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정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Definition== 【1851년(철종 2) ~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明成皇后). 조선 26대 왕이자 대한제국 황제인 고종의 비. 본관 여흥...) |
(→Node Description)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1897년】. 국문정리(國文正理). 1897년 국어학자 이봉운이 국어문법에 관해 정리해놓은 책. 서문에서는 국문존중을 극구 강조하고, 장단표시가 없음을 최초로 큰 수치로 통감하며, 국어사전(언문옥편)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본문에서는 우선 국문의 내력에 대하여 약술하고, 없어진 ㆆ, ᄠᅳᆷ, ᅀᅠ이 이, 으, 스의 단음이라고 논했다.이어 자모분음(字母分音)은 종래의 자모도를 수정한 것이나 문제가 적지 않으며, 아래아는 단음 아, 된소리는 제몸받침(병서)이 옳다고 주장했다. 문법론은 아래아의 구별에 관한 것이며, 탁음규식은 종래에 왜어역어(倭語譯語)에서 쓰던 방식에 따라 일본어의 탁음을 표기하자는 제안이다. 새 언문규법(諺文規法)은 그가 개조한 글자로 적어서 읽기 어려우나, 그 요지는 문자학습에 힘써 개화함으로써 국가를 부강하게 하고 민생을 튼튼하게 하자는 논설이다.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1번째 줄: | 10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 | + | | [[국문정리]] || Record || 문헌 || || 국문정리(國文正理) || 국문정리 || 國文正理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국문정리 || http://dh.aks.ac.kr/hanyang2/icon/encyKorea.png |
|- | |- | ||
|} | |} | ||
* [[Ontology:Class 2021]] | * [[Ontology:Class 2021]]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 [[이봉운]] || [[국문정리]] || [[creator]] || || |
|- | |- | ||
− | | [[ | + | | [[왜어역어]] || [[국문정리]] || [[isMentionedIn]] || || 倭語譯語.일본어의 탁음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탁음규식을 정함 |
|- | |- | ||
− | | [[ | + | | [[이봉운]] || [[단어연어일화조전]] || [[creator]] || || 單語連語日話朝雋. 일본인과의 공저. |
|- | |- | ||
− | | [[ | + | | [[언문옥편]] || [[국문정리]] || [[isMentionedIn]] || || |
|- | |- | ||
− | |||
|} | |} | ||
* [[Ontology:Relation 2021]] | * [[Ontology:Relation 2021]] | ||
− | |||
− | |||
==Web Resource== | ==Web Resource== | ||
40번째 줄: | 38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국문정리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28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번째 줄: | 47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김민수, 「국문정리해제」, 『한글』 115, 1956. || || |
|- | |- | ||
− | | 단행본 || | + | | 논문 || 김두식, 「≪국문정리≫에 나타난 한글 글꼴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47, 한국출판학회, 200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47979 |
+ | |- | ||
+ | | 단행본 || 김윤경,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38. || || | ||
+ | |- | ||
+ | | 단행본 || 최현재, 『한글갈』, 정음사, 1942. || || | ||
+ | |- | ||
+ | | 단행본 || 이응호, 『개화기의 한글운동사』, 성청사, 1975. || || | ||
|- | |- | ||
|} | |} | ||
+ | |||
+ | ==Notes== | ||
+ | |||
+ | <references/> | ||
+ |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국문정리"></iframe><br/> |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국문정리'"> | ||
+ | </html> | ||
+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Record]] [[분류:임민혁]] |
2021년 10월 28일 (목) 19:48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1897년】. 국문정리(國文正理). 1897년 국어학자 이봉운이 국어문법에 관해 정리해놓은 책. 서문에서는 국문존중을 극구 강조하고, 장단표시가 없음을 최초로 큰 수치로 통감하며, 국어사전(언문옥편)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본문에서는 우선 국문의 내력에 대하여 약술하고, 없어진 ㆆ, ᄠᅳᆷ, ᅀᅠ이 이, 으, 스의 단음이라고 논했다.이어 자모분음(字母分音)은 종래의 자모도를 수정한 것이나 문제가 적지 않으며, 아래아는 단음 아, 된소리는 제몸받침(병서)이 옳다고 주장했다. 문법론은 아래아의 구별에 관한 것이며, 탁음규식은 종래에 왜어역어(倭語譯語)에서 쓰던 방식에 따라 일본어의 탁음을 표기하자는 제안이다. 새 언문규법(諺文規法)은 그가 개조한 글자로 적어서 읽기 어려우나, 그 요지는 문자학습에 힘써 개화함으로써 국가를 부강하게 하고 민생을 튼튼하게 하자는 논설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국문정리 | Record | 문헌 | 국문정리(國文正理) | 국문정리 | 國文正理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국문정리 | http://dh.aks.ac.kr/hanyang2/icon/encyKorea.pn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이봉운 | 국문정리 | creator | ||
왜어역어 | 국문정리 | isMentionedIn | 倭語譯語.일본어의 탁음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탁음규식을 정함 | |
이봉운 | 단어연어일화조전 | creator | 單語連語日話朝雋. 일본인과의 공저. | |
언문옥편 | 국문정리 | isMentionedIn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국문정리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281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김민수, 「국문정리해제」, 『한글』 115, 1956. | ||
논문 | 김두식, 「≪국문정리≫에 나타난 한글 글꼴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47, 한국출판학회, 200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47979 |
단행본 | 김윤경,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38. | ||
단행본 | 최현재, 『한글갈』, 정음사, 1942. | ||
단행본 | 이응호, 『개화기의 한글운동사』, 성청사, 1975.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