), 거범(1인), 거정(1인), 예선(6인), 무(23인) 채선
7 정재_춘앵전 희신춘지곡 무(1인) 화문석 (돗자리)

1차 야진연 때 추어진 정재는 4개이고, 2차 야진연 때 추어진 정재는 7개로 2차에 추어진 수가 더 많다. 1차에 당악정재인 포구락이 식순에 있는 반면 2차에는 향악정재인 보상무를 추었다. 포구락과 보상무는 정재에 쓰이는 주요 무용 도구와 의장물이 있고/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무용수가 공을 던져 통과 시키면 꽃을 받고 통과시키지 못하면 얼굴에 먹칠을 한 채 춤을 춘다는 구성이 같다.
2차 야진연에서는 정재 가인전목단이 가장 처음 추어지는데, 이는 조선말기에 창작된 향악정재의 하나로 순조의 아들인 효명세자(조선 익종)가 동궁대리로 있을 때 아버지를 즐겁게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팔각형 소반 위에 삼지화를 꽂은 꽃병인 목단화준을 놓고 그 둘레에서 무용수들이 추는데, 가운데 4명은 꽃병에 꽂힌 삼지화의 모란을 꺽으며 즐기고, 사이사이의 에 낀 4명은 꽃은 꺽지 않고 춤만 함께 춘다. 꽃을 꺾은 무원은 원무, 나머지는 협무라고도 한다.
한편 궁중정재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지방 관아 등 민간으로 전파되기도 하고, 민간 연희의 일부가 정제되어 궁중 정재로 편입되기도 했다. 지방에서 먼저 연행되다가 궁중으로 유입된 연희는 검무, 항장무, 선유락, 사자무, 관동무 등이 있는데 이들 정재는 궁중 정재에 포함되면서 변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1]
정재 선유락은 신라의 뱃놀이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1590년에 편찬된 『평양지(平壤志)』에 평양교방에서 공연한 선유락이 발도가(發棹歌)로 기록된 이래, 선유락은 다양한 명칭으로 기재되었다. 강원도 원주와 경상도 진주에서는 선락(船樂)으로, 전라도 무주에서는 선유락으로, 평안도 평양·삼화·성천·정주에서는 발도가(發棹歌)로, 평안도 영변에서는 이선곡(離船曲)으로 불렸다. 궁중에서 선유락이 처음으로 공연된 시기는 1795년(정조 19)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경축하여 화성 봉수당(奉壽堂)에서 열린 진찬(進饌) 때였다. 이후 궁중 연향에서 매우 인기 있는 종목이었다. 선유락이 궁중에서 공연하게 된 계기로 평안도의 평양·안주·성천 등지에서 올라온 선상기[2]의 활동과 연관이 있다고 본다. 당시 선상기들이 지방에서 공연했던 배따라기곡과 궁중에서 공연했던 선유락은 차이가 있었다. 원래 멀리 뱃길로 사행(使行)을 떠나는 임을 보내는 여인의 정서가 집약된 배따라기 노래의 비장미 대신, 궁중 정재 선유락은 뱃놀이의 풍류를 자랑하는 화려한 볼거리로 성립되었다. 궁중 정재 선유락에서는 배가 떠나는 장면에서 배따라기 노래가 제거됨으로써, 기녀들이 배를 끌고 돌면서 춤추는 절정의 장면이 비장미가 아니라 뱃놀이의 풍류로 연결된다.[3]
관동무의 경우 전체 연향 관련된 의궤를 통틀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무신진찬의궤:1848에 등장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관동무 역시 향악정재의 하나로 정철의 「관동별곡」을 주제로하여 만들었다. 「관동별곡」은 정철이 1580년(선조 13) 강원도관찰사로 부임할 때 금강산과 동해안의 수려한 경치를 주제로 읊은 장편 가사이다.



1일차 야진연에서의 정재 악공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악공: 집사악사(2인), 집박악사(1인), 대오전악(2인), 권착전악(2인), 피리(10인), 대금(10인), 당적(2인), 퉁소(2인), 비파(2인), 해금(4인), 방향(2인), 장고(2인), 생(1인), 거문고(2인), 가야금(2인), 아쟁(2인), 양금(1인), 교방고(2인), 가(1인), 갈고(1인), 서기(2인), 담지(2인)
  • 내취(선유락 정재 때 대령함): 정수(1인), 호적수(2인), 나각수(2인), 자바라수(2인)
  • 정재여령 각 차비: 조촉차비(1인), 집박차비(1인), 선창악장차비(2인), 후창악장차비(2인), 가차비(2인)


2일차 야진연에서의 정재 악공은 1일차와 동일하나 정재여령 각 차비 중 가차비만 빠진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E2022-R2-27D Story Episode 왕실 잔치의 흥을 더해준 정재 - 악기와 공연 도구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2-27D 2022:이한나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E2022-R2-27D 무신년진찬 isRelatedTo
E2022-R2-27D 무신년진찬_물품 isRelatedTo
E2022-R2-27D 정재_가인전목단 isRelatedTo
E2022-R2-27D 정재_포구락 isRelatedTo
E2022-R2-27D 정재_선유락 isRelatedTo
E2022-R2-27D 정재_검기무 isRelatedTo
E2022-R2-27D 정재_처용무 isRelatedTo
E2022-R2-27D 정재_보상무 isRelatedTo
E2022-R2-27D 정재_헌선도 isRelatedTo
E2022-R2-27D 정재_관동무 isRelatedTo
E2022-R2-27D 정재_춘앵전 isRelatedTo
E2022-R2-27D 목단화준 isRelatedTo
E2022-R2-27D 보상반 isRelatedTo
E2022-R2-27D 용알 isRelatedTo
E2022-R2-27D 포구문 isRelatedTo
E2022-R2-27D 채선 isRelatedTo
E2022-R2-27D 선도반 isRelatedTo
E2022-R2-27D 선도반탁 isRelatedTo
E2022-R2-27D 필율 isRelatedTo
E2022-R2-27D 당적 isRelatedTo
E2022-R2-27D 퉁소 isRelatedTo
E2022-R2-27D 비파 isRelatedTo
E2022-R2-27D 해금 isRelatedTo
E2022-R2-27D 방향 isRelatedTo
E2022-R2-27D 장고 isRelatedTo
E2022-R2-27D 생-笙 isRelatedTo
E2022-R2-27D 현금 isRelatedTo
E2022-R2-27D 가야금 isRelatedTo
E2022-R2-27D 아쟁 isRelatedTo
E2022-R2-27D 양금 isRelatedTo
E2022-R2-27D 교방고 isRelatedTo
E2022-R2-27D 나-螺 isRelatedTo
E2022-R2-27D 태평소 isRelatedTo
E2022-R2-27D 홀-笏 isRelatedTo
목단화준 정재_가인전목단 isUsedIn
포구문 정재_포구락 isUsedIn
용알 정재_포구락 isUsedIn
보상반 정재_보상무 isUsedIn
채선 정재_선유락 isUsedIn
선도반 정재_헌선도 isUsedIn
선도반탁 정재_헌선도 isUsedI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원문 디지털장서각 (무신)진찬의궤 권1, 2책-악장, 의주 정재악장, 내진찬의‧야진찬의‧익일회작의‧익일야연의 각 행사 순서 https://jsg.aks.ac.kr/viewer/viewIMok?dataId=K2-2874%7C002&itemCode=TXT_ARC_AA#node?depth=2&upPath=002&dataId=040
원문, 해설 디지털장서각 (무신)진찬의궤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4
원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검색 〉무신년의 궁중 잔치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8693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포구락(抛毬樂)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0128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선유락(船遊樂)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8881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2069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검무(劒舞)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0312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보상무(寶相舞)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3393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춘앵전(春鶯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7982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동무(關東舞)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776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代處容舞合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0893
참고 문화유산채널 〉문화유산칼럼 신년에 걸 맞는 궁중정재(宮中呈才) 처용무(處容舞) http://www.k-heritage.tv/brd/board/256/L/CATEGORY/614/menu/25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614&bbIdx=2845&brdType=R&tab
참고 우리역사넷 궁중 정재와 민간 연희의 교섭 양상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view.do?levelId=km_006_0040_0040_0020_0050
해설 국립고궁박물관 사각유리등 유물번호 창덕26302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21534CL
참고 문화재청 〉새소식 〉보도/설명 조선왕실 밤잔치에 쓰던 사각 유리등 문화상품으로 발매 (2020-10-13) 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2284&sectionId=b_sec_1&mn=NS_01_02
참고 KHeritage 블로그 〉K-HERITAGE 〉한국문화재재단 알림 조선인싸템 '사각유리등' 판매 안내!(Feat. 궁중문화축전키트) (2020-10-23) https://blog.naver.com/khmall_chf/222124056481
참고 SBS > 비디오머그 조선시대 감성 유물 보스몹 '사각유리등' DIY 키트 탄생 설화 (2021-05-05)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304910&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참고 김달진 미술연구소 〉커뮤니티 〉패널리뷰 19세기 조선 왕실의 밤 잔치를 밝힌 유리등 톺아보기 http://www.daljin.com/219/289252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8956383286 단행본 전통예술원 편,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 권1-3, 서울:민속원, 2004, 2005. RISS http://www.riss.kr/link?id=M10415588
ISBN:9788929905934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2014. 국립중앙도서관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10501000000.do?rawid=219104&seojiyear=2015
KCI:ART001231410 논문 손선숙, 「의궤의 검기무 정재도 연구-『진찬의궤』·『진연의궤』를 중심으로」,『무용역사기록학』14, 무용역사기록학회, 200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31410
KCI:ART001288423 논문 손선숙, 「의궤 정재도 가인전목단의 도상학적 연구」,『동방학』15,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0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88423
KCI:ART001937648 논문 박은영, 「의궤에 나타난 춘앵전의 총체적 공연상황」,『한국무용연구』32-3, 한국무용연구학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37648
KCI:ART002081088 논문 김지혜, 「세도 정치기 헌종의 궁중 연향 운용 - 헌종의 어제 악장을 중심으로」,『한국민족문화연구』53, 한민족문화학회, 201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81088
KCI:ART001068783 논문 손선숙, 「향령무 정재도 연구- 『진작의궤』·『진찬의궤』·『진연의궤』를 중심으로」,『한국음악사학보』38, 한국음악사학회, 2007.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68783
RISS:T15320042 논문 이정일, 「헌종대 무신진찬의 정재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RISS http://www.riss.kr/link?id=T15320042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http://www.riss.kr/link?id=A76249522 정은경, 「조선시대 선상기(選上妓)에 의한 궁중정재와 민간연희의 교섭」, 『한국민속학』 39, 한국민속학회, 2004.
  2. 위키 실록사전 ☞ 선상기
  3. 우리역사넷 ☞ 궁중 정재와 민간 연희와 교섭 양상(사진실)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