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춘문 현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Online Reference)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건춘(建春)’이란 용어는 『예기(禮記)』의 「월령(月令)」 편 가운데 “1월에 태양은 영실성(營室星) 자리에 있고, 해질녘에는 삼성(參星)이 남중(南中)하며, 아침에는 미성(尾星)이 남중한다.  그 날은 갑을(甲乙)이고 그 제(帝)는 태호(太호) 이며 그 신은 구망(句芒) 이다.…(중략)…기러기가 온다.”에 대한 공영달(孔穎達, 574~648년)의 주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중국 당나라 때의 학자인 공영달은 이 구절을 성인이 천시(天時)를 받드는 일, 그리고 만물과 절후를 명확히 한 것이라고 풀이한다. 그리고 나서 후한 때의 학자인 채옹(蔡邕, 133~192년)의 말을 빌려 ‘먼저 봄을 세우고[建春] 하늘을 받든다’고 덧붙였다.
 
‘건춘(建春)’이란 용어는 『예기(禮記)』의 「월령(月令)」 편 가운데 “1월에 태양은 영실성(營室星) 자리에 있고, 해질녘에는 삼성(參星)이 남중(南中)하며, 아침에는 미성(尾星)이 남중한다.  그 날은 갑을(甲乙)이고 그 제(帝)는 태호(太호) 이며 그 신은 구망(句芒) 이다.…(중략)…기러기가 온다.”에 대한 공영달(孔穎達, 574~648년)의 주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중국 당나라 때의 학자인 공영달은 이 구절을 성인이 천시(天時)를 받드는 일, 그리고 만물과 절후를 명확히 한 것이라고 풀이한다. 그리고 나서 후한 때의 학자인 채옹(蔡邕, 133~192년)의 말을 빌려 ‘먼저 봄을 세우고[建春] 하늘을 받든다’고 덧붙였다.
 +
현판은 경복궁을 중건할 때 이경하(李景夏, 1811~1891년)가 썼다. 이경하는 고종 재위 때 훈련대장 등을 지낸 무관으로 특히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1898년)의 신임을 돈독하게 받았던 이다.
 +
<ref>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1』, 문화재청, 2007, 28쪽.</ref>
 +
<ref>[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429614&sectionId=ocp&pageIndex=3&strWhere=title&strValue=%ea%b2%bd%eb%b3%b5%ea%b6%81&mn=NS_01_02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경복궁_광화문,건춘문]</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6번째 줄: 19번째 줄:
 
|}
 
|}
  
===Additional Attributes===
+
===Contextual Relations===
 
 
* [[틀: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propertyName || valu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id || [[ ]]
+
|[[건춘문_현판]]  || [[건춘문]] || [[isPartOf]] ||
 
|-
 
|-
|  ||  
+
|[[건춘문_현판]] || [[월령]] || [[isRelatedTo]] ||  
 
|-
 
|-
|  ||  
+
|[[월령]] || [[예기]] || [[isPartOf]] ||  
 
|-
 
|-
|  ||  
+
|[[건춘문_현판]] || [[예기집설]] || [[isRelatedTo]] ||  
 
|-
 
|-
| ||  
+
|[[예기집설]]  || [[채옹]] || [[isRelatedTo]] ||  
 
|-
 
|-
|}
+
|[[건춘문_현판]]  || [[영추문_현판]] || [[isRelatedTo]] ||  
 
 
===Contextu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건춘문_현판]]  || [[광화문]] || [[isPartOf]] ||  
+
|[[건춘문_현판]]  || [[이경하]] || [[calligrapher ]] ||  
 
|-
 
|-
|[[건춘문_현판]]  || [[예기]] || [[isRelatedTo]] ||  
+
|[[이경하]]  || [[흥선대원군]] || [[isRelatedTo]] ||  
 
|-
 
|-
|[[건춘문_현판]]  || [[광화문]] || [[isPartOf]] ||  
+
|[[건춘문_현판]]  || [[경복궁_중건]] || [[isRelatedTo]] ||  
 
|-
 
|-
|[[건춘문_현판]]  || [[광화문]] || [[isPartOf]] ||
 
|-
 
 
 
|}
 
|}
  
58번째 줄: 51번째 줄: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건춘문_현판||서울특별시_종로구||건춘문_현판||建春門_懸板|| 37.5759369  || 126.9768157 ||38.49 m (126.28 ft)  ||   
+
|건춘문_현판||서울특별시_종로구||건춘문 현판||建春門 懸板|| 37.5759369  || 126.9768157 ||38.49 m (126.28 ft)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Online Referenc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
|사료 || 조선왕조실록 || 고종 2년 9월 17일 || 建春, 이경하 ||http://sillok.history.go.kr/id/kza_10209017_002
 
|-
 
|-
| ||  ||  || ||  ||  ||  ||  
+
|해설||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禮記集說 || 建春 || https://ctext.org/wiki.pl?if=gb&res=213863&searchu=%E5%BB%BA%E6%98%A5
 
|-
 
|-
| ||  ||  || ||  ||  ||  ||
+
|참고||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禮記:月令 || 孟春 || https://ctext.org/liji/zh?searchu=%E5%AD%9F%E6%98%A5
|-
 
|}
 
 
 
===Tempor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참고||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孟春||  || https://ctext.org/liji/zh?searchu=%E5%AD%9F%E6%98%A5
 
 
|}
 
|}
  
123번째 줄: 75번째 줄: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정병섭 || 역주 예기집설대전 유행 || 학고방, 2017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945140
 
|}
 
|}
  

2021년 3월 4일 (목) 07:2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봄을 세운다’는 뜻이 된다. ‘건(建)’은 입(立)과 통하므로 이를 입춘(立春)의 의미, 즉 ‘봄이 시작된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오행에서 동쪽은 봄과 통하므로 동쪽 문에 춘(春) 자를 흔히 붙인다.

‘건춘(建春)’이란 용어는 『예기(禮記)』의 「월령(月令)」 편 가운데 “1월에 태양은 영실성(營室星) 자리에 있고, 해질녘에는 삼성(參星)이 남중(南中)하며, 아침에는 미성(尾星)이 남중한다. 그 날은 갑을(甲乙)이고 그 제(帝)는 태호(太호) 이며 그 신은 구망(句芒) 이다.…(중략)…기러기가 온다.”에 대한 공영달(孔穎達, 574~648년)의 주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중국 당나라 때의 학자인 공영달은 이 구절을 성인이 천시(天時)를 받드는 일, 그리고 만물과 절후를 명확히 한 것이라고 풀이한다. 그리고 나서 후한 때의 학자인 채옹(蔡邕, 133~192년)의 말을 빌려 ‘먼저 봄을 세우고[建春] 하늘을 받든다’고 덧붙였다. 현판은 경복궁을 중건할 때 이경하(李景夏, 1811~1891년)가 썼다. 이경하는 고종 재위 때 훈련대장 등을 지낸 무관으로 특히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1898년)의 신임을 돈독하게 받았던 이다. [1] [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건춘문_현판 Object 물품 현판 건춘문_현판(建春門_懸板) 건춘문_현판 建春門_懸板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건춘문_현판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건춘문_현판 건춘문 isPartOf
건춘문_현판 월령 isRelatedTo
월령 예기 isPartOf
건춘문_현판 예기집설 isRelatedTo
예기집설 채옹 isRelatedTo
건춘문_현판 영추문_현판 isRelatedTo
건춘문_현판 이경하 calligrapher
이경하 흥선대원군 isRelatedTo
건춘문_현판 경복궁_중건 isRelatedTo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건춘문_현판 서울특별시_종로구 건춘문 현판 建春門 懸板 37.5759369 126.9768157 38.49 m (126.28 ft)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사료 조선왕조실록 고종 2년 9월 17일 建春, 이경하 http://sillok.history.go.kr/id/kza_10209017_002
해설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禮記集說 建春 https://ctext.org/wiki.pl?if=gb&res=213863&searchu=%E5%BB%BA%E6%98%A5
참고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禮記:月令 孟春 https://ctext.org/liji/zh?searchu=%E5%AD%9F%E6%98%A5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정병섭 역주 예기집설대전 유행 학고방, 2017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945140

Notes

  1.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1』, 문화재청, 2007, 28쪽.
  2.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경복궁_광화문,건춘문

Semantic Network Graph