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청통상조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Semantic Data)
(Bibliography)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1851년(철종 2) ~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明成皇后). 조선 26대 왕이자 대한제국 황제인 [[고종황제|고종]]의 비.  
+
【1899년 9월 11일】. 한청통상조약(韓淸通商條約). 1899년 9월 11일 대한국의 전권(全權) 박제순과 대청국의 전권 서수붕 사이에 체결된 한·청 양국의 우호·왕래·통상에 관한 조약. 한국과 중국의 통일왕조가 역사상 처음으로 서로 대등한 관계에서 체결한 근대적 조약이란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국립중앙도서관에는 원문을 소장하고 있는데. 표지에 대한국대청국통상조약이라 쓰여 있으며, 겉표지 포함 총 21쪽. 한문으로 작성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어 있다.본 조약은 총 15개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관 여흥. 아버지는 [[민치록 | 민치록(閔致祿)]], 어머니는 [[한창부부인_이씨|한창부부인 이씨]]이다. 1866년(고종 3) [[흥선대원군_이하응|흥선대원군]]과 [[부대부인_민씨|부대부인 민씨]]에 의해 왕비로 간택되었다. 시아버지 흥선대원군과 정치적 입장이 달라 [[임오군란]] 때 궁중을 탈출했다가 돌아온 적이 있고 <u>[[갑신정변]]이 무위에 그치는 데 일조를 했다</u><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297 명성황후(明成皇后),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는 평가가 있다. 19세기 말 내외의 격동 속에서 고종과 함께 국정을 주도하고자 했으나 1895년 일본군에 의해 경복궁에서 시해되었다. 1897년(광무 1) 명성이라는 시호가 부여되었고, 고종의 황제 즉위와 [[대한제국]] 선포 직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고종과 함께 경기도 남양주 금곡의 [[홍릉_洪陵|홍릉]]에 합장되어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1번째 줄: 10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한청통상조약]] || Actor || 단체 ||  || 한청통상조약(韓淸通商條約)|| 한청통상조약 || 韓淸通商條約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한청통상조약 ||   
+
| [[한청통상조약]] || Event || 사건 ||  || 한청통상조약(韓淸通商條約) || 한청통상조약 || 韓淸通商條約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한청통상조약 ||   
 
|-
 
|-
 
|}
 
|}
  
 
* [[Ontology:Class 2021]]
 
* [[Ontology:Class 2021]]
 +
 +
===Contextu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박제순]] || [[한청통상조약]]  || [[]]  ||  ||
+
| [[박제순]] || [[한청통상조약]]  || [[administrates]]  ||  ||
 
|-
 
|-
| [[서수붕]] || [[한청통상조약]]  || [[]]  ||  ||
+
| [[서수붕]] || [[한청통상조약]]  || [[administrates]]  ||  ||
 
|-
 
|-
| [[대한국대청국통상조약]] || [[한청통상조약]]  || [[]]  ||  || 국립중앙도서관에 원본 소장,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1호
+
| [[대한국대청국통상조약]] || [[국립중앙도서관]]  || [[currentLocation]]  ||  || 국립중앙도서관에 원본 소장,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1호
 
|-
 
|-
| [[대한국새]] || [[한청통상조약]]  || [[]]  ||  ||
+
| [[대한국새]] || [[한청통상조약]]  || [[includes]]  ||  ||
 
|-
 
|-
 
|}
 
|}
  
 
* [[Ontology:Relation 2021]]
 
* [[Ontology:Relation 2021]]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Web Resource==
50번째 줄: 49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임찬혁, 「20세기 初葉 한·중 관계의 변화와 間島 한인의 管理」, 『한국근현대사연구』 96, 한국근현대사학회, 2021. || KCI ||  
+
| 논문 || 임찬혁, 「20세기 初葉 한·중 관계의 변화와 間島 한인의 管理」, 『한국근현대사연구』 96, 한국근현대사학회,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04274
 
|-
 
|-
 
| 논문 || 방향, 「開港後 한국의 對淸通商交涉의 변화와 近代外交關係의 수립」,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13. ||  ||  
 
| 논문 || 방향, 「開港後 한국의 對淸通商交涉의 변화와 近代外交關係의 수립」,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13. ||  ||  
 
|-
 
|-
| 논문 || 이재석, 「한청통상조약 연구」, 『대한정치학회보』 19-2, 대한정치학회, 2011. || ||  
+
| 논문 || 이재석, 「한청통상조약 연구」, 『대한정치학회보』 19-2, 대한정치학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02230
 
|-
 
|-
 
| 논문 || 서영희, 「한청통상조약 이후 韓中 외교의 실제와 상호 인식」, 『東北亞歷史論叢』 13, 동북아역사재단, 2006. ||  ||  
 
| 논문 || 서영희, 「한청통상조약 이후 韓中 외교의 실제와 상호 인식」, 『東北亞歷史論叢』 13, 동북아역사재단, 2006. ||  ||  
 
|-
 
|-
| 논문 || 이은자, 「韓淸通商條約 시기(1900~1905) 중국의 在韓 치외법권 연구」, 『明淸史硏究』 26, 명청사학회, 2006. || KCI ||  
+
| 논문 || 이은자, 「韓淸通商條約 시기(1900~1905) 중국의 在韓 치외법권 연구」, 『明淸史硏究』 26, 명청사학회, 200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29325
 
|-
 
|-
| 논문 || 김종성, 「韓淸通商條約이 兩國間 貿易에 미친 影響에 關한 硏究」, 『사림』 25, 수선사학회, 2006. || KCI ||  
+
| 논문 || 김종성, 「韓淸通商條約이 兩國間 貿易에 미친 影響에 關한 硏究」, 『사림』 25, 수선사학회, 200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15950
 
|-
 
|-
| 논문 || 구범진, 「韓淸通商條約」 일부 條文의 해석을 둘러싼 한-청의 외교 분쟁」, 『대구사학』 83, 대구사학회, 2006. || KCI ||  
+
| 논문 || 구범진, 「韓淸通商條約」 일부 條文의 해석을 둘러싼 한-청의 외교 분쟁」, 『대구사학』 83, 대구사학회, 200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10615
 
|-
 
|-
 
| 단행본 ||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외교사편찬위원회,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 근대 편』, 동북아역사재단, 2018. ||  ||  
 
| 단행본 ||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외교사편찬위원회,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 근대 편』, 동북아역사재단, 2018. ||  ||  
69번째 줄: 68번째 줄:
 
|-
 
|-
 
|}
 
|}
 +
 +
==Notes==
 +
 +
<references/>
 +
 +
 +
==Semantic Network Graph==
 +
 +
<html>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한청통상조약"></iframe><br/>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한청통상조약'">
 +
</html>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Record]] [[분류:임민혁]]

2021년 11월 2일 (화) 09:11 기준 최신판

Definition

【1899년 9월 11일】. 한청통상조약(韓淸通商條約). 1899년 9월 11일 대한국의 전권(全權) 박제순과 대청국의 전권 서수붕 사이에 체결된 한·청 양국의 우호·왕래·통상에 관한 조약. 한국과 중국의 통일왕조가 역사상 처음으로 서로 대등한 관계에서 체결한 근대적 조약이란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국립중앙도서관에는 원문을 소장하고 있는데. 표지에 대한국대청국통상조약이라 쓰여 있으며, 겉표지 포함 총 21쪽. 한문으로 작성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어 있다.본 조약은 총 15개조로 구성되어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한청통상조약 Event 사건 한청통상조약(韓淸通商條約) 한청통상조약 韓淸通商條約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한청통상조약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박제순 한청통상조약 administrates
서수붕 한청통상조약 administrates
대한국대청국통상조약 국립중앙도서관 currentLocation 국립중앙도서관에 원본 소장,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1호
대한국새 한청통상조약 includes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한국대청국통상조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4934
해설 나무위키 한청통상조약 https://namu.wiki/w/한청통상조약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임찬혁, 「20세기 初葉 한·중 관계의 변화와 間島 한인의 管理」, 『한국근현대사연구』 96, 한국근현대사학회, 202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04274
논문 방향, 「開港後 한국의 對淸通商交涉의 변화와 近代外交關係의 수립」,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13.
논문 이재석, 「한청통상조약 연구」, 『대한정치학회보』 19-2, 대한정치학회, 201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02230
논문 서영희, 「한청통상조약 이후 韓中 외교의 실제와 상호 인식」, 『東北亞歷史論叢』 13, 동북아역사재단, 2006.
논문 이은자, 「韓淸通商條約 시기(1900~1905) 중국의 在韓 치외법권 연구」, 『明淸史硏究』 26, 명청사학회, 200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29325
논문 김종성, 「韓淸通商條約이 兩國間 貿易에 미친 影響에 關한 硏究」, 『사림』 25, 수선사학회, 200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15950
논문 구범진, 「韓淸通商條約」 일부 條文의 해석을 둘러싼 한-청의 외교 분쟁」, 『대구사학』 83, 대구사학회, 200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10615
단행본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외교사편찬위원회,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 근대 편』, 동북아역사재단, 2018.
단행본 최덕수ㆍ김소영ㆍ성숙경ㆍ한승훈ㆍ김지형, 『조약으로 본 한국 근대사』, 열린책들, 2010.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