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목왕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Online Reference)
1번째 줄: 1번째 줄: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1632)]] 조선 제14대 선조의 계비.본관은 연안(延安).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김제남(金悌男)과 광산부부인 노씨의 딸이다. 1602년(선조 35)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1606년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낳았다. 이때 광해군이 세자의 지위에 있었는데 당시 실권자인 유영경(柳永慶)은 적통론(嫡統論)에 입각하여 적출인 영창대군을 세자로 추대하려고 하였다.
+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1632)]] 조선 제14대 선조의 계비.본관은 연안(延安).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김제남(金悌男)과 광산부부인 노씨의 딸이다. 1602년(선조 35) 선조의 계비가 되고, 1606년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낳았다. 이때 광해군이 세자였으나 유영경 등이 적출인 영창대군을 세자로 추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광해군이 즉위한 후 영창대군은 폐서인되어 살해되었고 외조부 김제남이 사사 됐을 뿐 아니라 인목왕후도 폐비가 되어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 이 폐모행위는 인조반정의 빌미가 되었고 반정 후 인목왕후는 복호되어 대왕대비가 되었다. 인조를 인정한 대비 위치로 가끔 국정에 관심을 표하여 한글로 하교를 내리기도 하였다. 금강산유점사(楡岾寺)에 친필로 쓴『보문경(普門經)』의 일부가 전하고, 인목왕후필적(仁穆王后筆跡) 첩(帖)이 남아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그러나 선조가 급사하고 광해군이 즉위하자 유영경 일파는 몰락하고 대북정권이 들어섰는데 이들은 왕통의 취약성을 은폐하기 위하여 선조의 첫째 왕자인 임해군(臨海君)을 제거하고 이어서 영창대군을 폐서인시킨 뒤 살해하고, 대군의 외조부 김제남을 사사시키고, 인목왕후를 폐비시킨 다음 서궁(西宮)에 유폐시켰다.
 
 
 
이러한 패륜행위는 결국 정변의 구실을 주게 되어 인조반정이 일어났으며 이에 따라 인목왕후는 복호되어 대왕대비가 되었다.
 
 
 
인조의 왕통을 승인한 왕실의 장(長)의 위치에 처하면서 가끔 국정에 관심을 표하여 한글로 하교를 내리기도 하였다. 금강산유점사(楡岾寺)에 친필로 쓴『보문경(普門經)』의 일부가 전하고, 인목왕후필적(仁穆王后筆跡) 첩(帖)이 남아 있다.
 
 
 
 
시호는 소성정의명렬광숙장정인목왕후(昭聖貞懿明烈光淑莊定仁穆王后)이고, 능호는 목릉(穆陵)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다.
 
시호는 소성정의명렬광숙장정인목왕후(昭聖貞懿明烈光淑莊定仁穆王后)이고, 능호는 목릉(穆陵)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인목왕후 [仁穆王后]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네이버 지식백과] 인목왕후 [仁穆王后]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6881&cid=46622&categoryId=46622 </ref>
  <ref>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6881&cid=46622&categoryId=46622 </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0년 9월 3일 (목) 21:14 판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1632) 조선 제14대 선조의 계비.본관은 연안(延安).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김제남(金悌男)과 광산부부인 노씨의 딸이다. 1602년(선조 35) 선조의 계비가 되고, 1606년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낳았다. 이때 광해군이 세자였으나 유영경 등이 적출인 영창대군을 세자로 추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광해군이 즉위한 후 영창대군은 폐서인되어 살해되었고 외조부 김제남이 사사 됐을 뿐 아니라 인목왕후도 폐비가 되어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 이 폐모행위는 인조반정의 빌미가 되었고 반정 후 인목왕후는 복호되어 대왕대비가 되었다. 인조를 인정한 대비 위치로 가끔 국정에 관심을 표하여 한글로 하교를 내리기도 하였다. 금강산유점사(楡岾寺)에 친필로 쓴『보문경(普門經)』의 일부가 전하고, 인목왕후필적(仁穆王后筆跡) 첩(帖)이 남아 있다. 시호는 소성정의명렬광숙장정인목왕후(昭聖貞懿明烈光淑莊定仁穆王后)이고, 능호는 목릉(穆陵)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인목왕후 [仁穆王后]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인목왕후 Actor 인물 왕비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1632) 인목왕후 仁穆王后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6881&cid=46622&categoryId=46622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인목왕후
본관 연안
이칭
시호 인목
생년 1584
몰년 1632
시대 조선
배우자 선조
김제남
광산부부인 노씨
자녀 정명공주, 영창대군
능묘 목릉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선조 인목왕후 hasWife
김제남 인목왕후 hasDaughter spatial
광산부부인 노씨 인목왕후 hasDaughter
인목왕후 정명공주 hasDaughter
인목왕후 영창대군 hasSon
인목왕후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hasDaughter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목릉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인목왕후 묘 穆陵 36.609771 128.669643 인목왕후 묘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spatial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temporal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Encyves 인목왕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6881&cid=46622&categoryId=46622
해설 위키백과 인목왕후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B%AA%A9%EC%99%95%ED%9B%84
해설 두산백과 인목왕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6202&cid=40942&categoryId=33383
해설 문화원형백과 인목왕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23638&cid=50826&categoryId=50826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