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mantic Data)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 | |- | ||
− | | | + | | 연건 || Clothing || 복식 || 쓰개 || 연건(軟巾) || 연건 || 軟巾 || Yeongeon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연건 || <html><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con/3D/2022/복식/복식-083_연건.png" width="100"/></html> || 2022:김현승 |
|- | |- | ||
|} | |}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width:54%" | {|class="wikitable" style="width:54%"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연건 || 3D-연건 || [[isShownBy]] || || | ||
+ | |- | ||
+ | | 3D-연건 || 연건 || [[hasReferenceNote]] || || | ||
|- | |- | ||
| 조선후기_생원진사_방방복식 || 연건 || [[hasPart]] || || | | 조선후기_생원진사_방방복식 || 연건 || [[hasPart]] || || | ||
47번째 줄: | 51번째 줄: | ||
|- | |- | ||
|} | |} | ||
− | |||
==Web Resource== | ==Web Resource== |
2022년 11월 20일 (일) 22:04 판
목차
Definition
조선시대의 과거제는 태조에 의해 기본 방향이 세워지고 세종대에 이르러서 제도가 정립된다. 성종대에 발간된 『경국대전』에서 과거 제도가 구체적으로 법제화 되었으며, 이후 보완 개정하여 영조대에 『속대전』에 명시된다.[1] 과거시험의 결과가 나오면 합격자를 발표하는데 이를 방방(放榜)이라 하였다.[2]
조선 초기 생원·진사의 방방 복식으로 연건(軟巾)ㆍ난삼(幱衫)ㆍ영대(鈴帶)를 착용하였다. 연건은 검정색 옷감에 종이를 배접하여 만들고 붉은색 실로 고정한 후 실을 뒤로 길게 늘어뜨렸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연건 | Clothing | 복식 | 쓰개 | 연건(軟巾) | 연건 | 軟巾 | Yeongeon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연건 | 2022:김현승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연건 | 3D-연건 | isShownBy | ||
3D-연건 | 연건 | hasReferenceNote | ||
조선후기_생원진사_방방복식 | 연건 | hasPart | ||
조선후기_생원진사_방방복식 | 난삼 | hasPart | ||
조선후기_생원진사_방방복식 | 영대 | hasPart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이은주·진덕순, 「조선시대 생원·진사의 방방 복식제도」, 『국학연구』 45, 한국국학진흥원, 2021. | 3D-연건 | references | 복두도(이진상, 『한주전서』 권2, 아세아문화사, 1980, 374쪽.) 크기(㎝): 설명부분 참고 재료: 종이, 비단, 실 색상: 검은색 비단, 빨간색 실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
김원대, 『조선시대의 관모』, 온양민속박물관, 1988. | 3D-연건 | references | 연건 앞모습, 뒷모습 연건은 검정색 비단으로 제작하며, 뒤에 세 개의 빨간색 실로 만든 술이 늘여져 있다. 지름: 18㎝, 높이: 18.5㎝ |
|
김아람 일러스트: 연건 | 3D-연건 | references | 연건 전개도 연건 접었을 때 옆모습 라인 전개도의 연두색 부분끼리 뒤로 돌아 맞닿는다. 뒤의 사각 부분이 마지막에 덮는 형태이다. |
|
김원모·정성길, 『사진으로 본 백년 전의 한국』, 가톨릭출판사, 1997. | 3D-연건 | references | 연건 착용 모습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김원대:1988:조선시대의관모 | 단행본 | 김원대, 『조선시대의 관모』, 온양민속박물관, 1988. | 온양민속박물관 | |
김원모:1997:사진으로 본 백년 전의 한국 | 단행본 | 김원모·정성길, 『사진으로 본 백년 전의 한국』, 가톨릭출판사, 1997. | 가톨릭출판사 | |
RISS:T15055096 | 논문 | 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055096 |
KCI:ART002743861 | 논문 | 이은주·진덕순, 「조선시대 생원·진사의 방방 복식제도」, 『국학연구』 45, 한국국학진흥원,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43861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