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0-02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 #Links E2022-R0-02B 조선_고종 hasContextualElement E2022-R0-02B 임진년진찬 hasContextualElement E2022-R0-02B 임진진찬의궤 hasContextualElement E2022-R0-02B 임진...)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7번째 줄: 7번째 줄:
 
E2022-R0-02B 경복궁_근정전 hasContextualElement
 
E2022-R0-02B 경복궁_근정전 hasContextualElement
 
E2022-R0-02B 경복궁_강녕전 hasContextualElement
 
E2022-R0-02B 경복궁_강녕전 hasContextualElement
E2022-R0-02B 임진년진찬_찬품 hasContextualElement
+
E2022-R0-02B 임진년진찬_상차림 hasContextualElement
 
E2022-R0-02B 임진년진찬_정재 hasContextualElement
 
E2022-R0-02B 임진년진찬_정재 hasContextualElement
 
E2022-R0-02B 임진년진찬_물품 hasContextualElement
 
E2022-R0-02B 임진년진찬_물품 hasContextualElement
14번째 줄: 14번째 줄:
 
-->
 
-->
  
='''[[S2022-R0-02 | 조선의 마지막 잔치, 임진년진찬과 임인년진연]] 》 조선왕조의 마지막 잔치, 1892년 임진년진찬'''=
+
='''[[S2022-R0-02 | 의궤에 그려진 조선의 첫 진찬과 마지막 연회]] 》 조선왕조의 마지막 잔치, 1892년 임진년진찬'''=
  
 
==Story==
 
==Story==
68번째 줄: 68번째 줄:
 
| [[임진진찬계병]] || [[임진년진찬]] || [[depicts]] ||  ||  
 
| [[임진진찬계병]] || [[임진년진찬]] || [[depicts]] ||  ||  
 
|-
 
|-
| [[임진년진찬_찬품]] || [[임진년진찬]] || [[isProvidedIn]] ||  ||  
+
| [[임진년진찬_상차림]] || [[임진년진찬]] || [[isProvidedIn]] ||  ||  
 
|-
 
|-
 
| [[임진년진찬_정재]] || [[임진년진찬]] || [[isPerformedIn]] ||  ||  
 
| [[임진년진찬_정재]] || [[임진년진찬]] || [[isPerformedIn]] ||  ||  

2022년 12월 24일 (토) 16:27 기준 최신판


의궤에 그려진 조선의 첫 진찬과 마지막 연회 》 조선왕조의 마지막 잔치, 1892년 임진년진찬

Story

조선왕실의 이름으로 행해진 마지막 궁중 잔치인 임진년 진찬은 고종의 망오순(41세)과 즉위 30주년을 경축하기 위하여 1892년 임진년 09월 24일(음력 08월 04일)부터 09월 26일(음력 08월 06일)까지 경복궁에서 거행되었다.

09월 24일, 묘시(오전 6시경)에 경복궁 근정전에서 고종을 주인공으로 왕세자와 문무백관이 참석하는 외진찬을 거행했었으며, 다음날 진시(오전 8시경)에는 경복궁 강녕전에서 고종과 왕비를 주인공으로 세자, 세자빈, 종친 등이 참가하는 내진찬, 같은 날 이경(밤 10시경)에는 강녕전에서 야진찬이 진행되었다. 마지막 날인 9월 26일 진시에는 경복궁 강녕전에서 왕과 왕비가 참석하지 않고 그 동안 수고한 신하들을 위로하기 위하여 왕세자 회작(會酌), 이경에는 왕세자 야연(夜讌)이 이뤄졌다.

임진년 외진찬은 다른 시기의 연향 때와 마찬가지로 국왕에게 아홉 번의 잔을 올리는 진작의(進爵儀), 국왕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송축, 궁중정재무공연 및 왕세자와 신하들에게 술과 음식을 내리는 형식을 진행되었다.

3일간 진행되는 진찬 모습은 《임진진찬계병(壬辰進饌稧屛)》에 생생하게 그려져 있으며, 이는 현재 리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임진진찬의궤(壬辰進饌儀軌)』에는 진찬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있으며, 이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규장학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임진년 진찬에 소요된 비용이 981,858냥정도로 추정되는데, 그중 797,583냥 가량이 음식을 장만하는 데 들었다. 특히 고종에게는 대탁찬안, 찬안, 별행과, 진어미수, 염수, 탕, 대선, 소선, 만두, 차 등의 순서로 음식이 올랐는데, 이 중에는 장식적으로 높게 쌓아 올린 독립된 상차림도 있었다. [1]

정재는 외진찬에서 만수무(선계의 영물인 선도를 올림으로써, 군왕의 만수무강을 축원하고 나라가 평안하며 왕업이 융성, 천만년대까지 계승하라는 내용), 포구락(무용수들이 좌우로 편을 갈라 춤을 추다가 채구를 포구문 위에 뚫린 풍류안에 던지는 놀이 형식의 춤), 가인전목단(모란화준을 가운데 두도 무원이 모란꽃을 꺾으며 추는 춤), 무고(가운데 무고라는 북을 놓고 북채를 들고 북을 어르며 추는 춤), 장생보연지무(군왕의 성수무강과 은택을 하례하고, 나라와 백성이 평안하기를 기원한다는 노래를 부르며 추는 춤) 등이 진행되었다.

임진년 진찬은 고종이 이를 계기로 친정체제(親政體制)를 강화하고 외세침탈에 대응, 국가체제를 확고히 하고자 행한 통치행위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E2022-R0-02B Story Episode 조선왕조의 마지막 잔치, 1892년 임진년진찬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0-02B 2022:이효림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0-02B 임진년진찬 isRelatedTo
E2022-R0-02B 임진진찬의궤 isRelatedTo
E2022-R0-02B 임진진찬계병 isRelatedTo
E2022-R0-02B 조선_고종 isRelatedTo
임진년진찬 조선_고종 isHeldFor 41세
임진년진찬 경복궁_강녕전 isHeldAt 내진찬
임진년진찬 경복궁_근정전 isHeldAt 외진찬
임진진찬의궤 임진년진찬 documents 1893년(고종30)
임진진찬계병 임진년진찬 depicts
임진년진찬_상차림 임진년진찬 isProvidedIn
임진년진찬_정재 임진년진찬 isPerformedIn
임진년진찬_물품 임진년진찬 isUsedIn
임진년진찬_복식 임진년진찬 isWornIn
임진진찬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_장서각 currentLocation
임진진찬의궤 규장각_한국학연구원 currentLocation
임진진찬계병 리움미술관 currentLocatio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