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계회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1606년 봄】. <금오계회도(金吾契會圖)>는 선조 39년, 의금부(금오는 의금부의 별칭) 소속 종4품 경력 2명과 종5품 도사(都事) 8...)
 
(Contextual Relations)
 
31번째 줄: 31번째 줄:
 
| [[유근-1549]] || [[금오계회]]  || [[participatesIn]]  ||  ||
 
| [[유근-1549]] || [[금오계회]]  || [[participatesIn]]  ||  ||
 
|-
 
|-
| [[금오계회도]] || [[금오계회]]  || [[isRelatedTo]]  ||  ||
+
| [[예안김씨가전계회도일괄]] || [[금오계회도]]  || [[hasPart]]  ||  ||
 +
|-
 +
| [[금오계회도]] || [[금오계회]]  || [[depicts]]  ||  ||
 +
|-
 +
| [[금오계회]] || [[잠두봉]]  || [[isHeldAt]]  ||  ||
 
|-
 
|-
 
| [[금오계회도]] || [[잠두봉]]  || [[isRelatedTo]]  ||  ||
 
| [[금오계회도]] || [[잠두봉]]  || [[isRelatedTo]]  ||  ||
 +
|-
 +
| [[금오계회도]] || [[의금부]]  || [[isRelatedTo]]  ||  ||
 
|-
 
|-
 
|}
 
|}

2021년 11월 8일 (월) 12:4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1606년 봄】. <금오계회도(金吾契會圖)>는 선조 39년, 의금부(금오는 의금부의 별칭) 소속 종4품 경력 2명과 종5품 도사(都事) 8명 10명의 모임을 기념해서 그린 것이다. 참여자 10명 가운데 《선조실록》에서 1606년대에 의금부에 재직했던 인사로는 김응익밖에 확인되지 않는다.

 다른 계회도와는 달리 참여자의 생년과 호, 사마시 급제년도까지 소상히 밝혀놓았으며 참여자 본인보다 아버지를 위로 높여 썼다. 
 유홍준 교수는 "계회도의 작성연대가 16세기 중반으로 이른 시기인데다 그림의 격조가 감상화로서 조금도 손색이 없다" 라고 말하고 "특히 소장내력이 확실해 더없이 귀중한 작품" 이라고 밝혔다.

출처:https://www.joongang.co.kr/article/3963720#home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금오계회도 Object 그림 기록화 금오계회도《金吾契會圖)》 금오계회도 金吾契會圖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금오계회도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김지선 금오계회 participatesIn
이중계 금오계회 participatesIn
김몽호 금오계회 participatesIn
유근-1549 금오계회 participatesIn
예안김씨가전계회도일괄 금오계회도 hasPart
금오계회도 금오계회 depicts
금오계회 잠두봉 isHeldAt
금오계회도 잠두봉 isRelatedTo
금오계회도 의금부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문화재청 > 문화유산검색 > 문화재종목별검색 금오계회도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2116160000&pageNo=1_1_2_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안휘준, 「한국 절파화풍의 연구」,『미술자료』 20호, 국립중앙박물관, 1997. RISS http://www.riss.kr/link?id=A101248808
단행본 안휘준,『한국 회화사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시공사, 2000
단행본 유홍준·이태호 『만남과 헤어짐의 미학 – 조선시대 계회도와 전별시』, 학고재, 2000.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