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작삼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Definition== 【1851년(철종 2) ~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明成皇后). 조선 26대 왕이자 대한제국 황제인 고종의 비. 본관 여흥...) |
(→Node Description)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1909년 3월】. 구작삼편(舊作三篇). 최남선이 지은 3편의 시. 1909년 3월호『소년』(통권 6호)에 발표되었다. 옛날에 쓴 작품 3편을 한데 묶은 시이다. 3편 중 첫 번째 작품만 3연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 두 작품은 6행 1연의 소품이다. 먼저 “우리는아모것도가진것업소”로 시작되는 첫 번째 작품은 정의(正義)의 실천을 노래했고, 두 번째 작품은 언행상의 조심성을, 세 번째 작품은 자유(自由)의 문제를 각각 주제로 하고 있다. 형태로 보아 신체시의 형식적 특색을 지니고 있다. 『소년』지 후기에서 그는 신시(新詩)의 형식을 시험했다고 그 창작동기를 밝히고 있다.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1번째 줄: | 10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 | + | | [[구작삼편]] || Record || 신체시 || || 구작삼편(舊作三篇)|| 구작삼편 || 舊作三篇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구작삼편 || http://dh.aks.ac.kr/hanyang2/icon/encyKorea.png |
|- | |- | ||
|} | |} | ||
* [[Ontology:Class 2021]] | * [[Ontology:Class 2021]]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 [[구작삼편]] || [[신체시]] || [[hasAffiliation]] || || |
+ | |- | ||
+ | | [[최남선]] || [[구작삼편]] || [[creator]] || || | ||
+ | |- | ||
+ | | [[구작삼편]] || [[소년]] || [[isPrintedIn]] || || | ||
|- | |- | ||
− | | [[ | + | | [[구작삼편]] || [[개화기시가]] || [[isPartOf]] || || |
|- | |- | ||
− | | [[ | + | | [[정의]] || [[구작삼편]] || [[isMentionedIn]] || || |
|- | |- | ||
− | | [[ | + | | [[자유]] || [[구작삼편]] || [[isMentionedIn]] || || |
|- | |- | ||
− | |||
|} | |} | ||
* [[Ontology:Relation 2021]] | * [[Ontology:Relation 2021]] | ||
− | |||
− | |||
==Web Resource== | ==Web Resource== | ||
40번째 줄: | 42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구작삼편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00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번째 줄: | 51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 + | | 단행본 || 김영철, 『한국개화기 시가의 장르 연구』, 학문사, 1987. || || |
+ | |- | ||
+ | | 단행본 || 김학동, 『한국개화기시가연구』, 새문사, 1981. || || | ||
|- | |- | ||
− | | 단행본 || | + | | 단행본 ||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3. || || |
|- | |- | ||
|} | |} |
2021년 10월 28일 (목) 18:06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1909년 3월】. 구작삼편(舊作三篇). 최남선이 지은 3편의 시. 1909년 3월호『소년』(통권 6호)에 발표되었다. 옛날에 쓴 작품 3편을 한데 묶은 시이다. 3편 중 첫 번째 작품만 3연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 두 작품은 6행 1연의 소품이다. 먼저 “우리는아모것도가진것업소”로 시작되는 첫 번째 작품은 정의(正義)의 실천을 노래했고, 두 번째 작품은 언행상의 조심성을, 세 번째 작품은 자유(自由)의 문제를 각각 주제로 하고 있다. 형태로 보아 신체시의 형식적 특색을 지니고 있다. 『소년』지 후기에서 그는 신시(新詩)의 형식을 시험했다고 그 창작동기를 밝히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구작삼편 | Record | 신체시 | 구작삼편(舊作三篇) | 구작삼편 | 舊作三篇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구작삼편 | http://dh.aks.ac.kr/hanyang2/icon/encyKorea.pn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구작삼편 | 신체시 | hasAffiliation | ||
최남선 | 구작삼편 | creator | ||
구작삼편 | 소년 | isPrintedIn | ||
구작삼편 | 개화기시가 | isPartOf | ||
정의 | 구작삼편 | isMentionedIn | ||
자유 | 구작삼편 | isMentionedIn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구작삼편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002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김영철, 『한국개화기 시가의 장르 연구』, 학문사, 1987. | ||
단행본 | 김학동, 『한국개화기시가연구』, 새문사, 1981. | ||
단행본 |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