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중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Web Resource)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1851년(철종 2) ~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明成皇后). 조선 26대 왕이자 대한제국 황제인 [[고종황제|고종]]의 비.
+
【1908년】. 설중매(雪中梅). 1908년 일본 작가의 작품을 구연학이 번안하여 회동서관(匯東書館)에서 발행한 정치소설. 자유와 독립을 위해 정치운동을 벌이는 새시대의 선구적 지식인 이태순과 개화운동에 매진하는 신여성 장매선이 가약을 맺기에 이른다는 줄거리이다. 갑오개혁 후의 현실을 그리고 있는 소설은 현실정치의 비판과 연희개량(演戱改良)을 논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본관 여흥. 아버지는 [[민치록 | 민치록(閔致祿)]], 어머니는 [[한창부부인_이씨|한창부부인 이씨]]이다. 1866년(고종 3) [[흥선대원군_이하응|흥선대원군]]과 [[부대부인_민씨|부대부인 민씨]]에 의해 왕비로 간택되었다. 시아버지 흥선대원군과 정치적 입장이 달라 [[임오군란]] 때 궁중을 탈출했다가 돌아온 적이 있고 <u>[[갑신정변]]무위에 그치는 데 일조를 했다</u><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297 명성황후(明成皇后),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는 평가가 있다. 19세기 말 내외의 격동 속에서 고종과 함께 국정을 주도하고자 했으나 1895년 일본군에 의해 경복궁에서 시해되었다. 1897년(광무 1) 명성이라는 시호가 부여되었고, 고종의 황제 즉위와 [[대한제국]] 선포 직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고종과 함께 경기도 남양주 금곡의 [[홍릉_洪陵|홍릉]]에 합장되어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1번째 줄: 10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공립협회]] || Actor || 단체 ||  || 공립협회(共立協會)|| 공립협회 || 共立協會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공립협회 ||   
+
| [[설중매]] || Record || 소설 ||  || 설중매(雪中梅) || 설중매 || 雪中梅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설중매 ||   
 
|-
 
|-
 
|}
 
|}
  
 
* [[Ontology:Class 2021]]
 
* [[Ontology:Class 2021]]
 +
 +
===Contextu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민치록]] || [[명성황후]]  || [[hasDaughter]]  || 부-녀 ||
+
| [[설중매]] || [[회동서관]]  || [[printedBy]]  || ||
 
|-
 
|-
| [[한창부부인_이씨]] || [[명성황후]] || [[hasDaughter]] || 모-녀 ||
+
| [[스에히로_텟쵸]] || [[설중매]] || [[creator]] || || 원작자.
 
|-
 
|-
| [[고종황제]] || [[명성황후]] || [[hasWife]] ||  ||
+
| [[구연학]] || [[설중매]] || [[translator]] ||  ||
 
|-
 
|-
| [[명성황후]] || [[로즈_푸트]] || [[isMentionedBy]] || ||초대 미국 공사 루시어스 푸트(Lucius Foote, 재임: 1883~1885)의 부인.
+
| [[이태순]] || [[설중매]] || [[hero]] || ||
 +
|-
 +
| [[장매선]] || [[설중매]]  || [[hero]]  ||  ||
 
|-
 
|-
 
 
|}
 
|}
  
 
* [[Ontology:Relation 2021]]
 
* [[Ontology:Relation 2021]]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Web Resource==
40번째 줄: 40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설중매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설중매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9091
 
|-
 
|-
| 해설 || 위키백과 || 설중매 ||  || https://ko.wikipedia.org/wiki/설중매
+
| 참고 || 위키백과 || 번안소설 ||  || https://ko.wikipedia.org/wiki/번안소설
 
|-
 
|-
 
|}
 
|}
51번째 줄: 51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강상규, 「명성왕후와 대원군의 정치적 관계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40-2, 한국정치학회, 200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17449
+
| 논문 || 노연숙, 「일본 정치소설의 수용과 한국 신소설의 다층화 - 구연학의『설중매』와 스에히로 텟초의『雪中梅』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59, 인문학연구원, 200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63347
 +
|-
 +
| 논문 || 표세만, 「『셋츄바이』와 『설중매』의 계몽주의― 남여 인물조형을 중심으로 ―」, 『일본학보』 61, 한국일본학회, 200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50242
 +
|-
 +
| 논문 || 최원식, 「《雪中梅》연구」, 『한국학연구』 3,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1991. ||  ||
 +
|-
 +
| 단행본 || 최원식, 『한국계몽주의 문학사론』, 소명, 2002. ||  ||
 
|-
 
|-
| 단행본 || 한영우, 『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효형출판, 2006. ||  ||  
+
| 단행본 || 구연학(송창현 엮음), 『설중매』, 지식의숲, 2013. ||  ||  
 
|-
 
|-
 
|}
 
|}

2021년 10월 30일 (토) 19:00 기준 최신판

Definition

【1908년】. 설중매(雪中梅). 1908년 일본 작가의 작품을 구연학이 번안하여 회동서관(匯東書館)에서 발행한 정치소설. 자유와 독립을 위해 정치운동을 벌이는 새시대의 선구적 지식인 이태순과 개화운동에 매진하는 신여성 장매선이 가약을 맺기에 이른다는 줄거리이다. 갑오개혁 후의 현실을 그리고 있는 이 소설은 현실정치의 비판과 연희개량(演戱改良)을 논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설중매 Record 소설 설중매(雪中梅) 설중매 雪中梅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설중매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설중매 회동서관 printedBy
스에히로_텟쵸 설중매 creator 원작자.
구연학 설중매 translator
이태순 설중매 hero
장매선 설중매 her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설중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9091
참고 위키백과 번안소설 https://ko.wikipedia.org/wiki/번안소설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노연숙, 「일본 정치소설의 수용과 한국 신소설의 다층화 - 구연학의『설중매』와 스에히로 텟초의『雪中梅』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59, 인문학연구원, 200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63347
논문 표세만, 「『셋츄바이』와 『설중매』의 계몽주의― 남여 인물조형을 중심으로 ―」, 『일본학보』 61, 한국일본학회, 200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50242
논문 최원식, 「《雪中梅》연구」, 『한국학연구』 3,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1991.
단행본 최원식, 『한국계몽주의 문학사론』, 소명, 2002.
단행본 구연학(송창현 엮음), 『설중매』, 지식의숲, 2013.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