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제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Bibliography)
(Semantic Network Graph)
69번째 줄: 69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해당id"></iframe><br/>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여제단"></iframe><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해당id'">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여제단'">  
 
</html>
 
</html>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Place]] [[분류:박지윤]]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Place]] [[분류:박지윤]]
 
 
19세기 초반에 그린 것으로 보이는 『북도각릉전도형(北道各陵殿圖形)』 중에서 의릉을 그린 도형에는 곡장과 혼유석, 장명등, 문무인석, 마석(馬石), 정자각, 수라간, 재실, 홍살문, 샘, 석비(石碑)가 갖추어져 있다.
 

2021년 10월 20일 (수) 21:26 판

Definition

제사를 받지 못하거나, 억울하게 죽어 사람들에게 화를 입히는 원혼인 여귀(厲鬼)를 국가에서 제사 지내주던 제단이다. 1401년(태종 1) 대명제례(大明祭禮)에 따라 처음으로 북교에 여단을 쌓아 여귀(厲鬼)에게 제사 지낸 데서 비롯되었고, 태종대 이후 각 주현에서 꾸준히 거행되다가, 1908년(융희 2)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성종 때 편찬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부터 대한제국기에 편찬한 『대한예전(大韓禮典)』에 이르기까지 소사(小祀)로 제사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여제단 Place 제단 제사유적 여제단 여제단 厲祭壇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여제단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여제단 여귀 enshrines
여제단 여제 isRelatedTo
여제단 대한예전_여제의 isMentionedI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여단(厲壇)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6299
해설 위키실록사전 여제(厲祭) dh.aks.ac.kr/sillokwiki/index.php/여제(厲祭)
해설 위키백과
해설 두산백과
참고
동영상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이욱, 「17세기 여제의 대상에 관한 연구」, 『역사민속학』9-1, 2000.
논문 이욱, 「조선시대 국가 사전(祀典)과 여제(厲祭)」, 『종교연구』19, 2000.
단행본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