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여성 단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finition) |
(→Bibliography)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80번째 줄: | 80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 || || || | +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원삼(圓衫)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32 |
+ | |- | ||
+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단삼(團衫)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931 | ||
+ | |- | ||
+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원삼(圓衫)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원삼(圓衫) | ||
+ | |- | ||
+ | | 해설 || AKS Encyves || 원삼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원삼 | ||
+ | |- | ||
+ | | 참고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윤유선 부인 순흥안씨(1551-1609) 복식 || || https://museum.dankook.ac.kr/web/museum/-15?p_p_id=Relic_WAR_museumportlet&_Relic_WAR_museumportlet_RELIC_NB=B009490&_Relic_WAR_museumportlet_action=view_message | ||
+ | |- | ||
+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경기도 남양주 호평 무연고(17세기 전반) 묘 출토 복식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원삼-圓衫/twG5ft_Rt6SmWw?hl=ko | ||
+ | |- | ||
+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경기도 남양주 호평 무연고(17세기 전반) 묘 출토 복식 무 부분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원삼-圓衫/3gFOhQ9wQ1J1Zg?hl=ko | ||
+ | |- | ||
+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경기도 남양주 호평 무연고(17세기 전반) 묘 출토 복식 깃 부분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원삼-圓衫/2wHEVgrGfi8f-A?hl=ko | ||
|- | |- | ||
|} | |} | ||
91번째 줄: | 105번째 줄: |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 || | + | | ISBN:9788970924236 || 단행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98859833&viewType=AH1 |
+ | |- | ||
+ | | ISBN:8970923322 || 단행본 || 박성실·조효숙·이은주,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출판부, 2005. ||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44287520&viewType=AH1 | ||
+ | |- | ||
+ | | KCI:ART001748835 || 논문 || 임현주·조효숙, 「조선시대 원삼의 시기별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63-2, 한국복식학회, 2013.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48835 | ||
+ | |- | ||
+ | | RISS:T12793447 || 논문 || 임현주, 「조선시대 원삼의 유래와 변천과정 연구」,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RISS || http://www.riss.kr/link?id=T12793447 | ||
+ | |- | ||
+ | | RISS:A106868883 || 논문 || 고부자,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연구」, 『한국복식』 27,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9.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6868883 | ||
+ | |- | ||
+ | | KCI:ART000915898 || 논문 || 송미경, 「조선시대 여성 단령에 관한 연구」, 『복식』 52-8, 한국복식학회, 2002.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15898 | ||
|- | |- | ||
|} | |} |
2022년 12월 30일 (금) 22:45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단령 먼저 언급하기.
17세기 여성 단령으로 출토된 복식 중에 해남 윤씨 유심의 배위인 순흥안씨(1551-1609)의 유물이 있다. 수의로 가장 겉에 입었던 옷이다. 둥근 단령 깃이며, 깃 너비는 1.5㎝로 좁은 편이다. 소매 끝에는 한삼이 달려있고, 옆선이 트여있으며, 무는 앞, 뒤판 각기 따로 겹쳐 접었고, 뒷판의 무는 뒷판에 고정시키고, 앞은 접은 윗부분끼리 고정하였다. 여러 가지 사항을 살펴봤을 때 이 옷은 남자의 단령을 고친 것으로 보이지만, 단령의 무처리에 대해 명백히 제시해준 좋은 자료이다.[1]
(삭제)원삼은 대한제국 황후, 황태자비, 조선시대 왕비 이하 내명부, 외명부의 대례복이며, 민간에서도 혼례복으로 착용하는 옷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진 원삼은 깃이 서로 마주하는 대금형의 맞깃 혹은 배자깃으로 불리는 깃이 달려있어 앞자락이 겹치지 않고, 길이는 뒷길이 앞길보다 긴 전단후장며, 바닥까지 이르는 긴 포의 형태이다. 겨드랑이 아래로 길게 트임이 있고 섶과 무가 없다. 두리소매 형태의 넓은 소매가 달렸고, 소매 끝에는 색동과 백색의 한삼(汗衫)을 연결되어 있다. 여밈 방식은 고름이나 매듭단추가 달렸고, 길이가 매우 긴 별도의 대(帶)를 둘러 착용한다. 이러한 형태는 조선 전기 여성이 착용하던 단령(團領)에서 맞깃형태로 변화한 것이다. 조선 후기에 황후는 황원삼(黃圓衫), 왕비는 홍원삼(紅圓衫), 공주와 반가 여인들은 녹원삼(綠圓衫)으로 신분에 따라 색을 구별 하였다.
15~16세기 유물에서 보면,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은 품을 대체로 넉넉하거나 크게 제작했다. 남성 단령의 품이 대부분 50~70㎝인 반면, 이 시기의 원삼은 여자의 옷임에도 불구하고 80~102㎝까지 품이 매우 넓다. 한삼이 달렸거나 달았던 흔적이 발견되고, 이시기 출토 유물의 절반 가량에 흉배가 부착되어 있고, 봉대가 함께 출토되었다.
17세기 초중반은 단령 형태의 원삼(여성 단령)이 대금형의 맞깃 형태로 변해가는 과정중에 있던 시기로, 단령과 원삼의 특징을 동시에 지닌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소매모양에 변화가 생겨 소매 끝에 색동이 처음 등장했고, 홑옷이며, 깃이 둥근 단령 깃에서 점점 마주보는 깃으로 변화되었다. 봉대가 함께 출토되었고, 흉배가 부착된 형태는 감소하였다.
17세기 후반~19세기에는 깃 모양이 마주보는 대금형의 원삼 깃으로 변화하였다. 두 줄 색동과 한삼이 달리고, 밑단이 당의의 곡선과 같은 형태로 변화면서, 앞이 짧고 뒤가 긴 전단후장이 대부분이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17세기_여성_단령 | Clothing | 복식 | 옷 | 17세기 여성 단령(團領) | 17세기 여성 단령 | 團領 | 17th Century Female Dallyeong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7세기_여성_단령 | 2022:김현승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17세기_여성_단령 | 3D-17세기_여성_단령 | isShownBy | ||
3D-17세기_여성_단령 | 17세기_여성_단령 | hasReferenceNote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윤유심 배위 순흥안씨(1551-1609) 유물 도식화 상세 사이즈(㎝): 앞길이 132 / 뒷길이 140, 화장 106, 품 72, 진동 40, 수구 42, 한삼 길이 35, 깃 너비 1.5, 고대 18, 겉섶 길이 (안) 113 / (밖) 133, 겉섶 너비 (위) 19.5 / (아래) 58, 안섶 길이 (안) 94 / (밖) 69.5, 안섶 너비 (위) 9.5 / (아래) 31, 트임 시작점 44, 앞무 길이 (안) 82 / (밖) 80.5, 앞무 너비 10, 뒷무 길이 (안) 90 / (밖) 83, 뒷무 너비 10, 고름 46x3 |
|
김현승 일러스트: 무 펼친모습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무’를 펼친 모습이다. 10㎝ 너비로 4번 접어서 안쪽에 부착한다. 이때 부착은 윗부분만 한다. ‘무’는 앞, 뒤, 좌, 우측에 있고, 모두 안쪽으로 접어 넣어서 윗부분을 고정한다.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윤유선 부인 순흥안씨(1551-1609) 단령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윤유심 배위 순흥안씨(1551-1609) 유물 재료: 비단(Silk) 색상: 전체 남색, 한삼 흰색, 고름 자주색 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 유물은 낡은 옷이므로, 3D는 아래 설명들을 참고하여 새 옷으로 표현한다.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윤유심 배위 순흥안씨(1551-1609) 유물 펼친모습 | |
Google Arts & Culture ☞ 경기도 남양주 호평 무연고 묘 출토 원삼 부분확대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경기도 남양주 호평 무연고 묘 출토 원삼 이 사진은 형태가 비슷한 다른 유물의 ‘무’ 부분이다. 아코디언 형식으로 접힌 ‘무’의 주름 모습을 볼 수 있다. |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7기, 『전통 손바느질 맛·멋』,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2.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단령의 둥근 깃은 이 사진처럼 매듭단추로 고정시킨다. 매듭단추의 색상은 옷과 같은 남색으로 한다. 이 사진은 형태 참고용이다.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고름은 길이 46㎝, 너비 3㎝의 긴 끈 2개로 이루어진다. 한복 저고리 고름 매듯이 외고름으로 매어준다. 고름 색상은 아래 사진처럼 자주색이다.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연꽃넝쿨무늬 유물사진 옷 전체에 연꽃넝쿨무늬가 들어간다.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연꽃넝쿨무늬 일러스트 | |
Google Arts & Culture ☞ 홍씨 초상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초상화에 표현된 옷은 다른 종류의 옷이지만, 깃이 둥근 단령인 것과 옆선이 트여있는 것 등의 유사한 부분을 볼 수 있어 참고자료로 첨부하였다. 이 옷들처럼 가장 겉에 입는 겉옷이므로 3D 제작시 마네킹의 신체 실루엣이 드러나지 않도록 표현해준다. | |
다음 > 블로그 ☞ 400여년전 우리 선조들이 입고...(2009.10.21.)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이 복식을 착용하던 당시에는 속에 받쳐 입는 옷의 가짓수도 많았고, 그 옷들의 품은 상당히 크고 넉넉했다. 현재 제작할 3D 재현품은 크고 넉넉한 속옷들과 몇 겹의 저고리, 치마를 입고 그 위에 걸치는 외투이기 때문에 신체의 실루엣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3D로 재현시 이 부분을 주의하여 가슴이나 허리 굴곡이 드러나지 않는 넉넉한 실루엣으로 표현해준다. (착용모습 참고용 사진들은 모두 16세기 여성의 저고리, 치마를 착장한 모습이다.) | |
트위터 ☞ hanbok_linda(2022.06.03.)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16세기 여성 복식 착용모습 | |
트위터 ☞ worya_(2020.11.19.)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16세기 여성 복식 착용모습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조선시대 우리 옷의 멋과 유행』, 단국대학교출판부, 2011. | 3D-17세기_여성_단령 | references | 16세기 여성 복식 착용모습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원삼(圓衫)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32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단삼(團衫)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931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원삼(圓衫)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원삼(圓衫) | |
해설 | AKS Encyves | 원삼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원삼 | |
참고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윤유선 부인 순흥안씨(1551-1609) 복식 | https://museum.dankook.ac.kr/web/museum/-15?p_p_id=Relic_WAR_museumportlet&_Relic_WAR_museumportlet_RELIC_NB=B009490&_Relic_WAR_museumportlet_action=view_message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경기도 남양주 호평 무연고(17세기 전반) 묘 출토 복식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원삼-圓衫/twG5ft_Rt6SmWw?hl=ko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경기도 남양주 호평 무연고(17세기 전반) 묘 출토 복식 무 부분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원삼-圓衫/3gFOhQ9wQ1J1Zg?hl=ko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경기도 남양주 호평 무연고(17세기 전반) 묘 출토 복식 깃 부분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원삼-圓衫/2wHEVgrGfi8f-A?hl=ko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SBN:9788970924236 | 단행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98859833&viewType=AH1 | |
ISBN:8970923322 | 단행본 | 박성실·조효숙·이은주,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출판부, 2005.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44287520&viewType=AH1 | |
KCI:ART001748835 | 논문 | 임현주·조효숙, 「조선시대 원삼의 시기별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63-2, 한국복식학회, 2013.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48835 |
RISS:T12793447 | 논문 | 임현주, 「조선시대 원삼의 유래와 변천과정 연구」,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RISS | http://www.riss.kr/link?id=T12793447 |
RISS:A106868883 | 논문 | 고부자,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연구」, 『한국복식』 27,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9.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6868883 |
KCI:ART000915898 | 논문 | 송미경, 「조선시대 여성 단령에 관한 연구」, 『복식』 52-8, 한국복식학회, 2002.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15898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